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보의 하루

  • 1
  • 2
  • 3
  • 4
  • 5
  • 6
  • 7
  • 8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떡보의 하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기업 선정 배경
1.2. 기업 소개
1.3. 해외시장 진출 전략 수립 필요성

2. 내부 환경 분석
2.1. BCG 매트릭스
2.2. SWOT 분석
2.3. 분석 결과

3. 외부 환경 분석
3.1. PEST 분석
3.2. 분석 결과

4. 해외시장 진출 전략 수립
4.1. 제품-시장 매트릭스
4.2. SWOT 매트릭스
4.3. 국제화 전략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기업 선정 배경

떡보의 하루는 대구에서 시작된 국내 최초의 떡 전문 프랜차이즈 기업이다. 지역 내의 기업이 피땀흘려가며 이루어 낸 전국 10개 지사와 해외 1개 지사의 유통망과 전국 150여개의 가맹점의 규모를 달성한 기업이라면 지금은 비록 해외에 있는 지사가 국내에서 만큼의 뚜렷한 효과를 내고 있지는 못하지만 앞으로의 성공할 잠재적인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현대의 글로벌 시대에서 한국의 우수한 전통문화와 눈부시게 발전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국의 의식주 생활패턴이 주목받고 있고, 한류라는 무시할 수 없는 마케팅 변수로 인하여 중국이나 일본은 물론, 필리핀 등의 동남아시아 권에서도 한국 제품과 음식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떡이라는 상품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간식이자 맛과 영양이 우수하여 영양 간식이다. 시대가 변하고 외국과의 교류가 많아지면서 현대인의 선호하는 떡의 종류도 과거와는 많이 달라졌고, 그에 따른 기업들의 상품개발과 마케팅에도 변화를 주고 있다. 떡보의 하루는 이 변화를 잘 감지하여 최초로 떡 케익을 만드는 독창성과 트렌드의 흐름에도 뒤처지지 않고 한 발 앞서 떡 베이커리, 떡 빙수를 만들어냈다. 보기도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고 상품들의 외양에도 신경을 많이 썼다. 이는 해외에서도, 특히 아시아권에서는 주로 쌀이 주식이기 때문에, 반감 없이 관심을 가지고 수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에 떡보의 하루라는 기업을 선택했다.


1.2. 기업 소개

(주)떡보의 하루는 예부터 전해오는 전통 떡을 현대적인 입맛에 맞게 재해석한 떡 전문 프랜차이즈 기업이다. 떡보의 하루는 2002년도에 동아백화점에서 작은 떡코너를 운영한 것이 떡 사업을 시작한 계기가 되었고 떡을 케익 모양으로 쌓아 올려 파는 것에서 모티브를 얻어 제품화한 것이 떡보의 하루 떡 케익의 시초이다. 2003년 대구에서 1호점을 오픈한 이후 현재 전국 150여 개(2014년 기준) 가맹점을 운영하고 있다. 떡보의 하루는 우리나라의 전통 먹을거리를 지킨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일반 떡에서 떡 케이크까지 웰빙식품으로 상품화했다. 재료는 순수 국산 쌀을 사용하고 있으며 부재료 국산화에도 노력하고 있다. 트랜스지방이 제로이면서 우수한 맛과 영양을 위해 국내산 천연재료만 사용한다는 것이 큰 장점으로 꼽힌다. 2010년 4월에는 우리 쌀 베이커리 카페도 선보였고, 2012년 4월에는 빙수전문카페 "cafe 빙수야"를 새로이 런칭하였다. 2013년 1월에는 한국 대표 100대 프랜차이즈 브랜드에 선정되기도 하며 떡 전문 프랜차이즈의 선두를 지키고 있다.


1.3. 해외시장 진출 전략 수립 필요성

떡보의 하루는 대구에서 시작된 국내 최초의 떡 전문 프랜차이즈 기업이다. 지역 내에서 피땀 흘리며 이룬 전국 10개 지사와 해외 1개 지사의 유통망, 그리고 전국 150여 개의 가맹점 규모를 달성한 기업이다. 현재 해외에 있는 지사가 국내만큼의 두드러진 성과를 내고 있지는 못하지만, 앞으로의 성장 잠재력은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더불어 현대의 글로벌 시대에서 한국의 우수한 전통문화와 발전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국의 의식주 생활 패턴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한류라는 강력한 마케팅 수단으로 인하여 중국이나 일본은 물론 동남아시아 권에서도 한국 제품과 음식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떡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간식이자 영양 간식으로, 시대가 변화하고 외국과의 교류가 늘어나면서 현대인의 선호하는 떡의 종류도 과거와 많이 달라졌다. 이에 따라 기업들의 상품 개발과 마케팅에도 변화가 생겨나고 있다. 떡보의 하루는 이러한 변화를 잘 감지하여 최초로 떡 케이크를 만들어내는 독창성과 트렌드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떡 베이커리와 떡 빙수 등 새로운 제품을 잇달아 선보였다. 또한 외양에도 신경 써 보기 좋은 떡을 만들어 먹기도 좋은 제품을 선보였다. 이는 쌀이 주식인 아시아 시장에서 반감없이 관심을 끌 수 있을 것이라 예상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떡보의 하루가 국내에서 쌓아온 힘과 잠재력, 그리고 해외 시장의 기회 요인들을 볼 때,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 수립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국내에서의 성공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브랜드로 ...


참고 자료

류성민·김경희·이우헌, 2012, “파리바게트의 글로벌 성장전략 사례분석”, 「2012년 (사)한국유통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73~180
류성민·장우정·조혜정, 2013, “글로벌 프랜차이즈 중국진출 전략: 파리바게트 케이스”, 「2013년 (사)한국유통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09~115
정력, 2014, “파리바게트 중국 시장 진출 전략에 관한 연구”, 우송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한국무역협회, 2014 「Marketing Guide 중국 시장, 이제는 프랜차이즈로 공략한다」
이준·조영삼, 2013-14, 「E-KiET 산업경제정보 중국 내수 식품시장의 성장 전망과 대응과제」산업연구원
한국무역협회 북경지부, 2014, 「중국 내 한류 효과와 소비재 수출 동향」
한국무역협회, 2014. 11. 11, ‘Trade Brief 한·중 간 무역투자 동향과 한·중 FTA 기대효과
아시아투데이, 2014. 11. 13, ‘[창간9주년] 별그대·닥터이방인·내그녀 등 한류 드라마 수출가 가파른 상승세’
그린경제신문, 2014. 11. 13, ‘중국인, 한국 커피향에 빠져들다…한국형 커피전문점 돌풍
jtbc 뉴스, 2014. 10. 26, ‘대륙 사로잡은 뷰티 한류…화장품 무역수지 첫 흑자’
KOTRA & globalwindow, 2014. 11. 05, ‘한류 프리미엄 중국 식품시장도 사로잡을까’
KOTRA 상하이, 2011. 6. 4,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 현황과 성공·실패사례
KOTRA & globalwindow, 2011. 05. 22, ‘중국 최대 프랜차이즈 전시회를 가다’
중앙일보, 2014. 03. 22, ‘중국서 명품 팔고 싶다면 한국 드라마 PPL 노려라’
떡보의 하루, http://www.dcake.co.kr,
빚은, http://www.bizeun.co.kr
마케팅 전략 연구소, http://www.msrkorea.co.kr
(21세기 웰빙)떡 한과 전통음료, 이연정, 대왕사, 2008
국내 대기업 외식산업 진출현황자료 http://cafe.naver.com
국제무역연구원 iit.kita.net
국제투명성기구 www.transparency.org
떡 개발과 상품화에 대한연구, 부산여자대학, 문정원, 1999
떡ㆍ한과의 세계화전략, 윤숙자, 2008
미국 경제의 현재와 미래, 하성근, 2008
미국 연방헌법의 정치사상, 김성수․최돈위, 2007
쌀과 떡 그리고 우리의 전통문화,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한국협회, 2008
우리나라 전통 떡의 이용현황에 관한 연구, 김옥선, 경희대학교 관광대학, 2003
신한종합연구소, 일본경제정보, 2005
일본 정치론, 현대일본학회, 2007
일본 정치의 이해, 히라노 히로시․고노 마사루, 이성환 옮김, 2004
지역뉴스 http://www.youth24.net
카페형 떡 전문점에 대한 인지도 및 이용현황, 최소담, 숙명여대 전통문화예술대학, 2007
한국경제 http://www.hankyung.com
한국 전통떡류에 대한 외국인의 인식 및 기호도 조사, 최선규, 숙명여대 전통문화예술 대학, 2004
한국전통식품의 국제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고경일․ 노승재․ 임효창, 통상정보연구 제9권 2호, 2007.06.27
YTN뉴스 http://news.naver.com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