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도서관운동가엄대섭"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도서관운동가 엄대섭
2.1. 유년기
2.2. 청·장년기
2.3. 노년기
3. 마을문고 운동
3.1. 마을문고의 정의
3.2. 마을문고 운동의 목적
3.3. 마을문고 운동 이전의 독서운동
4. 1960년대 마을문고 운동
4.1. 1960년대의 마을문고 운동의 기본방침
4.2. 마을문고운동의 특징점
4.2.1. 자연부락 단위의 설치
4.2.2. 공공도서관의 보완적 성격
4.2.3. 자율적인 시스템
4.2.3.1. 독서회
4.2.3.2. 월간『마을문고』
5. 마을문고 운영실태 및 효과
6. 맺음말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도서관의 역사와 그 의의는 우리나라의 평생교육 발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특히 일제강점기와 전쟁의 어려움 속에서도 도서관 보급과 독서운동을 통해 국민의 지적 수준을 높이고자 한 노력은 선구적이라 할 수 있다. 이 중에서 도서관운동가 엄대섭은 마을문고 운동을 통해 농어촌 주민들의 독서 환경 개선에 힘써 왔으며, 이는 공공도서관 시스템 발전의 기반이 되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엄대섭의 생애와 마을문고 운동의 주요 내용 및 성과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도서관의 공공성과 평생교육적 가치를 확인하고자 한다.
2. 도서관운동가 엄대섭
2.1. 유년기
엄대섭은 1921년 경상남도 울주군 웃촌면 대대리의 소작농 집안 5남매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생계가 어려워지자 일본 규슈로 이주한 엄대섭의 부모는 막노동하여 생계를 이어나갔다. 그러던 중 제철소에서 일하던 아버지가 사고로 불구가 되어 14세부터 엄대섭은 학교를 중퇴하고 소년가장의 길을 걸어야 했다. 그는 두부장수, 세탁소 점원, 방직공장 직공 등을 전전하면서도 배움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대본소' 혹은 '헌책방'을 섭렵하며 책 읽기에 몰두했다고 한다. 이러한 사실은 『신동아(新東亞)』 잡지에 실린 엄대섭의 수기에서도 생생히 나타난다. 엄대섭은 경제난에 시달렸지만, 대한민국의 해방 이후 성공한 사업가가 되었다. 19세의 나이로 백여 두락(2만여 평)의 논과 기와집, 멸치 어장을 사 귀향하며, 일제감점기 당시 일본 정부가 일용품 공급을 통제하는 상황에서 책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부잣집의 안 입는 낡은 옷가지를 사들여 서민에게 되파는 사업을 시작해 크게 성공한 것이다.
2.2. 청·장년기
엄대섭은 일제강점기 일본 규슈로 이주한 소작농 가정에서 태어났다. 14세에 학업을 중단하고 소년가장이 되어 두부장수, 세탁소 점원, 방직공장 직공 등 온갖 잡역을 했지만, 책 읽기에 열중했다. 해방 이후 성공한 사업가가 되었고, 귀향 후에도 독서를 꾸준히 이어나갔다.
1950년 한 헌책방에서 『도서관의 운영과 실재』라는 책을 우연히 접하면서 도서관에 대한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당시 정부는 도서관 보급을 할 여력이 없었기에 엄대섭은 자비로 경주에 '울산 사립 무료도서관'을 개관하였다. 이후 도서관협회 사무국장으로 근무하며 농촌과 같은 도서관 소외지역 주민들을 위한 대중도서관 운동에 관심을 기울이다가 실패를 경험하게 된다.
이를 계기로 엄대섭은 농민들의 자발적인 독서 욕구를 자극하는 '마을문고운동'을 시작하였다. 1961년 첫해에 26개였던 마을문고가 1971년 3만 개를 돌파하는 전국적인 운동이 되었다. 이 운동은 이전의 독서운동과 차별화되어 농민들이 스스로 독서회를 조직하고 책을 사서 운영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엄대섭은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80년 '막사이사이상 공공 봉사 부분 상'을 수상하였다. 그러나 문고 수의 급격한 증가로 재정난에 시달리던 중 1981년 '새마을운동'에 통합되면서 마을문고 운동을 포기하게 되었다.
이후 엄대섭은 도서관의 개혁 운동에 앞장섰다. '대한도서관연구회'를 중심으로 관외 대출제와 개가 열람제 등을 실시하여 도서관 시스템을 현대화하는데 기여했다. 건강 악화로 1987년 도서관 운동에서 사직한 엄대섭은 2009년 향년 89세에 세상을 떠났다.
2.3. 노년기
노년기
엄대섭은 1987년 도서관 운동에서 사직하고 2009년 미국 로스엔젤레스에서 향...
참고 자료
한라대학교 평생교육원 홈페이지 평생교육원 교육원소개 “평생교육의 의의”
https://lifedu.halla.ac.kr/user_sub.php?gid=www&mu_idx=9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HOME >교육 > 평생교육 「100세 시대 행복한 노년을 위한 평생교육」 남애리
https://theme.archives.go.kr/next/koreaOfRecord/LifelongEdu.do
「공공도서관의 평생교육 추세와 경향에 관한 연구」 이애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7권 제4호) 2006.12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689881
「도서관 인물탐구 - 엄대섭 도서관운동의 의미와 과제」 이용남 (도서관문화 제54권 제6호) 2013.01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791939
「마을문고 창시자 엄대섭선생 회고전」 김학찬 조선일보 2012.10.26.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2/10/26/2012102600321.html
「공공도서관의 평생교육적 역할에 관한 고찰」 곽동철 (한국 도서관·정보학회지 제36권 제2호) 2005.06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689913
「우리나라 도서관 역사를 찾아서④(1980~1990년대 도서관운동」 송현경 내일신문 2022.02.24.
https://m.naeil.com/news/read/415185
오영준, 「1960-70년대 마을문고운동의 전개와 성격 변화」,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이용남, 「마을문고 운동의 초기 전개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4권 제4호, 2000
이용남, 「엄대섭 도서관운동의 의미와 과제」, 『도서관문화』, 2013
최지혜,『책민들레 엄대섭 모두의 도서관을 꿈꾸다』, 천개의 바람, 2019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45082&cid=46615&categoryId=46615 [네이버지식백과] 마을문고(2020. 11. 26 검색)
https://namu.wiki/w/%EC%97%84%EB%8C%80%EC%84%AD[나무위키]엄대섭, (2020. 11. 26 검색)
https://ko.dict.naver.com/#/entry/koko/f7808b505d1a4df78a606340fefcfeb0 [네이버 국어사전] 자연부락(2020.11.27 검색)
<그림1> http://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723403
<그림2>https://blog.naver.com/athousandhope/221724376400
<그림3> https://blog.naver.com/athousandhope/221724480640
<그림4> 이용남, 「엄대섭 도서관운동의 의미와 과제」, 『도서관문화』, 2013, 17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