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하동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상세정보

소개글

"지역 하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치매의 정의
2.1.2. 치매의 종류
2.2. 지역사회 자료수집
2.2.1. 하동군의 지리적 특성
2.2.2. 하동군의 인구학적 특성
2.2.3. 하동군의 사회경제적 특성
2.3. 지역사회간호 진단
2.3.1. 치매 유병률 및 관리 현황
2.3.2. 건강 수준 분석
2.3.3. 지역사회 자원 분석
2.4. 지역사회간호 우선순위 설정
2.5. 지역사회간호 목표설정
2.5.1. 일반적 목표
2.5.2. 구체적 목표

3. 결론
3.1. 느낀 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지역사회간호학 레포트

우리나라는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25년에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와 함께 치매 유병률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하동군은 경남 지역 중 치매 상병자가 가장 많은 지역이며, 추정 치매 환자수도 1,883명으로 높은 편이다. 하동군의 치매 노인 부양비는 전국 평균의 3배 이상으로 높은 수준이다. 또한 하동군의 월 가구 소득이 100만 원 미만인 경우가 35.8%로 가장 많고, 비생산 인구 또한 1만7천여 명으로 전체의 37%를 차지한다. 이처럼 하동군은 치매 문제에 취약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지역사회 간호 차원에서 하동군의 치매 관리 실태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1.2. 연구의 목적

하동군의 치매 관리를 위한 지역사회간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치매대상자의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 이용율이 2020년 12월 35.2%에서 2021년 12월 31일 까지 40%로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1년 3월 까지 하동 치매안심센터와 연계하여 치매대상자 노인장기요양보험 홍보 및 이용률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2021년 4월 까지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이용 홍보 UCC를 제작한다. 또한 2021년 5월에서 6월까지 권역 국민건강보험 공단과 연계하여 각 읍면동 이장 통장을 초빙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이용의 중요성을 3회 교육할 계획이다.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치매의 정의

치매는 정상적으로 생활해오던 사람이 후천적으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기억, 언어, 판단력 등의 여러 영역의 인지기능이 떨어져서 일상생활에 상당한 지장이 나타나는 상태이다. 치매는 어떤 하나의 질병명이 아니라, 특정한 조건에서 여러 증상이 함께 나타나는 증상들의 묶음이다. 즉, 치매증세란 대뇌의 병으로 인해 생기는 하나의 증후군으로 대개 만성적이고 서서히 악화하는 진행성으로 나타나며, 기억력·사고력·방향을 찾는 지남력·사물이나 현상을 이해하는 이해력·계산능력·낯선 환경으로부터의 학습능력·언어 및 판단력 등의 손상을 포함하는 인지기능의 장애로, 최소 2가지 이상이 상실되어 일상적인 활동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하는 경우로 정의된다. 또한, 치매는 알츠하이머병만이 아닌 다발성 뇌경색, 우울증에 의해 생기는 가성 치매, 외상에 의해 생기는 치매 등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2.1.2. 치매의 종류

치매는 원인 질환의 성격에 따라서 원발성 치매와 이차성 치매로 나눌 수 있다. 노인성 치매는 알츠하이머병, 혈관성 치매, 루이체 치매, 전측두엽 퇴행, 파킨슨병 등이 대표적이며, 65세 이전에 발병하는 치매는 초기 치매(pre-senile dementia)라고 부른다.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치매는 약 50~60%를 차지하며,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침착과 타우 단백질의 과인산화로 인한 신경세포 소실로 특징 지어진다. 기억력, 언어능력, 판단력, 문제해결력 등 다양한 인지기능 장애를 보인다.

혈관성 치매는 뇌혈관질환에 의해 뇌조직이 손상되어 발생하며, 증상의 악화가 계단식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뇌졸중, 다발성 뇌경색 등이 원인이 된다.

루이체 치매는 뇌 내에 루이소체라는 비정상적인 단백질 침착이 특징이며, 파킨슨병과 유사한 증상을 동반한다. 전측두엽 퇴행은 전두엽과 측두엽의 선택적 위축으로 인한 언어장...


참고 자료

지역사회간호학 이론과 실제, 현문사, 김광숙외, 2019
2019 지역사회 건강 통계 보고서, 하동군 보건소, 2019
2019 대한민국 치매현황 보고서, 중앙치매센터, 2019
질병관리본부 ,http://www.cdc.go.kr/CDC/main.jsp ,(2020)
2018년 지역사회 통합 건강증진사업 실행계획, 하동군 보건소
중앙 치매 센터 (https://www.nid.or.kr/main/main.aspx) ,(2020년 12월 14일)
하동보건소 (http://hdhealth.hadong.go.kr/main/) ,(2020년 12월 12일)
통계청 (http://www.kostat.go.kr/),(2020년 12월 16일)
2015 한국 노인의 치매 인지도 조사결과, 서울대학교병원, 2008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120816 | 하이닥
한국치매협회 www.silverweb.or.kr,(2020년 12월 15일)
행정안전부 www.mois.go.kr,(2020년 12월 14일)
국민건강보험 https://www.nhis.or.kr/nhis/index.do ,(2020년 12월 14일)

김윤관, 2020, 뉴시스, 하동군, 산악열차유치추진위원회 출범, https://newsis.com/view/?id=NISX20201116_0001234709&cID=10812&pID=10800
윤성효, 2020, 오마이뉴스, [영상] 하동 '산악열차 예정지', 반달가슴곰 한 쌍 출현,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703117&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김윤관, 2020, 뉴시스, 하동군, 산악열차유치추진위원회 출범, https://newsis.com/view/?id=NISX20201116_0001234709&cID=10812&pID=10800
박상현, 2021, KBS, [여기는 진주] ‘지리산 산악열차’ 사업자 철수에도 갈등 계속,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145732&ref=A
김호철, 2021, 경남신문, 하동 산악열차 “추진-폐기” 논란 재점화, http://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347280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