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신생아기는 출생에서부터 생후 4주까지의 기간을 말하며 이 시기에는 자궁 외의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많은 신체적 변화가 일어난다. 따라서 정상신생아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잠재적인 간호문제를 파악하여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이 사례연구를 선택하였다. 또한 연구대상 병원에 이 아기 한 명뿐이어서 더욱 쉽고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어서 선택하게 되었다.
신생아란 분만 직후부터 독립된 자궁외 생활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획득할 때까지의 아이로, 출생 후 첫 4주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이 시기에는 산소-이산화탄소의 교환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폐기능이 활성화되며 순환기계는 태아단락의 기능적 폐쇄로 인해 혈액을 폐로 흐르게 하는 변화가 발생한다. 위장관은 음식을 소화시키고 신장은 노폐물을 배출할 수 있게 한다. 면역기능은 감염에 대한 방어력을 가지고 내분비계도 독자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정상적인 신생아는 모든 적응을 잘 나타내면서 건강한 상태를 의미한다.
정상신생아의 생리적 특징으로는 체온조절, 조혈계, 수분과 전해질 균형, 위장관계, 피부계, 감염에 대한 반응 등이 있다. 체온조절은 호흡이 완성된 다음 신생아의 생존에 가장 중요한데, 신생아는 넓은 체표면적과 얇은 피하지방층, 비떨림 열생산 등으로 인해 과도한 열손실이 야기된다. 조혈계는 출생 시 총 혈액량이 평균 300mL이며 제대결찰이 지연되는 정도에 따라 100mL 정도 혈량이 증가할 수 있다. 수분과 전해질 균형은 출생 시 신생아의 총 수분량이 전체 몸무게의 73%이고 세포외액의 비율이 높아 탈수, 산증 및 과다수분공급이나 수분중독증 등에 빠질 수 있다. 위장관계는 단백질과 단순탄수화물을 조절하는 효소는 적절하나, 췌장 아밀라아제 생산의 불충분으로 복합탄수화물의 이용은 제한적이다. 피부는 표피와 진피가 서로 느슨하게 붙어 있고 매우 얇아 반창고 제거와 같은 작은 자극에도 피부층이 분리되고 수포가 생긴다. 감염에 대한 반응은 피부와 점막이 일차방어선으로 균의 침입을 막고 이차방어선인 면역세포와 삼차방어선인 항체 형성으로 이루어진다.
신생아의 신체사정 시 관찰해야 할 항목으로는 활력징후, 신체계측, 피부, 머리, 눈, 귀, 코, 가슴, 폐, 심장, 복부, 생식기, 등과 항문, 사지 등이 있다. 활력징후는 체온 36.5~37.5℃, 맥박 120~160회/분, 호흡 30~60회/분, 혈압 80/50mmHg 등이다. 신체계측으로는 머리둘레 33~35.5cm, 가슴둘레 30.5~33cm, 머리엉덩길이 31~35cm, 체중 2,700~4,000g 등이 정상 범위이다. 피부는 출생 시 밝은 붉은 색을 띠다가 2~3일째 분홍색, 4일경 황달이 보이며 태지와 솜털이 관찰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