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명상과 미술활동을 활용한 태교 프로그램이 임신부의 정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과 문제
2. 연구 방법
2.1. 실험 설계
2.2. 실험 대상
2.3. 자료수집 도구
2.4.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3. 분석결과 및 해석
3.1. 태교 미술활동의 정서분석
3.2. 태교 미술활동의 상태-특성 불안검사 분석
3.3. 태교 미술활동의 태아애착 검사 분석
3.4. 임신부들의 주관적 경험사례와 소감분석
4. 요약 및 논의
4.1. 요약
4.2. 논의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사회가 변화해감에 따라 개인의 적성에 맞는 개별교육 및 창의적인 교육 시스템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여성에게 임신은 여러 가지의 신체적인 경험뿐만 아니라 정신적, 심리적, 사회·경제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경험이다. 임신부의 이런 정서적 불안상태를 안정시킴과 동시에 태아에 대한 정성과 애정을 어떻게 증진시키느냐 하는 것이 태교의 요체라 할 수 있다. 또한 아직까지 명상과 미술활동을 병행시킨 선행연구나 태교를 받고 있는 임신부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발견되지 않았다.
1.2. 연구의 목적과 문제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부의 심리적 특성인 불안한 정서의 안정과 더불어 임신부의 태아애착을 증진시키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명상과 미술활동을 활용한 태교 프로그램이 임신부의 정서, 태아애착증진에 효과를 보이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임신은 여성에게 여러 가지의 신체적인 경험뿐만 아니라 정신적, 심리적, 사회·경제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경험이다. 이러한 임신부의 정서적 불안상태를 안정시키고 동시에 태아에 대한 정성과 애정을 어떻게 증진시키느냐 하는 것이 태교의 핵심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명상과 미술활동을 활용한 태교 프로그램이 임신부의 정서 안정과 태아애착 증진에 효과적인지를 구체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아직까지 명상과 미술활동을 병행시킨 선행연구나 태교를 받고 있는 임신부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2. 연구 방법
2.1. 실험 설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서 태교교육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실험집단에 한해서 추가로 명상 미술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실험기간은 총 6주 동안이었고, 1회에 90분씩 12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2.2. 실험 대상
본 연구의 실험 대상은 총 14명의 임신부이다. 이 중 실험집단은 6명, 통제집단은 8명으로 구성되었다. 실험 기간은 총 6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1회 90분씩 총 12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실험집단에게는 명상과 미술활동이 추가로 적용되었다. 따라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동일한 태교교육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2.3. 자료수집 도구
정서 검사는 실망감과 연관된 정서 및 초조감과 연관된 정서로 나누어 이들과 관련된 부정적 정서와 긍정적 정서를 표현하는 형용사 20개를 선정하였다. 상태-특성 불안 검사는 스필버그의 상태-특성 불안척도 40개의 문항을 사용하였다. 태아애착 검사는 크랜리의 태아애착 척도를 사용하였다. 명상과 태교 미술활동 프로그램은 전·중·후반부(각 4회씩 총 12회)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매 회기마다 도입부분에서 시작태담과 명상을 하고, 생활태교와 실습을 병행하였으며 마무리 태담으로 활동신간을 끝맺음 하였다.
2.4.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사전검사는 2월 23일, 사후검사는 3월 28일에 각각 실시되었으며, 자료 분석 시 사후검사 평균점수에서 사전검사 평균점수를 뺀 차이점수, 즉 집단 간 변화점수를 검증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집단 간 변화점수를...
참고 자료
금연길라잡이 홈페이지 : 임신과 흡연
(http://www.nosmokeguide.go.kr/lay2/bbs/S1T33C109/H/22/view.do?mode=view&article_seq=356&tag_name=&cpage=1&rows=10&condition=&keyword=&cat=&rn=)
한국금연 운동협의회 ‘특집. 아직도 담배를 피우십니까 : 임산부의 흡연과 태아’
여성흡연자를 위한 금연상담의 실제 이해_이유정(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금연친구 –임신 중 흡연 파괴적 관계, 임산부와 태아의 탈출구는 금연
Does maternal smoking have a negative physiological effect on breastfeeding? The epidemiological evidence. Breastfeed Rev. 2003 Jul;11(2):19-29.
Breastfeeding and Smoking: Short-term Effects on Infant Feeding and Sleep. Pediatrics. 2007 Sep; 120(3): 497–502.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Volume 83): Tobacco Smoke and Involuntary Smoking. 2004
FTND-K(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Does maternal smoking have a negative physiological effect on breastfeeding? The epidemiological evidence. Breastfeed Rev. 2003 Jul;11(2):19-29.
Breastfeeding and Smoking: Short-term Effects on Infant Feeding and Sleep. Pediatrics. 2007 Sep; 120(3): 497–502.
금연길라잡이 홈페이지 : 임신과 흡연 (http://www.nosmokeguide.go.kr/lay2/bbs/S1T33C109/H/22/view.do?mode=view&article_seq=356&tag_name=&cpage=1&rows=10&condition=&keyword=&cat=&rn=)
국립암센터 뉴스레터 - 아버지 한 갑 흡연하면 태아는 한 개비 흡연하는 셈 (국립암센터 뉴스레터, 2008. 12)
Neonatal Hair Nicotine Levels and Fetal Exposure to Paternal Smoking at Home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2008)
Hair nicotine levels in non-smoking pregnant women whose spouses smoke outside of the home (Tobacco Control, 2010)
국립암센터 뉴스레터 - 아버지 한 갑 흡연하면 태아는 한 개비 흡연하는 셈 (국립암센터 뉴스레터, 2008. 12)
Neonatal Hair Nicotine Levels and Fetal Exposure to Paternal Smoking at Home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2008)
Hair nicotine levels in non-smoking pregnant women whose spouses smoke outside of the home (Tobacco Control, 2010)
보건복지부 _ 금연상담전화 임신여성 프로그램 계획 (금연길라잡이)
멘토링의 의의와 효과적 관계형성 전략 1-1 (_김문근, 사회복지학 박사)
금연서약서 – 부산대학교 병원 금연클리닉 참고
기본간호학회지 제 13권 제 2호, 2006년 8월 (임상 간호사의 금연중재에 대한 태도와 금연정책 참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2003년, 2010년 임산부 흡연실태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김주연, 2010학년도 석사학위 논문)
현대 임산부의 영양과 건강문제-임신 중 질병, 음주, 흡연과 환경오염 물질이 임산부의 건강 및 태아에 미치는 영향-.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7(2),257-275p
김태균(2009). 태교가 즐겁다.
이유인, 강은정(2015). 엄마 마음, 태교.
김예린(2010). 임산부를 위한 발레 태교 프로그램의 만족도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철(2005). 태교신기에 나타난 ‘존심’과 ‘정심’의 교육적 의미. 도덕교육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