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pontine infarction"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본론
2.1. 뇌경색의 정의 및 원인
2.2. 뇌경색의 임상 증상
2.3. 뇌경색의 진단 및 검사
2.4. 뇌경색의 치료
2.4.1. 내과적 치료
2.4.2. 외과적 치료
2.4.3. 특수 치료법
3. 간호과정 적용
3.1. 간호사정
3.1.1. 주관적 사정
3.1.2. 객관적 사정
3.2. 간호진단
3.3. 간호계획
3.4. 간호중재
3.5. 간호평가
4. 고찰 및 결론
4.1. 연구결과 요약
4.2. 연구의 제한점
4.3. 간호학적 의의 및 향후 과제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뇌경색의 가장 흔한 원인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으로 인해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에 죽상경화증(동맥경화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뇌혈류가 차단되는 경우이다. 이는 현대인의 식습관 중 점차 고지방식이가 늘어감에 따라 고지혈증을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현대인의 식습관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는 질환인 뇌경색에 대해 공부해 볼 필요가 있다.
1.2. 연구의 목적
뇌경색의 원인과 예방법
뇌경색의 가장 흔한 원인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으로 인해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에 죽상경화증(동맥경화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뇌혈류가 차단되는 경우이다. 이는 현대인의 식습관 중 점차 고지방식이가 늘어남에 따라 고지혈증을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심장부정맥 등의 위험 인자를 갖고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뇌졸중의 발생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 따라서 적절한 운동, 식이요법 및 해당 질환에 대한 약물치료를 통해 위험 인자를 적극적으로 줄여나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뇌졸중을 겪은 후 회복된 환자의 경우에도 뇌졸중이 재발할 위험이 높기 때문에, 이들에게도 뇌졸중의 위험 인자를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뇌졸중에서 회복된 사람은 뇌졸중 이전에 비해 몸놀림이 느리고 어둔한 편이다. 따라서 지속적인 재활치료 또는 낮은 강도의 운동(정기적인 산책 등)을 통해 근력 및 관절 운동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뇌졸중의 예방을 위해서는 고칼로리 및 고지방 음식을 피하고 신선한 야채를 많이 섭취하는 등의 식이요법이 도움이 된다. 또한 흡연, 과도한 음주 등을 피하고,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위험 인자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과 같은 만성 질환이 있는 경우 이를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2. 본론
2.1. 뇌경색의 정의 및 원인
뇌조직은 평상시에도 많은 양의 혈류를 공급받고 있다. 그런데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뇌혈관에 폐색이 발생하여 뇌에 공급되는 혈액량이 감소하면 뇌조직이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뇌혈류 감소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뇌조직의 괴사가 시작된다. 뇌조직이 괴사되어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렀을 때 이를 뇌경색이라고 한다.
뇌경색은 발생하는 기전에 따라 대혈관 질환에 의한 뇌경색, 심장탓 색전증에 의한 뇌경색 또는 심인성 뇌경색, 소혈관 질환 또는 열공 뇌경색, 그리고 기타 드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뇌경색으로 분류된다. 뇌경색의 가장 흔한 원인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으로 인해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에 죽상경화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뇌혈류가 차단되는 경우이다. 그 외에도 심장부정맥, 심부전 및 심근경색의 후유증 등으로 인하여 심장에서 혈전이 생성되고, 이 혈전이 혈류를 따라 이동하다가 뇌혈관을 막아 뇌졸중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드물게는 모야모야병, 호모시스테인혈증 등 극히 드물게 발생하는 질병에 의해 허혈성 뇌졸중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2.2. 뇌경색의 임상 증상
뇌경색의 임상 증상은 다음과 같다.
반신부전과 반신마비는 뇌피질의 운동영역이나 추체로의 손상으로 인해 나타나며, 우측 뇌의 경색은 신체의 좌측반쪽에, 좌측 뇌의 경색은 우측반쪽에 일으킨다. 이는 추체로가 연수에서 교차하여 척수로 내려가기 때문이다.
실행증은 손상 받은 부분을 움직일 수 있으나 지시에 따라 사용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는 근육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내용을 개념화할 수 있...
참고 자료
제 9판 성인간호학Ⅱ(2019), 수문사, 윤은자 외 12
제 4판 기본간호학Ⅱ(2002), 현문사, 양선희 외 9
제 2판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8), 현문사, 원종순 외 4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서울아산병원
약학정보원, 대한민국 의약품 정보의 표준
병원 EMR
김옥수 외 편역, 성인간호학[하] 제11판, 현문사, 2021년 1월
김성태, 간호대학생들의 실습을 위한 CASE STUDY 1권 성인간호/여성간호, 우리의학서적 2022
서울아산병원, 임상화학검사, 2022.12.25. 검색
https://www.amc.seoul.kr/asan/depts/amccp/K/bbsDetail.do?menuId=518&contentId=110742
리피토정, 2022.12.25. 검색
http://www.health.kr/images/insert_pdf/In_A11AKP08F0185.pdf
약학정보원 약물백과-발사르탄, 2022.12.25. 검색
http://www.health.kr/Menu.PharmReview/_uploadfiles/%EB%B0%9C%EC%82%AC%EB%A5%B4%ED%83%84(valsartan).pdf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sCRP, 2022.12.25. 검색
https://labtestsonline.kr/tests/hscrp1
이원의료재단, osmolality, 2022.12.25. 검색
http://m.eonelab.co.kr/source/search_view_det.asp?ordcd=B0301&spccd=300
헬스조선뉴스, 초응급질환 뇌경색, ‘전조증상’ 기억하세요, 2022.12.25. 검색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4/16/2021041601652.html
성인간호학(제5판)下 전시자, 황옥남外 <현문사2009>
성인간호 임상실습 지침서Ⅰ공저: 황옥남, 김진경 <현문사2009>
인터넷(네이버, 구글,)
http://www.druginfo.co.kr/
http://www.kml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