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상부호흡기장애 대상자간호
1.1. 상부호흡기의 구조와 기능
상부호흡기는 호흡기계의 가장 윗부분으로 공기가 들어오고 나가는 통로의 역할을 담당한다. 비강, 부비동, 인두, 후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분은 고유한 기능을 수행한다.
비강은 후각 기능을 담당하며 들어온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한다. 부비동은 비강과 연결되어 있어 공기 유통과 호흡 기능에 관여한다. 인두는 호흡과 연하 기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곳으로 음식물과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이다. 후두에는 성대가 있어 발성의 기능을 담당한다.
상부호흡기의 각 부위는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호흡과 발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와 기능을 통해 우리는 원활한 호흡과 발성을 할 수 있게 된다.
1.2. 상부호흡기 질환의 특성
1.2.1. 비강과 부비동 질환
비강은 공기 여과, 가습, 온도 조절 등의 기능을 하며 후각 능력을 가지고 있다. 부비동은 안와, 두개강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비강과 부비동 질환으로는 급성 부비동염과 만성 부비동염이 있다.
급성 부비동염은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등에 의해 발생한다. 주요 원인균으로는 아데노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와 폐렴간균, 포도상구균 등의 세균이 있다. 주요 증상으로는 양측성 점액성 또는 화농성 비루, 비점막 발적 및 종창, 두통, 안면압박감 및 통증, 미열, 기침 등이 있다. 이러한 증상을 바탕으로 부비동 촬영, 내시경 검사, CT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한다. 치료로는 항생제, 비충혈제거제, 비강 내 스테로이드 분무제 등을 사용하며, 부비동 세척, 통증 완화를 위한 진통제 사용 등의 간호중재를 수행한다.
만성 부비동염은 주로 황색포도상구균, 인플루엔자균 등의 세균에 의해 발생한다. 주요 증상은 만성적인 비루, 비폐색, 두통, 안면 압박감 및 통증 등이며, 진단은 부비동 촬영, 내시경 검사, CT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치료로는 항생제, 비충혈제거제 사용, 부비동 세척 등을 시행하며, 상악동염의 경우 수술적 치료인 Caldwell-Luc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수술 후에는 출혈, 부종, 호흡곤란 등의 합병증을 관찰하고 관리해야 한다.
또한 비중격 만곡증은 선천적이거나 외상에 의해 발생하여 비폐색을 유발할 수 있다. 이때 수술적 치료인 비중격 성형술을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