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복지 시설의 법적 정의 및 종류에 대해 작성하여 제출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사회복지시설의 법적 정의
2.2. 사회복지시설의 종류
2.2.1. 이용형태에 따른 분류
2.2.2. 대상자별 분류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 지역사회에는 많은 종류의 사회복지서비스를 갖춘 기관들이 존재한다. 이는 각 지역이나 그 지역의 사람들을 위해서 알맞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기관들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더 좋은 조건의 환경과 서비스를 갖추며 살아가길 바라며, 주위에 편리한 시설들의 발달로 인한 환경으로 인해 살기 편하다고 느끼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환경 뿐 아니라 각 지역 또는 많은 사람들을 위해서 알맞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많은 사람들이 바라는 바이다. 누구나가 살기 좋을 수 있도록 삶의 질을 조금은 향상시킬 수 있도록 사회복지시설은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이나 약자들에게 조금이나마 삶을 사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 중 하나이다. 이에 본론에서는 사회복지시설의 법적 정의와 함께 사회복지시설의 종류에 대해 작성해 보고자 한다.
2. 본론
2.1. 사회복지시설의 법적 정의
사회복지시설이란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에 근거하여 사회복지사업을 행할 목적으로 설치된 시설이다. 이는 사회복지시설 운영자의 주관적인 목적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사회복지사업을 행하는지 여부로 판단된다.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에 규정된 개별 법률에 따른 보호·선도 또는 복지에 관한 사업과 사회복지상담, 노숙인 등 보호, 직업지원, 무료숙박, 지역사회복지, 의료복지, 재가복지, 사회복지관 운영, 정신질환자 및 한센병력자 사회복귀에 관한 사업 등 각종복지사업과 ...
참고 자료
황성철, 정무성, 강철희, 최재성(2010).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학현사.
김종영.「사회복지행정」. 서울: 학지사, 2008.
김주영. 2008. 사회복지시설 평가지표의 구성타당도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보건복지부 소관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법인(시설) 설립 및 설치 운영절차와 실무(1).” 서울: 보건복지부, 2005.
보건복지부. 2021년 사회복지시설 관리안내,
http://www.w4c.go.kr/images/noticePopup/popup/file/2021_%EC%82%AC%ED%9A%8C%EB%B3%B5%EC%A7%80%EC%8B%9C%EC%84%A4_%EA%B4%80%EB%A6%AC%EC%95%88%EB%82%B4.pdf
중랑구사회복지협의회, 사회복지시설
http://jungnangcsw.or.kr/place/place2.php
최승원 외 4명(2022).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서울: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