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심실중격결손 아동간호학 연구필요성 만들어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순환계 기능의 사정
3. 순환계 건강문제 아동간호
3.1. 선천성 심장질환 아동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간호중재
3.2. 후천성 심장질환 아동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간호중재
4. 심장수술 아동의 간호
4.1. 수술 전 간호중재
4.2. 수술 후 간호중재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심실중격결손 아동의 건강문제와 간호중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선천성 심장질환의 대표적인 질환인 심실중격결손은 아동의 생애 초기 발달과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다. 심실중격결손은 전체 선천성 심장질환의 30-40%를 차지할 만큼 흔한 질병으로,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질환을 가진 아동의 간호중재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심실중격결손 아동의 간호중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 순환계 기능의 사정
활력징후 사정은 호흡, 맥박, 체온, 혈압을 측정하여 실시한다. 빈맥, 서맥, 불규칙한 박동은 심장의 이상을 의심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또한 상지와 하지에서의 혈압 차이가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어 있으면 대동맥 축착을 의심할 수 있다.
전신 관찰을 통해 전신상태를 관찰하고 체중 및 신장을 측정하여 정상발달과 비교한다. 심장질환이 있는 아동은 저산소증, 피부 창백함, 청색증이 관찰된다.
심혈관계 촉진으로 요골동맥과 대퇴동맥을 동시에 촉진하여 맥박크기의 차이를 평가한다. 이를 통해 심장질환과 관련된 수축기성 진전을 확인함으로써 심장의 크기를 진단하는데 유용하다.
호흡음과 심잡음 청진을 통해 심박동수와 심장리듬의 정상여부를 확인한다. 심장 내 혈류가 비정상적이거나 혈류 유출로가 좁아져 있으면 심잡음이 청진된다.
3. 순환계 건강문제 아동간호
3.1. 선천성 심장질환 아동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간호중재
선천성 심장질환 아동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간호중재이다.
순환계 기능 장애로 인한 가스교환장애를 다루기 위해서는 환아의 활력징후, 동맥혈 가스분석, 청색증, 호흡곤란 징후, 체온 등을 사정한다. 산소요구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체온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고, 필요 시 처방에 따라...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2020) I,II 수문사.
아동청소년간호학(2021) II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Adele Pillitteri (2003), 군자출판사, 아동간호학 2, p. 757~504
김미예, 김인수, 김수옥, 김은경, 김은영, 김은정 외 16인 (2015), 수문사, 최신 아동건강 간호학 총론, p. 212~345
박충선, 김미희, 김은영, 김은주, 남혜리, 박수아 외 4인 (2017), 퍼시픽북스, 건강회복을 위한 아동건강 간호학 II, p. 485~523
서울대 의대 환경보건센터 (2014)
장우심, 황혜정, 주영주, 구정아 (2013), 학지사, 아동간호학, p.101~121, 246~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