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공고관절 시뮬레이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인공고관절 시뮬레이션
1.1. Degenerated Osteoarthritis of Hip Rt. 진단
1.1.1. 정의
1.1.2. 증상
1.1.3. 진단
1.1.3.1. 골 주사 검사(골 스캔)
1.1.3.2. 자기 공명 영상(MRI)
1.1.3.3. 방사선 검사(X-ray)
1.1.4. 예방방법
1.1.4.1. 적정체중 유지
1.1.4.2. 적절한 활동
1.2. 인공고관절대상자의 수술 전 간호
1.2.1. 수술을 위한 신체 관리
1.2.2. 수술 전 검사 및 준비
1.3. 인공고관절대상자의 수술 후 간호
1.3.1. 수술 후 체위와 운동
1.3.2. 통증 및 합병증 관리
1.3.3. 퇴원 및 일상생활 안내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인공고관절 시뮬레이션
1.1. Degenerated Osteoarthritis of Hip Rt. 진단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을 구성하는 여러 성분 중 관절 연골과 그 주위의 뼈에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는 질환이다. 체중을 많이 받는 관절, 즉 무릎 관절과 엉덩이 관절 등과 깊은 관련이 있다. 주된 원인은 오랜 세월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한 노화에 따른 퇴행성 변화이며, 외상, 잘못된 자세, 비만 등으로 인해 발병하기도 한다. 척추 질환의 경우에도 고관절까지 통증이 있는 경우가 많아 오해를 일으킬 수 있다.
퇴행성 관절염의 주요 증상은 움직일 때 엉덩이나 사타구니 쪽에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다. 양반다리를 하고 앉을 때, 계단을 오를 때 통증이 느껴지며, 심한 경우 뒤뚱거리며 걷거나 다리를 절뚝거릴 수 있다. 앉았다 일어나기가 힘들고, 활동을 하면 관절 통증이 악화되며 쉬면 호전되는 양상을 보인다. 특히 저녁 시간, 특히 잠자기 전에 통증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퇴행성 관절염의 진단은 환자의 자세한 병력 분석, 이학적 검사, 방사선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방사선 검사에서 관절 간격의 감소, 골극 형성, 연골하골 경화 및 낭종 등의 특징적인 소견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골주사 검사와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통해 관절의 상태를 더욱 자세히 관찰할 수 있다. 하지만 나이 든 사람은 모두 어느 정도의 퇴행성 변화를 보이므로 다른 질환을 배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을 위해서는 적정 체중 유지와 적절한 활동이 중요하다. 과체중과 비만은 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을 증가시켜 퇴행성 관절염의 발병과 진행을 촉진하므로, 식이 조절과 운동을 통해 적정 체중을 유지해야 한다. 또한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고 충격이 심하지 않은 유산소 운동과 근력 강화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1,2,3,4,5,6,7,8]
1.1.1. 정의
관절은 두 개 이상의 뼈를 이어주는 조직체로서 신체의 움직임을 조절하며, 관절을 둘러싸는 연골은 관절운동을 매끄럽게 하는 윤활작용과 골격에 가해지는 물리적 힘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퇴행성 관절염은 퇴행성 관절 질환, 골관절염이라고도 불리며, 국소적인 관절에 점진적인 관절 연골의 소실 및 그와 관련된 이차적인 변화와 증상을 동반하는 질환이다.
1.1.2. 증상
질병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움직일 때 엉덩이나 사타구니 쪽에 통증이 발생한다. 양반다리를 하고 앉을 때 엉치 쪽에 통증이 발생한다. 계단을 오를 때 통증이 발생한다. 심할 경우 뒤뚱거리면서 걷거나 다리를 절룩거린다. 앉았다 일어나기가 힘들다. 활동을 하면 관절 통증이 악화되고, 쉬면 호전된다. 저녁 때, 특히 잠자기 전에 통증이 심해진다. 걸을 때 아프고 절뚝거린다.질병의 증상은 관절을 포함한 관절 주변 부위에서 나타나며, 관절의 기능 저...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병원, N 의학정보, 퇴행성 관절염,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196
김철민,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염)”, 2012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추계 통합학술대회, p.87-92
Englewood, Joint Replacement Center, “인공 고관절 수술 환자 가이드”
대한슬관절학회, “슬관절학회와 함께하는 퇴행성 관절염 가이드북”, http://www.koreaknee.or.kr/pop/file/pop_01.pdf
이은봉, “관절염의 임상상과 감별진단”, 대한내과학회지, 제 83권, 제 2호, 2012, http://dx.doi.org/10.3904/kjm.2012.83.2.157
식품의약품안전처, “골관절염 치료제 임상시험 가이드”
대한정형외과학회, 고관절 골관절염, https://www.koa.or.kr/info/index_1_6.php
삼성서울병원, 건강정보, 질환정보, 질환백과, 근골격계 질환, 골(퇴행성) 관절염,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33876&CONT_SRC=HOMEPAGE&CONT_ID=6710&CONT_CLS_CD=001020001005
고자경 외 2인, 「성인간호학Ⅱ」, 퍼시픽북스, 2017, p.1100-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