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학점은행제 경제학개론 완전경쟁시장 생산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완전경쟁시장의 특징과 기업의 생산 결정
2.1. 완전경쟁시장의 개념과 특징
2.2. 완전경쟁시장에서 기업의 공급곡선 도출
2.3. 기업의 생산 결정 및 한계비용, 한계수입 분석
3. 기업의 생산 중단 결정 및 조업중단점
3.1. 장기적 관점의 조업중단점
3.2. 단기적 관점의 조업중단점
3.3. 가변비용과 고정비용의 역할
4. 결론
4.1. 완전경쟁시장에서의 기업 생산 결정
4.2. 기업의 생산 중단 결정 요인
4.3. 향후 과제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완전경쟁시장에서 기업은 무수히 많은 공급자와 소비자가 존재하며, 시장가격에 의해 자사의 생산량을 결정하게 되는 가격수용자의 지위에 놓여 있다. 이러한 완전경쟁시장의 특성으로 인해 기업의 공급곡선은 우상향하는 형태를 보이게 된다. 기업은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생산량을 최적화하며, 이때 기업의 이윤이 극대화된다. 또한 완전경쟁시장에서 기업은 장기적으로는 평균비용과 한계비용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생산을 결정하게 되며, 단기적으로는 평균가변비용보다 한계비용이 낮은 경우에 생산을 지속하게 된다. 반면 한계비용이 평균가변비용보다 높아지는 경우, 기업은 생산을 중단할 수밖에 없는 조업중단점에 도달하게 된다. 고정비용과 가변비용의 구조에 따라 기업의 단기 및 장기 조업중단점이 달리 결정되며, 이는 기업의 생산 결정에 핵심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완전경쟁시장에서 기업의 생산 결정과 생산 중단 결정은 한계수입, 한계비용, 가변비용, 고정비용 등 다양한 경제적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2. 완전경쟁시장의 특징과 기업의 생산 결정
2.1. 완전경쟁시장의 개념과 특징
완전경쟁시장에서는 다수의 공급자와 소비자가 존재하여 각각의 시장점유율이 매우 낮고 판매되는 재화가 동일하므로 기업은 시장에서 자유롭게 진입하거나 퇴출할 수 있다. 또한 개별 공급자나 수요자가 시장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개별 공급자나 소비자는 시장가격에서 얼마든지 판매하거나 구입할 수 있는데, 이는 기업이 가격수용자로 행동하게 되는 특징이다. 이러한 완전경쟁시장에서는 한계수입이 가격과 일치하고 기업은 시장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량을 한 단위 증가하면 수입은 가격만큼 증가한다. 따라서 기업의 이윤은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일치하는 생산량에서 극대화되고 마지막 한 단위의 한계비용이 시장가격과 같아지는 산출량을 생산할 때 최대의 이윤을 얻을 수 있다.
2.2. 완전경쟁시장에서 기업의 공급곡선 도출
완전경쟁시장에서는 다수의 공급자와 소비자가 존재하며, 각 기업은 매우 작은 규모의 시장점유율을 가지고 있어 시장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 따라서 완전경쟁기업은 가격수용자(price taker)로 행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개별 기업의 한계수입(MR)은 시장가격과 동일하다.
한편, 기업의 생산 결정 지점은 한계비용(MC)과 한계수입(MR)이 일치하는 ...
참고 자료
위더스평생교육원. 『경제학개론교안』
이준구, 이창용 『경제학 들어가기』
이준구 『미시경제학』
이준구, 미시경제학, 문우사
Robert S. Pindyck,Daniel L. Rubinfeld , 미시경제학, 시그마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