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니코마코스 윤리학 정의
1.1. 행복의 개념과 실현 가능성
아리스토텔레스는 우리 인간의 모든 행위의 궁극적 목적인 '최고선'을 행복이라고 주장한다. 우리는 행복하기 위해 행위하며, 행복은 수단적 가치나 도구적 가치가 아닌, 궁극적 가치이자 목적격 가치이다. 행복은 '인간만의 것' 이자 '인간만이 추구할 수 있는 것' 그리고 '인간만이 누릴 수 있는 것'이다. 행복은 어떠한 상태가 아니라 오히려 하나의 활동이기에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고유한 기능인 '이성'이 필요하다. 행복은 이러한 이성을 가장 잘 실현할 때 가능하며, 이성을 가장 잘 실현하기 위해서는 덕을 실천해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덕이 있는 사람이 되려면 감정을 다스리고 관리하며 중간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때의 '중간'은 평균값이 아니라 '마땅한 때에, 마땅한 일에 대하여, 마땅한 동기로, 그리고 마땅한 태도로 행동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것이 바로 중용이며 참된 덕이라고 주장한다.
1.2. 덕과 중용 사상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에 이르기 위해서는 덕을 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덕이 있는 사람이 되려면 감정을 다스리고 관리하며 중간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중간은 평균값 같은 것이 아니라 '마땅한 때에, 마땅한 일에 대하여, 마땅한 동기로, 그리고 마땅한 태도로 행동하는 것'이 바로 중간상태인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것이 바로 중용이며 참된 덕이라고 주장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덕을 크게 '도덕적인 덕'과 '지적인 덕'으로 나누었다. 도덕적인 덕은 선택과 관계된 성품의 상태로, 정념에 대한 처신인 성품과 관련이 있으며 사람의 습관에 의해 형성된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덕을 실천하는 것만으로는 행복에 도달할 수 없으며 덕의 중용이야 말로 진정한 덕의 실현이며 이는 끊임없는 교육과 실천을 통해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도덕적 덕의 예로는 용기, 절제, 관후, 긍지, 온화함, 사교상의 덕, 수치심, 그리고 정의가 있다. 한편 지적인 덕은 긍정과 부정을 통해 정신의 진리를 얻도록 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학문적 인식, 기술, 실천적 지혜, 철학적 지혜, 이성이 있다. 즉 도덕적인 덕이 습관의 결과라면, 지적인 덕은 주로 교육을 통해 얻어지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지적인덕을 도덕적 덕보다 우위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도덕적덕은 감각적 즐거움과 관련 있지만, 지적인 덕은 과학적이며 철학적인 영역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은 생애 전체에 걸쳐 지속적으로 완전한 덕을 성취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이때 '정신의 덕이 있는 활동'이 바로 행복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중용을 실천하는 것은 덕을 쌓는 과정이자 궁극적인 행복에 이르는 길이라고 볼 수 있다.
1.3. 도덕적 덕과 지적 덕의 구분
아리스토텔레스는 덕을 크게 '도덕적인 덕'과 '지적인 덕'으로 나누었다. 도덕적인 덕은 선택과 관계된 성품의 상태로, 정념에 대한 처신인 성품과 관련이 있으며 사람의 습관에 의해 형성된다. 반면 지적인 덕은 긍정과 부정을 통해 정신의 진리를 얻도록 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학문적 인식, 기술, 실천적 지혜, 철학적 지혜, 이성이 있다. 즉 도덕적인 덕이 습관의 결과라면, 지적인 덕은 주로 교육을 통해 얻어지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지적인 덕을 도덕적 덕보다 우위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도덕적 덕은 감각적 즐거움과 관련 있지만, 지적인 덕은 과학적이며 철학적인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