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미술치료개입의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아동복지의 개념과 중요성
1.2. 아동복지 실천과정의 이해
1.3.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본론
2.1. 아동복지 실천과정의 단계
2.1.1. 초기 접수 및 상담
2.1.2. 사회조사와 사정
2.1.3. 개입 방법
2.2. 아동복지 개입 방법
2.2.1. 놀이치료
2.2.2. 미술치료
2.2.3. 음악치료
2.3. 미술치료의 특성과 활용
2.3.1. 미술치료의 검사 도구와 실시 방법
2.3.2. 미술치료의 검사 유형
2.4. 음악치료의 이론적 접근
2.4.1. 행동주의적 관점
2.4.2. 심리분석적 관점
3. 결론
3.1. 프로그램 적용 사례 및 효과
3.2. 아동복지 실천에서의 시사점
3.3.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아동복지의 개념과 중요성
아동복지의 개념과 중요성이다. 아동은 보는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아동의 연령기준은 법률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며 국어사전에서는 아동의 심신이 온전한 청년기에 달하지 아니한 사람, 초등학교에서 배우는 아이, 학동으로 규정하고 있다. 발달적 측면에서 아동기는 좁은 의미로 학동기를 지칭하는 것이지만, 넓은 의미로는 영유아기 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변화에 따라 아동관도 변화하고 있으며, 아동을 대상으로 한 복지사업의 내용도 달라진다. 아동복지는 어원상 아동과 복지가 합해진 말로써 아동이 행복하게 잘 지내는 것을 의미한다. 아동복지는 모든 아동이 전인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하도록 국가나 사회가 제공하는 조직적 활동이라는 점에서 아동복지는 사회복지의 한 범주라고 볼 수 있다. 아동복지는 사회복지의 하위 범주 가운데 하나이지만 아동기라는 발달상의 특성으로 인해 다른 사람복지 영역과 차별화된다. 아동학과 아동복지학은 아동을 대상으로 이들을 건강한 성장발달을 도모한다는 공통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다.
1.2. 아동복지 실천과정의 이해
아동복지 실천과정은 초기 접수 및 상담, 사회조사와 사정, 개입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초기 단계인 접수 면접에서는 주관적 평가가 이루어지며, 문제 및 욕구를 확인하고 부모, 아동과 신뢰를 형성한다. 또한 서비스 수행에 대해 합의하고 전문가, 기관, 지역사회자원, 서비스 기획 등에 잠정적 합의를 끌어낸다. 사회조사 단계에서는 객관적인 자료수집이 이루어지며, 아동의 생활력과 문제의 발달력을 조사한다. 진단 단계에서는 측정도구와 심리검사를 수행하여 문제행동의 원인을 찾아간다. 아동의 관계망을 통해 현재의 지지 정도와 활용 가능한 지원체계를 확인한다. 사정과 계획 단계에서는 아동의 발달 단계, 기능 수행, 보호 욕구, 강점과 방어기제를 분석하며, 가족과 환경에 대한 사정도 파악한다. 개입단계에서는 아동의 문제 및 욕구, 환경자원, 사회복지사의 능력에 따라 놀이치료, 미술치료, 음악치료 등의 개입 방법을 선택한다. 이와 같은 아동복지 실천과정을 통해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1.3.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현대사회에서 아동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아동은 가정과 사회의 가장 중요한 구성원이며, 건강한 성장은 사회 전반의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아동의 정신건강 문제, 학대 및 폭력, 빈곤 등 다양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어 아동복지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접근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아동복지 실천과정에서 아동의 발달 단계와 특성을 고려한 개입 방법의 개발과 적용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복지 실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개입 방법으로 놀이치료, 미술치료, 음악치료 등을 심층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실천 현장에서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 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아동복지 실천의 전문성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아동의 전인적인 발달을 지원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2. 본론
2.1. 아동복지 실천과정의 단계
2.1.1. 초기 접수 및 상담
초기 접수 및 상담은 아동복지 실천과정의 첫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주관적 평가가 이루어지며, 문제 및 욕구를 확인한다. 또한 부모, 아동과 신뢰를 형성하고 서비스 수행에 대해 합의한다. 그리고 타 기관에 의뢰하여 전문가, 기관, 지역사회자원, 서비스 기획 등에 잠정적 합의를 끌어낸다. 이를 통해 아동의 문제와 욕구를 파악하고, 신뢰를 바탕으로 한 관계를 형성하여 향후 개입을 준비한다. 이는 아동의 복지를 실현하기 위한 초석이 되는 중요한 단계이다.
2.1.2. 사회조사와 사정
사회조사 단계에서는 객관적인 자료수집이 이루어진다. 아동의 생활력 및 문제의 발달력을 조사한다. 출생부터 생활력을 조사하고 현재의 발달 상태 및 기능 수행을 파악한다. 이 과정에서 부모로부터 정보를 얻는다. 아동의 생활력은 지체 영역, 정서 문제, 대인관계 등을 파악하고 문제의 발달력, 즉 신체기능과 건강, 지적기능, 정서적 기능 등을 확인한다. 진단 단계에서는 측정도구와 심리검사를 통해 문제행동의 원인을 찾아간다. 가계도를 통해 가족력을 조사하고 학교, 종교기관, 친구, 확대가족, 지역사회, 이웃 등의 사회적 지지망을 통해 환경자원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아동이 현재 주변으로부터 받는 지지 정도와 아동의 문제 해결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확인한다. 사정과 계획 단계에서는 아동의 발달 단계 및 기능 수행을 분석하고 아동의 보호 욕구를 분석한다. 또한 아동의 강점을 확인하고 대체 기제와 방어기제를 분석...
참고 자료
수지네 블로그, “아동복지의 이해”, 2018. 09. 11., https://jung92.tistory.com/entry/
유해미, 김은설, 황옥경, 김재원(2011), 육아지원기관에서의 아동권리 실태와 증진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1. 10.
vlvldi, “충동성 높은 아이, 산만한 아이, 금쪽같은 내새끼 자폐 스펙트럼 ADHD 놀이치료 정보”, 2021. 04. 16., https://blog.naver.com/vlvldi/222312650710
유진오 기자, 틱장애(tic disorder), 왜 생기는 걸까? , 오가닉라이프신문, 2020.04
https://www.iloveorgani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6961
남도영 기자, 소아·청소년 ‘틱장애’ 증가, 디지털타임즈, 2014.08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4080802109976788005
김지우 기자, 틱장애·자폐증 및 불안장애는 가족심리치료가 중요, 내외뉴스통신, 2018.02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5750
김나희 기자, [건강정보] 틱장애, 어느 정도일 때 치료해야 할까?, 미래한국, 2017.08
http://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666
박태영, 박진영 저, 틱 장애 아동의 가족치료 다중사례 내용분석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010.10
윤병기 기자, 틱장애, ADHD증상 치료는 부모의 관심과 무관심의 균형에서 출발, 후생신보, 2020.05, http://www.whosaeng.com/118097
고정순, 2017, 지역아동센터 내 ADHD 행동성향 아동대상 놀이 활용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공주교육대학교
권혜진 외, 2021, 보육과정, 창지사
한종화, 2022, 일상과 놀이에 기반한 영아중심의 발현적 보육과정, 공동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