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 팔로 징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팔로네 징후(Tetralogy of Fallot)의 정의
2. 팔로네 징후의 병태생리와 원인
3. 팔로네 징후의 증상
3.1. 청색증
3.2. 무산소 발작
3.3. 기타 증상
4. 팔로네 징후의 진단
4.1. 흉부 X선 검사
4.2. 심전도 검사
4.3. 심초음파 검사
4.4. 심도자술 및 심혈관 조영술
5. 팔로네 징후의 치료
5.1. 내과적 치료
5.2. 외과적 치료
6. 팔로네 징후의 간호중재
7. 팔로네 징후의 합병증 및 예후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팔로네 징후(Tetralogy of Fallot)의 정의
팔로네 징후(Tetralogy of Fallot)는 전체 선천심장병의 약 10%를 차지하며, 폐혈류 감소를 가져오는 가장 대표적인 심장병이다. 팔로네 징후는 심실중격결손(ventricular septal defect: VSD), 폐동맥판협착(pulmonary stenosis defect: PS), 대동맥우위(overriding aorta), 우심실 비대(right ventricular hypertrophy)의 4가지 주 병변을 특징으로 한다. 이 중 폐동맥판협착의 정도가 예후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2. 팔로네 징후의 병태생리와 원인
팔로네 징후는 폐혈류 감소를 가져오는 대표적인 심장병으로, 심실중격결손, 폐동맥판협착, 대동맥우위, 우심실 비대의 4가지 주 병변으로 특징지어진다. 대체로 심실중격결손이 크고 폐동맥판협착이 심하여 우심실과 좌심실의 압력이 같다. 좁아진 폐동맥으로 나가지 못하는 정맥혈이 심실중격결손을 통해 대동맥으로 들어가므로 우-좌 단락이 형성되어 청색증이 나타난다. 청색증은 폐동맥판협착이 심할수록 더 심해지는데, 갑자기 폐동맥판협착이 심해지면 폐 혈류량이 감소하면서 심한 청색증이 생기는 무산소 발작이 발생할 수 있다. 팔로네 징후의 병태생리는 폐동맥의 협착, 심실중격결손의 크기, 폐순환과 체순환 저항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유전적 소인이 있어 부모가 선천성 심기형이 있는 경우 자녀의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팔로네 징후의 증상
3.1. 청색증
청색증은 팔로네 징후(Tetralogy of Fallot)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이다. 청색증은 동맥관이 닫히는 출생 후 일주일에 점차 심해지며, 입술, 입 안 점막, 손톱, 발톱 등에 푸른 빛이 현저하게 나타난다. 청색증은 폐동맥판협착의 정도가 심할수록 더 심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폐동맥판협착이 심하면 폐로 들어가는 혈액량이 감소하고 나머지 혈액이 심실중격결손을 통해 우-좌 단락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장기간 지속되는 청색증은 적혈구 증가증을 유발하고, 성장 및 발육 지연으로 이어진다.
3.2. 무산소 발작
무산소 발작은 갑자기 폐동맥판협착이 심해지면서 폐 혈류량이 감소하여 심한 청색증이 생기는 증상이다. 이로 인해 아동은 발작적인 과다호흡과 함께 청색증이 심해지고 과민성을 보이며 계속 운다. 심한 경우에는 의식이 없어지고, 때로는 경련이나 마비가 나타날 수 있으며 사망할 수도 있다.
무산소 발작은 일반적으로 아침에 잘 발생하며, 심하게 울 때 또는 수유나 배변 후에도 잘 일어난다. 이러한 무산소 발작이 지속되면 경련, 저산소성 뇌손상, 색전, 의식 상실, 돌연사의 위험이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고 적절히 치료해야 한다.
무산소 발작이 있을 경우 아동의 무릎을 굽혀 가슴에 붙...
참고 자료
김미예 외, 「아동건강회복간호」, 수문사, 2018
박은경 외, 「흉부 촬영사 심음영 확대에 따른 유용성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영상의학과, 광주보건대학교 방사선과, 조선대학교 원자력공학과, 2010
서울아산병원, “선천성심장병”,
https://www.amc.seoul.kr/asan/depts/iloveheart/K/bbsDetail.do?menuId=4525&contentId=262663
네이버 지식백과, “팔로네징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54239&cid=51362&categoryId=51362
네이버 지식백과, “청색증”,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458&cid=51007&categoryId=51007
네이버 지식백과, “심초음파검사”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507145&cid=51004&categoryId=51004
김미예 외, 아동건강회복간호, 수문사, p.161-162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팔로 4징증
장우성, 최희정, 이종민, 김재범, 김재현 and 장재석. (2017). 심장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팔로사징 완전 교정술 후 우심실 기능에 대한 연구.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34(2), 238-241.
박은숙 외,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하), 현문사(2016), p274-275
김영혜 외,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2012), p403
MEG GULANICK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