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동 심장압박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동 심장압박기
1.1. 자동 심장압박기의 개요 및 대상자 정보
1.2. 간호 활동 보고서
1.2.1. 목적
1.2.2. 적응증/금기증
1.2.3. 절차/방법
1.2.4. 간호
1.2.5. 기타(느낀 점/추가학습)
1.2.6. 제품 사진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동 심장압박기
1.1. 자동 심장압박기의 개요 및 대상자 정보
자동 심장압박기인 SCD(Sequential Compression Device)는 하지에 간헐적인 공기 압박을 가하여 혈액순환을 증진시키는 기구이다. 이는 혈류 속도를 높이고 혈전 용해와 혈관 확장의 효과가 있어 수술 후 환자나 고령 환자에게 주로 사용된다. 본 병동에는 XPDO DVT 300과 Kendall SCD 700 series라는 두 종류의 SCD 기기가 비치되어 있다. 77세 남환 김OO씨는 HIVD 수술 이후 본 병실에 입원하여 ABR 중이며, DVT 예방을 위해 SCD를 적용받고 있다. 김OO씨는 10년 전 고혈압 진단을 받았고 4년 전 위암과 대장암 수술을 받았으며, 최근 5월에 당뇨병을 진단받았다. 수술 후 침상 안정으로 인해 DVT의 위험이 높아진 환자에게 SCD 적용은 필수적인 DVT 예방 중재이다.
1.2. 간호 활동 보고서
1.2.1. 목적
수술 후 침상 안정을 하는 대상자는 혈류 흐름이 제한될 수 있어 Deep Vein Thrombosis가 초래하는 Pulmonary Embolism(폐색전)의 위험성이 증가된다. 병동에서는 이런 부분을 예방하기 위해서 다리에 자동 마사지를 해주기 위해 SCD를 적용하고 있었다. SCD나 압박 스타킹을 통해서 다리에 압박을 가하게 되면 다리의 혈류 흐름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최종적으로 환자가 자유롭게 걸을 수 있는 상태가 되기 전까지 대부분 수행하는 경우가 많고, 고령이거나 순환 기능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걸을 수 있는 상태가 됐을 때도 침상에 있을 때는 적용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았다.
DVT는 몸속 깊은 정맥(다리)에서 혈구가 뭉쳐 혈전으로 발전하여 유발된다. 혈류가 정체되면 이런 위험이 증가하는데 DVT에 대한 적절한 처치가 없으면 잠재적으로 그 혈전이 우심방, 우심실을 거쳐 폐의 혈관으로 이동하여 폐혈관을 막는 Pulmonary Embolism(폐색전)의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SCD와 압박 스타킹을 통해 다리에 압박을 해주는 것 이외에도 침상에 누워 있을...
참고 자료
김화순, 조옥민, 김지선, 장해옥, 김여경, 김설희, ... & 정준호 (2015). 항혈전스타킹과 간헐적공기압박기 적용이 중환자의 심부정맥혈전 발생 예방에 미치는 효과: 예비조사. 기본간호학회지, 22(3), 249-257.
조무용, 김분한, & 김기숙. (2016). 뇌수술 환자의 심부정맥혈전증 예방과 피부반응에 미치는 실험연구: 부츠형과 무릎형의 간헐적 공기 압박기 적용에 따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5), 203-212.
Arabi, Y. M., Al-Hameed, F., Burns, K. E., Mehta, S., Alsolamy, S. J., Alshahrani, M. S., ... & Al-Dawood, A (2019). Adjunctive intermittent pneumatic compression for venous thromboprophylaxi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80(14), 1305-1315.
UMHS Nursing Units. (2013). Protect Yourself from Deep Vein Thrombosis with Sequential Compression Device. from https://www.med.umich.edu/1libr/NursingUnits/SCD.pdf
제 7판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7, 황옥남 외
에이플러스 nursing manual 핵심임상 간호매뉴얼 1, EduCase,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