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상부 위장관 출혈의 중요성
상부 위장관 출혈은 중요한 의료 문제이다. 상부 위장관 출혈 발생 환자 중 약 10%가 출혈로 인해 사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부 위장관 출혈은 신속하고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요구되는 응급 상황이다. 상부 위장관 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은 소화성 궤양으로, 전체 출혈 환자의 약 50%를 차지한다. 소화성 궤양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그 외에도 식도-위 점막 열상, 간경화증으로 인한 정맥류 출혈, 출혈성 위염 등 다양한 원인이 있다. 상부 위장관 출혈은 토혈, 흑색변, 혈변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며, 중증일 경우 저혈압, 쇼크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따라서 상부 위장관 출혈 환자에 대한 신속한 진단과 혈액량 보충, 출혈 원인 제거 등의 응급 치료가 중요하다.
1.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상부 위장관 출혈은 식도, 위 그리고 상부 십이지장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의미하며, 토혈이나 흑변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는 약 1000cc 이상의 출혈이 있으면 혈변의 형태로도 나타날 수 있다. 상부 위장관 출혈 환자 중 10%가 출혈로 인해 사망하기 때문에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대학병원 응급실에서 실습하면서 상부 위장관 출혈 환자에 대한 처치보조를 많이 하게 되었고, 위장관 출혈의 증상이 흥미롭게 다가왔다. 이에 따라 위의 질환에 대해 더욱 심도 있는 공부를 해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2. 문헌 고찰
2.1. 간경화증의 정의
간경화증이란 여러 원인에 의한 간세포 손상으로 섬유화가 간 전체에 걸쳐 진행되어, 섬유성 반흔으로 둘러싸인 불규칙한 재생 결절이 생긴 상태이다. 간의 손상이 반복되면 간세포의 재생 능력이 떨어지고 간 표면이 딱딱하고 울퉁불퉁해지는 간섬유증이 생겨 이를 간경화증이라고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간세포의 기능이 떨어지고 혈류 저항이 증가하여 독성 대사 산물 증가, 단백 합성 감소 및 문맥압 증가로 혈액의 문맥 전신 단락이 일어나 복수, 간성 혼수, 정맥류 출혈, 위장관 출혈 등의 합병증이 발생한다.
2.2. 간경화증의 병태생리
간경화증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간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장기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대사 및 소화 작용을 담당하며 비타민과 호르몬 대사, 체내 화학물질의 해독, 혈액 속 세균의 파괴, 혈액 응고인자 합성, 혈액량 조절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만성 B형 간염이나 C형 간염, 과도한 음주, 비만, 간 독성 물질 사용 등으로 인해 간의 염증 상태가 지속되면 간경화가 발생한다. 간경화는 여러 원인에 의한 간세포 손상으로 섬유화가 간 전체에 걸쳐 진행되어 섬유성 반흔으로 둘러싸인 불규칙한 재생 결절이 생긴 상태이다. 이 과정에서 간세포의 기능이 떨어지고 혈류 저항이 증가하여 독성 대사 산물 증가, 중요한 단백의 합성 감소, 문맥압 증가로 인한 혈액의 문맥 전신 단락이 발생하게 되어 복수, 간성 혼수, 정맥류 출혈, 위장관 출혈 등의 합병증이 생긴다.
2.3. 간경화증의 원인
만성 B형 간염이나 C형 간염은 간경화의 가장 주된 원인이다. 만성 간염의 기간이 길어질수록 간세포 내에서 염증을 일으키고, 결국 간세포의 손상과 파괴를 일으켜 간경화로 발전할 위험이 증가한다. 만성 C형 간염의 10~15%, 만성 B형 간염의 5~10% 정도는 결국 간경화로 진행된다.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간경화의 또 다른 주요 원인이다. 알코올은 간에서 아세트알데하이드와 같은 독성 물질로 변환되어 염증과 조직 손상을 일으킨다. 손상된 간은 지방산을 분해할 수 없어 간에 지방이 쌓이고 결국에는 섬유화가 진행되어 간경화로 발전하게 된다. 여성은 남성보다 적은 양의 알코올 섭취에도 간 질환 발생 위험이 더 높다.
최근 비만, 대사 증후군 인구가 급증하면서 비알코올 지방간 질환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비알코올 지방간 질환은 지방이 간에 쌓여 결국 알코올에 의한 지방간과 유사한 경과를 밟아 간염, 간경화, 간암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자가면역 질환에 의한 간 질환으로는 자가 면역 간염과 원발 담도 경화증이 있다. 손상된 면역계가 자신의 간 세포와 기관을 공격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다.
혈색소증은 철의 대사 장애로 간을 포함한 몸 전체에 지나치게 많은 양의 철이 쌓여 간경화를 일으킨다.
2.4. 간경화증의 종류
간경화는 조직 형태학적으로 미소결절성, 거대결절성, 혼합형으로 분류되며, 임상적으로는 자각 증상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