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사의 의사소통 관련 논문 5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본론
2.1. 간호사-의사 협력의 중요성
2.2. 간호사-의사 협력과 의료 오류 발생과의 관계
2.3. 간호사-의사 협력과 간호업무성과 및 조직몰입의 관계
2.4. 간호사와 의사가 인식하는 간호사-의사 협력의 의미
2.5. SBAR-협력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간호사-의사 협력에 미치는 영향
3. 결론
3.1. 연구결과 요약
3.2. 간호사-의사 협력 증진을 위한 제언
3.3.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연장되면서 건강한 삶에 대한 사람들의 욕구와 관심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환자들은 의료 서비스에 대한 기대를 높여가고 있으며, 이에 질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전문 의료인 간의 협력이 강조되고 있다. 병원을 하나의 조직으로 볼 때, 조직의 성과는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개인의 성과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조직성과의 일환으로서 간호업무성도 개인의 업무수행능력뿐 만 아니라 구성원과의 상호작용 및 병원 조직의 특성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간호사와 의사는 병원에서 가장 많이 상호작용하는 의료인으로서 간호사와 의사의 효율적인 협력은 간호의 질 및 환자의 사망률과 재원일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은 환자의 안전과 간호의 질 향상에 중요한 요소가 되며, 간호조직의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기도 하다. 간호사-의사의 협력 수준을 향상시키고, 간호업무성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협력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1.2. 연구의 목적
간호사-의사 협력의 목적은 환자 치료 및 관리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에 공동 참여하여 환자 중심의 포괄적인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간호사-의사 협력은 환자의 안전과 간호의 질 향상에 중요한 요소이며, 간호조직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간호사-의사 협력 수준을 향상시키고, 간호업무성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 정도를 파악하고, 그러한 협력 정도가 간호사의 의료 오류 경험,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와 조직몰입, 수술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간호사와 의사의 상호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며, SBAR-협력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간호사-의사 협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2. 본론
2.1. 간호사-의사 협력의 중요성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연장되면서 건강한 삶에 대한 사람들의 욕구와 관심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환자들은 의료 서비스에 대한 기대를 높여가고 있으며, 이에 질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전문 의료인 간의 협력이 강조되고 있다. 병원을 하나의 조직으로 볼 때, 조직의 성과는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개인의 성과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간호사와 의사는 병원에서 가장 많이 상호작용하는 의료인으로서 간호사와 의사의 효율적인 협력은 간호의 질 및 환자의 사망률과 재원일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반면에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간호의 질 저하뿐만이 아니라 병원의 재정적 부담의 증가로도 연결된다. 간호사와 의사 사이의 협력은 환자의 안전과 간호의 질 향상에 중요한 요소가 되며, 간호조직의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기도 하다. []
2.2. 간호사-의사 협력과 의료 오류 발생과의 관계
의료 오류 경험 여부에 따라 간호사와 간호사 간의 협력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간호사와 간호사 간 협력의 하위영역 중 '의사소통' 영역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료 오류 경험 여부에 따라 간호사와 의사 사이의 협력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료 오류 발생을 경험하지 않은 간호사 군에서 간호사와 의사 간 협력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특히 간호사와 의사 간 ...
참고 자료
권의옥, 이명하 외, 「간호사-의사 협력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25권 제3호, 2019, p.1-12
김가희, 이병숙, 「간호사-의사 협력에 대한 간호사 및 의사의 인식」, 『인문사회 21』, 제9권 제5호, 2018, p.1-16
이영주, 황지인, 「간호사-간호사 및 간호사-의사 협력 정도와 의료 오류 발생 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제25권 제2호, 2019, p.1-10
정서희, 정석희 외, 「수술실 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사 및 의사와의 협력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24권 제3호, 2018, p.1-12
현미숙, 조혜진, 「SBAR-협력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간호사-의사 협력에 미치는 효과」, 『간호행정학회지』, 제22권 제5호, 2016, p.1-13
김미정, 강천국. (2022). "의료기관 조직내 간호사의 의사소통 만족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3(10). 322-331.
홍미화, 한수정. (2021).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돌봄 행위의 관계에서 공감 역량의 매개효과." 기본간호학회지. 28(4). 411-420.
김효진, 박정숙. (2022).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감성지능, 직무스트레스, 의사소통능력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연구지. 28(1). 57-66.
서지인, 김유정. (2021). "수술실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환자안전문화인식이 간호오류 경험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7(3). 181-190.
배지연, 배선형. (2022).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의사소통능력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29(2). 159-169.
김선영, 김기경. (2018). 간호사의 갈등관리 유형, 전문직 자율성, 역할갈등과 조직몰입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24(5), 387-395.
이임선, 김창희. (2017). 병원 간호사와 의사의 갈등관리유형과 의사소통능력 및 협력 간의 관계. 재활간호학회지, 20(1), 69-78
조규영, 김난경. (2021). 수술실 간호사의 갈등관리 유형, 의사소통 능력 및 소진 간의 관계.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3(2), 771-786.
채영희, 채영희, 이원희, 김희정, 박정민 외 9. (2023). 신규간호사의 갈등관리유형, 역할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북간호과학지, 27(2), 29-38.
최명애, 임지영, 이은혜. (2018). 간호관리자의 갈등관리유형이 간호사의 리더신뢰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가정간호학회지, 25(3), 215-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