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문학 작품의 문체와 필력은 작품의 전반적인 플롯이나 캐릭터성과 비교될 만큼 중요한 요소이다. 작품의 문체와 필력에 대한 학습은 작품 전체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은 작가의 미려한 문체와 우수한 필력이 여실히 드러나는 작품이기에, 문학 작품의 문체를 학습하는데 있어 중요한 표본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작품의 문체가 가지고 있는 주요한 특성, 그리고 작품에서 드러나는 지역적, 시대적 특성에 대해 논하고, 이를 실제 교육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2. 작품 분석
2.1. 작품 한 눈에 보기
메밀꽃 필 무렵은 장돌뱅이 허 생원의 이야기를 통해 떠돌이 삶의 애환과 육친의 정을 그린 소설이다. 작품의 배경은 1920년대 강원도 봉평에서 대화 장터로 가는 길이며, 주요 등장인물은 허 생원, 조 선달, 동이이다. 허 생원은 왼손잡이의 장돌뱅이로 평생 장터를 다니며 물건을 팔아 살아왔고, 성 서방네 처녀와 가졌던 젊은 시절의 추억을 간직하고 있다. 동이는 나이 어린 장돌뱅이로 홀어머니를 모시며 살아가고 있는데, 허 생원과 같이 왼손잡이이다. 작품은 현재의 시간과 과거의 시간이 교차하며 전개되는데, 현재의 시간은 주로 장면적 서술 방법으로, 과거의 시간은 요약적 서술 방법으로 제시된다. 또한 작품에는 허 생원과 정서적으로 융합하는 '나귀'가 하나의 상징으로 등장하며, 달밤에 핀 메밀꽃이 작품의 분위기와 주제를 형성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2.2. 작품 내적 분석
이 작품은 두 개의 사건을 축으로 하고, 그 두 축이 씨줄과 날줄처럼 서로 교차하면서 이야기가 진행된다. 하나는 허 생원이 회상하는 과거의 추억이고, 다른 하나는 등장인물들이 봉평 장에서 대화 장터로 옮겨 가는 과정과 관련된 현재의 사건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