소개글
"실인증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노인관련 사회적 문제
1.2. 치매의 정의와 증상
2. 본론
2.1. 기억력 장애
2.2. 지남력 장애
2.3. 실행증과 실인증
2.4. 주의력 장애
2.5. 언어장애
2.6. 공격적 행동을 보이는 치매환자의 간호중재
3. 결론
3.1. 치매 예방과 관리 방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노인관련 사회적 문제
노인계층은 소득 상실로 인해 빈곤한 생활을 하고 있다. 2017년 기준 우리나라 은퇴연령층(66세 이상)의 상대적 빈곤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9년 65세 이상 고령자 2명 중 1명(48.6%)은 본인의 노후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노인의 과반수가 노후준비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는 첫째 노령화로 인한 노동력의 상실, 둘째 건강의 악화로 인한 의료비의 증가, 셋째 조기정년퇴직, 재취업 기회 등의 단절에 따른 소득의 상실, 넷째 사회보장제도의 미비 등을 그 원인으로 들 수 있다.
또한 노인의 건강상태가 연령이 증가할수록 약화되고 만성질환으로 인해 장기간의 치료 및 요양을 필요로 하기도 한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는 813만 4,674명으로 집계됐으며, 이 가운데 특히 치매를 앓고 있는 환자는 약 84만명으로 65세 이상 인구 10명 중 1명이 치매 환자이다. 치매 노인이 늘어남에 따라 노인 관련 실종사고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2018년 77만여 명이던 치매 환자는 2020년 86만여 명으로, 2년 새 10만명 가까이 늘어났다. 지난해 경찰에 접수된 치매 노인 실종신고도 만 2천여 건에 이른다.
뿐만 아니라 노년기에 접어들면서 역할상실로 인한 자아개념 및 사회적 정체감에 대한 혼란, 우울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건강수준이 나쁠수록 우울할 가능성이 높고, 사회적 활동 수준이 낮은 노인의 경우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노후불안으로 인해 자살을 선택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노인 관련 사회적 문제가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예방책 마련이 중요한 시점이다.
1.2. 치매의 정의와 증상
치매는 정상적으로 생활해오던 사람이 퇴행성 뇌질환 또는 뇌혈관관계 질환 등에 의해 기억력, 사고력, 이해력, 계산력, 학습능력, 언어 및 판단력 등의 인지기능 저하를 일으켜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후천적 다발성 장애를 나타내는 상태이다. 국내 65세 이상 치매 유병률은 2015년 9.79%였으나 2050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약 15%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또한 노인의 연령 증가에 따른 치매 유병률은 65~69세군이 약 2~3% 정도 나타나는 것이 매 5년마다 약 2배씩 증가하여 80세 이상 노인은 약 20% 이상의 노인이 치매에 이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치매는 노인성 질환 중 매우 중요한 문제로, 그 증상으로는 기억장애, 지남력 상실, 주의력 장애, 언어장애, 실행증과 실인증 등이 있다.
기억장애는 치매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특히 대뇌피질의 이상에 의한 치매의 경우 초기부터 나타난다.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는 능력이 감소되기 때문에 대부분 최근기억부터 감퇴되며, 점차 먼 과거의 기억도 감퇴되어 과거에는 능숙하게 처리하던 일이 서툴러지거나 전혀 하지 못하게 된다.
지남력 상실은 기억력과 주의력에 의존하기 때문...
참고 자료
정미숙, 『노인문제의 해결방안으로 사회적 관계 변화연구』 (2018)
김영철, 김서호, 『고령사회 노인빈곤 극복의 일자리사업을 통한 적극적 경제활동 방안 고찰』 (2021)
이병문, 65세 이상 인구 10명 중 1명이 환자 2030년엔 136만명 고령화 최대의 적 ‘치매’
https://www.mk.co.kr/news/it/view/2021/09/895645/
주아랑, 늘어가는 치매노인 실종 예방과 대응법은?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126080&ref=A
백지은,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상실경험, 노후불안, 우울감에 대한 연구』 (2018)
장덕유 외 6명, 『노인과 건강』, 현문사 (2020)
김선아 외 5명,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2020)
노인간호학. 이선옥, 정성희. 출판문화원. 2015.
치매(Dementia), 건강정보, 의료정보, 질환백과,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75
치매의 행동심리증상(BPSD)에 대한 임상지침, 대한요양병원협회, 2020
http://k-cha.co.kr/data/board/KNotice/201117-%EC%B9%98%EB%A7%A4%EC%9D%98_%ED%96%89%EB%8F%99%EC%8B%AC%EB%A6%AC%EC%A6%9D%EC%83%81(BPSD)%EC%97%90_%EB%8C%80%ED%95%9C_%EC%9E%84%EC%83%81%EC%A7%80%EC%B9%A8(%EC%B5%9C%EC%A2%85).pdf
지남력, 간호학대사전, 대한간호학회.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