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산업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최초 생성일 2024.09.01
6,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공조냉동산업기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공기조화시스템의 이해
1.1. 공기조화시스템의 정의
1.2. 공기조화시스템의 역사
1.2.1. 공기조화시스템의 탄생
1.2.2. 국내 공기조화시스템의 도입과 변천
1.3. 공기조화시스템의 발전 방향
1.3.1. 지구온난화와 에너지 절감
1.3.2. 고효율 공기조화시스템의 기술 동향

2. 건축설비 분야의 자격증
2.1. 자격증의 개요
2.1.1. 자격증의 분류
2.1.2. 자격증 취득의 장단점
2.2. 건축설비 분야의 주요 자격증
2.2.1. 건축기사 및 건축관련 자격증
2.2.2. 기계설비 및 냉난방 관련 자격증
2.2.3. 전기설비 및 전자 관련 자격증
2.3. 자격증 취득을 위한 전략

3. 건축설비 분야의 진로
3.1. 건축공학 관련 진출 분야
3.2. 기계설비 및 공조 분야의 진출 분야
3.3. 전기 및 전자 분야의 진출 분야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공기조화시스템의 이해
1.1. 공기조화시스템의 정의

공기조화시스템은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HVAC)의 약자로 Heating(난방), Ventilation(환기), Air Conditioning(공기조화)를 뜻한다. 사람 또는 물품에 공기조화의 4대 요소인 온도, 습도, 기류, 청저도를 사용목적에 따라 가장 알맞은 상태로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난방 설비는 실내공기의 가열에 의한 온도만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쾌적한 환경을 만들기에 만족 시키지 못한다. 이에 비해 공기조화설비는 온도 조정으로 공기의 냉각과 가열, 습도 조정으로 공기의 감습과 가습, 기류 조정을 통한 기류의 속도, 기류분포, 기압의 조정 그리고 공기 정화를 통해 공기 중의 탄산가스 농도 조정 및 먼지 세균 냄새 유해가스를 제거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쾌적성의 추구에 만족시킨다.


1.2. 공기조화시스템의 역사
1.2.1. 공기조화시스템의 탄생

고대 로마인은 집안을 시원하게 하기 위해서 찬물이 순환되도록 벽 뒤에 수도관을 설치했고 2세기 중국인인 딩 환은 직경이 3m에 달하는 회전하는 바퀴가 달린 팬을 개발해서 연못 주위의 찬공기를 집 안으로 끌어들였다. 이와 같이 공기를 순환, 냉각 시키려는 시도는 오래 전부터 이어져 왔다. 1758년 벤자민 프랭클린(1706-1790)과 동료인 존 하들리(1731-1764)는 수은 온도계에 에테르를 적신 후 계속 풀무질을 해 에테르를 증발 시켜 온도를 -14℃까지 떨어뜨렸다. 이 실험은 물질이 상태변화를 할 때 열이 흡수되면 온도가 내려가고, 열이 방출되면 온도가 올라가는 원리를 이용했다. 액체인 에테르가 증발하는 것은 기체로 상태가 변화 하는 것이고 이 때 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내려가는 것을 증명했다. 몇 년 뒤인 1820년에 마이클 패러데이(1791-1867)는 압축-냉각된 암모니아의 기화를 통해 주변 공기가 차갑게 변화하는 것을 발견했다. 암모니아의 독성으로 문제가 있었지만 20년 뒤인 1840년에 인류가 최초로 인공적으로 얼음을 만들 수 있게 만드는데 큰 영향을 줬고 이것은 최초의 공기조화 시스템을 만든 윌리스 해빌랜드 캐리어에게도 큰 영향을 줬다. 윌리스 해빌랜드 캐리어(1876년 11월 26일~1950년 10월 7일)는 미국의 공학자이다. 공기조화 기술(에어컨)의 발명자로 알려져 있다. 1901년 코넬 대학교에 기계공학 학사학위를 취득한 후 버팔로로 가서 히터기와 송풍기 등을 제조하는 '버팔로 포지 컴퍼니'에 입사하였고, 목재와 커피콩을 건조시키는 난방 자치 개발에 투입되었다. 1902년 버팔로 포지 컴퍼니의 고객이었던 브루클린의 새킷-빌헬름 석판출판사 (Sackett-Wilhelms Lithographing & Publishing Company)에서 의뢰를 받았다. 여름에는 고온과 습기 때문에 용지가 변질되어 출판을 제대로 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캐리어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민을 하다가, 우연히 피츠버그 기차 승강장에 낀 안개를 바라보다 공기 중의 습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영감을 얻었다. 그 후 캐리어는 뜨거운 증기를 채운 코일 사이로 공기를 통과시키는 기존의 온방 시스템의 원리를 뒤집어, 냉매를 채운 코일 사이로 공기를 내보내 온도를 낮추는 방식을 구상했다. 이를 토대로 기기의 설계도를 제작해 7월 17일에 제출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세계 최초의 공기조화 시스템, 즉 에어컨이다. 이 당시 윌리스 캐리어가 제안한 공기조화 시스템이 오늘날 에어컨의 탄생으로 인정받는 이유는, 습도조절 장치가 추가되면서 네 가지의 기본기능(온도조절, 습도조절, 공기 순환과 환기, 공기정화)을 갖추게 되었기 때문이었다.


1.2.2. 국내 공기조화시스템의 도입과 변천

우리나라에 건축설비 기술이 도입된 이후 상당기간동안의 변천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해둔 기록은 찾기가 어렵다. 따라서 건축업계에서 정리해둔 건축적 자료 속에서 드물게 언급하고 있는 건축설비관련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건축설비산업은 외국인의 손에 의하여 도입되었다. 외국인 기술자 밑에서 조수 또는 기능공으로 고용되어 일하던 몇몇 설비 기술자들의 현장 체험 전수를 통하여 설비시공기술이 명맥을 유지해오고 이렇게 국내에 공기조화 시스템도 들어온 것으로 추정될 뿐이다.

이러한 건축설비 기술(공조시스템)의 발전과정을 ①조선말기(1910년 이전), ②일제강점기(1911-1945), ③해방 후 혼란기(1945-1960), ④개척기(1961-1973), ⑤1970년대, ⑥1980년대 후반기, ⑦1990년대, ⑧ 2000년대로 구분하여 포괄적으로 내용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②일제강점기(1911-1945)에는 식민지정책을 위하 기관들이 청사를 신축하게 되면서 건축설비기술이 활발하게 적용 되었다. 1914년 9월에 독일인인 게에데라 단떼가 설계 감독하여 지은 조선호텔은 온수난방 방식을 채택했고, 같은 해에 설계 완료된...


참고 자료

공기조화설비(세계적인 디자이너 마쿄 저,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hojo391&logNo=3896013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에어컨”
나무위키 “에어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윌리스 캐리어”
에어컨의역사와 원리(형재에어컨 저,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kiyananderson/222669712715
우리나라 건축설비산업의 발전과정 (김영호/(주)우훤 회장 저)
우리나라 공기조화설비 방식의 변천① (장정흡 저, 기계설비신문)
진화하는 초고킁 공조시스템(강은철 저, 투데이 에너지)
공조시스템(HAVC) 왜 친환경이라고 하는 걸까?(코다 CODAA 저,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odaaxyz&logNo=222227845706&from=search&redirect=Log&widgetTypeCall=true&directAccess=false
우리나라 공기조화설비 방식의 변천② (장정흡 저, 기계설비신문)
공기조화 계획 및 설계(김문정 저, 1p)
공기조화 계획 및 설계(김문정 저, 2p)
[기계설비기술 상식] 우리나라 공기조화설비기술⑫ (장정흡 저, 기계설비신문)
공기조화시스템의 다양한 에너지 절감기술(이홍원 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