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환자실 폐렴 케이스발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폐렴의 정의 및 특징
1.3. 폐렴의 역학 및 현황
2. 문헌고찰
2.1. 폐렴의 병인과 병태생리
2.2. 폐렴의 증상 및 진단
2.3. 폐렴의 치료 및 간호중재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1.1. 주관적 및 객관적 자료수집
3.1.2. 건강력 및 신체사정
3.2. 간호진단
3.2.1. 분비물 관련 호흡 장애
3.2.2. 고체온과 관련된 감염
3.2.3. 부동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
3.3. 간호계획 및 수행
3.3.1. 분비물 관리를 통한 호흡 증진
3.3.2. 감염 관리 및 해열
3.3.3. 욕창 예방 간호
3.4. 간호평가
4. 결론
4.1. 간호과정 적용의 효과
4.2. 폐렴 간호에 대한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폐렴은 폐 실질 조직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영유아에게 빈번하게 발병한다. 발병빈도는 5세 미만 소아에서 5%, 5~14세 아동에서 1.5% 정도로 높지 않으나 실제 소아과 입원 환자 확인 시 하루도 빠짐없이 최소 1명 이상의 폐렴환자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폐렴은 우리나라에서 사망 원인 3위의 질환이며, 특히 계절별로 보면 겨울인 1~2월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바깥의 추운 날씨와 겨울철 난방으로 실내외 기온차가 커지면서 몸의 면역력이 떨어지는 게 원인이다. 또한 몸은 장시간 차고 건조한 환경에 노출되면 바이러스의 침투에 약해진다. 폐렴은 대증요법을 통해 쉽게 치료가 가능하나 방치할 시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폐렴에 대해 공부하고 간호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환자에게 올바른 정보를 전달하고 적절한 간호를 시행하고자 한다.
1.2. 폐렴의 정의 및 특징
폐렴은 폐 실질 조직의 염증을 의미한다. 폐렴은 아동기에 흔히 발생하며 특히 영아와 유아에게 빈번하다. 폐렴에는 바이러스성 폐렴, 세균성 폐렴,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흡인성 폐렴 등이 있다. 바이러스성 폐렴은 바이러스성 상기도 감염 후나 기관, 기관지의 점막에 국소적인 염증증상이 있은 후 병리적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영아는 RSV에 의한 경우가 가장 많다. 세균성 폐렴은 심각한 감염질환 중 하나로, 아동의 나이, 다른 질환의 유무, 면역상태에 따라 발생정도가 다양하다. 원발성 비정형성 폐렴은 전통적으로 가장 흔하고 쉽게 배양되는 세균보다 다른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는 폐렴이다. 흡인성 폐렴은 이물질 및 음식물 등이 기도로 넘어가서 발생하는 폐렴이다.
1.3. 폐렴의 역학 및 현황
폐렴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건강 문제이다. 우리나라에서 폐렴은 사망 원인 4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7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1년 동안 1만 9,378명이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또한 인구 10만명당 폐렴 사망률은 2016년 32.2명에서 2017년 37.8명으로 17.3% 증가하였다. 특히 폐렴으로 사망하는 사람의 96.8%가 60세 이상 고령자로 나타나 노인 환자에서 폐렴이 매우 위험한 질병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폐렴은 계절의 변화에 따라 발생률이 달라지는데, 주로 겨울철 1월과 2월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이는 추운 날씨와 실내 난방으로 인한 온도차로 인해 몸의 면역력이 저하되어 바이러스나 세균의 침투가 쉬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폐렴은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보건 문제이며, 특히 고령층에서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문헌고찰
2.1. 폐렴의 병인과 병태생리
폐렴은 폐의 염증과정에서 폐에 삼출액이 과다하게 된 상태이다. 염증은 많은 감염성 미생물과 자극성 물질의 흡입에 의해 일어난다. 감염성 폐렴은 환자가 감염원에 노출된 장소에 따라 지역사회 획득성 폐렴과 병원감염성 폐렴으로 구분된다. 병원감염성 폐렴은 지역사회 획득성 폐렴보다 더 항생제에 내성이 있다. 폐렴에는 분절이나 폐엽 내 조직의 경화를 동반하는 폐엽성 폐렴, 기관 주변에 확산되어 나타나는 기관지 폐렴이 있다. 미생물의 침입 후 폐를 침범하는 정도는 숙주의 방어능력에 달려있다. 면역기능이 저하된 사람에게 박테리아가 급속히 증가한다. 이때 병원체가 기관지 벽을 침투하여 농양을 형성하면 조직괴사가 일어난다. 염증에 의한 부종과 섬유소가 폐를 경직시켜 순응도를 저하시키고 폐활량을 감소시킨다. 폐로의 허탈은 그 부위를 통과하는 혈액을 산화하는 폐의 능력을 감소시킨다. 결과적으로 동맥의 산소포화도가 떨어지고 저산소혈증이 발생한다.
2.2. 폐렴의 증상 및 진단
폐렴은 다양한 임상증상을 보인다. 발열이 대부분의 환자에서 관찰되지만, 약 20% 정도의 환자에서는 열이 없거나 오히려 저체온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예후가 좋지 않다. 호흡곤란, 기침, 객담 배출 증가, 흉통 등이 주증상이며, 청색증, 발한, 의식저하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이학적 검사에서는 폐 타진 시 둔탁음이 들리고 청진 시 수포음, 천명음 등의 이상호흡음이 관찰된다. 흉막염이 동반된 경우에는 흡기 시 통증이 주증상이며, 흉막마찰음이 증가한다.
영상의학적 검사에서는 흉부 X선 사진 촬영이 폐렴 진단에 필수적이며, 폐 침윤이 관찰된다. 때로는 X선 소견만으로도 원인 미생물을 추정할 수 있다. 객...
참고 자료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 VOLUME 2(8판). 정담미디어
군자출판사 학술국, 성인간호학 VOLUME 2(12판), 군자출판사
신나미 외. 성인간호학 임상적 추론의 적용(6판). 정담미디어
신경림 외. 성인간호학 하(수정판). 현문사
박정숙 외. 성인간호학. 현문사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12판). 학지사메디컬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송경애 외.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수문사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 Ⅱ. 수문사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아산병원 의학정보
https://blog.naver.com/cheha333/220756956654(폐사진)
https://www.pinterest.co.kr/pin/680184349942159037/(폐사진)
https://blog.naver.com/hyeong1200/222096054606
김효신 외, 아동건강간호학Ⅰ, 수문사, 2020
김효신 외,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2020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2020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2020
송경애 외, 최신기본간호학Ⅰ, 수문사, 2020
송경애 외, 최신기본간호학Ⅱ, 수문사, 2020
약학정보원, 약물 검색, https://www.health.kr/main.asp
드러그인포, 약물검색, https://www.druginfo.co.kr/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황옥남 외 공저, 「성인간호학 제 7판」, 2019, 현문사, p148~161
김문옥, 노영희, 서미라, 박서진 공저 성인간호학실습2(학생용) 임상실습지침서, 2021, 도서출판 지성계, p77~83
KIMS의약정보센터 http://kimsonli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