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정의 및 일반적 특성
2.1. 병태생리
2.2. 원인
2.3. 임상증상
2.4. 진단
3.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관리
3.1. 치료
3.2. 예후 및 합병증
4. 간호중재
4.1. 건강사정
4.2. 진단검사
4.3. 투약
4.4. 간호과정
5. 사례 분석
5.1. 사례 개요
5.2. 간호과정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은 말단세기관지 아래 폐실질조직의 급성 염증으로, 주로 마이코플라즈마균의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이 병원체는 호흡기계 감염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위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어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은 지역사회 획득 폐렴의 대표적인 비정형 원인균으로, 무증상 감염을 포함하여 기관지염, 중이염, 인후염 등 다양한 감염 증상을 유발한다. 또한 발병 연령대, 계절적 유행성, 전파 경로 등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 보고서에서는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정의, 병태생리, 원인, 임상증상, 진단 방법을 살펴보고, 치료와 예후, 합병증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2.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정의 및 일반적 특성
2.1. 병태생리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마이코플라즈마는 세포 표면의 당단백과 결합하여 호흡기의 섬모원주상피세포를 침범한다. 그러나 세포 내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며 기저막을 통과하는 경우도 거의 없다. 마이코플라즈마 감염에 대한 면역반응은 아주 다양하다. 감염 후 특이 및 비특이 항체가 생성되는데, 비특이 항체인 한랭 응집소는 IgM 자가항체로 적혈구의 당단백과 반응하며 일반적으로 질병의 심한정도와 비례하여 증가한다. 특이 항체인 항마이코플라즈마 항체도 감염초기에 증가하나 비특이 항체와 달리 수개월 또는 수년간 지속된다. 이처럼 비특이 항체는 물론 특이항체도 완전한 면역력을 가지지는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2. 원인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주요 원인은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이다.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은 세포표면의 당단백질과 결합하여 호흡기의 섬모원주상피세포를 침범한다. 그러나 세포 내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며 기저막을 통과하는 경우도 거의 없다. 이 병원체는 호흡기계 감염뿐 아니라 혈액계, 심혈관계, 소화기계, 신경계, 피부계 등의 폐외 합병증을 일으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빠른 진단이 중요하다. 국내에서는 3~4년 주기로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유행이 나타나며, 주로 5~12세 아동에게 많이 발생한다. 인구가 밀집된 장소에서 흔히 전파되는 경향이 있다. 전체 폐렴 중 10~30%를 차지하며, 바이러스에 의한 폐렴 다음으로 가장 많은 원인이 된다.
2.3. 임상증상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임상증상은 다음과 같다.
1~3주의 잠복기 후에 서서히 발병하여 기관지 폐렴이나 기관지염, 인후염 등을 유발한다. 3~4주 이내에 점차 회복되는 양상을 보인다. 오래 계속되는 심한 기침과 38°C 이상의 열이 주된 증상이다. 처음에는 마른 기침을 하지만 점차 진행되면서 가래 기침을 하나 콧물 등의 증상은 드물다. 천식 환자에게서 쌕쌕거림을 일으키는 유발인자로 작용하기도 한다.
인플루엔자 증상과 비슷한 오한, 열, 피로, 두통, 식욕부진, 인후통 등이 있고 환자의 30~40%는 구토, 복통, 피부 발진의 증상을 호소한다. 또한 폐 이외에도 신경계나 혈액계에 병이 생기거나 간염, 췌장염, 심근염, 심낭염, 관절염 등이 동반되기도 하며 이러한 호흡기 외의 증상들은 자가면역 반응에 의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보인다.
2.4. 진단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은 말단세기관지 아래 폐실질조직의 급성 염증으로 주로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이는 폐렴의 대표적인 비정형적 원인균으로 하부 호흡기 감염을 유발한다.
마이코플라즈마는 호흡기의 섬모원주상피세포를 침범하여 면역반응을 일으키지만, 세포 내에서 발견되지는 않으며 기저막을 통과하는 경우도 거의 없다. 비특이 항체인 한랭 응집소와 특이 항체인 항마이코플라즈마 항체가 생성되지만, 완전한 면역력을 갖추지는 못한다.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은 전체 폐...
참고 자료
김희순, 오진아 외 (2023),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아동청소년간호학1, 수문사
김희순, 오진아 외 (2023),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아동청소년간호학2, 수문사
현문사, 김옥수 외, 2020,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김옥수 외, 2020, 성인간호학(하)
킴스 온라인 https://www.kimsonline.co.kr/
프셉마음 호흡기간호입문편(2020). (주)드림널스. 김지인 저.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2016). JMK
간호과정 실무지침: 개정판(2018).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 간호본부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RISS ‘소아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에서 진단방법의 비교 및 IgG 아군의 변화’ - 윤유숙, 황자영, 강진한, 이준성, 이경일, 임정우(2009)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a5813163b004134147de9c1710b0298d&keyword=%EB%A7%88%EC%9D%B4%EC%BD%94%ED%94%8C%EB%9D%BC%EC%A6%88%EB%A7%88%20%ED%8F%90%EB%A0%B4
기본간호학2, 양선희 외, 2018, 현문사
아동청소년 간호학2, 김희순 외, 2019, 수문사
성인간호학 하, LEWIS 외, 2018, 현문사
아동에서의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연구: 체계적 문헌 고찰과 메타분석, 박영주 외, 2013, 대한간호학회지
네이버 건강백과 의약품 사전
드러그인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