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스마트폰 현미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실험 배경 및 이론
1.2. 실험 목적
2. 실험 방법 및 과정
2.1. 실험 장치 구성
2.2. 영상 촬영 및 측정 방법
3. 실험 결과
3.1. 해상도 표준 물체를 이용한 배율 측정
3.2. 시료 크기 측정
4. 고찰
4.1. 스마트폰 카메라의 특성
4.2. 촬영 과정에서의 오차 분석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실험 배경 및 이론
푸리에 광학은 푸리에 변환을 이용하여 고전 광학을 연구한 것으로 식별가능한 파동과 관련이 없는 평면 파의 중첩으로 간주된다. 푸리에 광학은 Huygen-Fresnel 원리의 결합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푸리에 광학을 이용하여 렌즈가 2개인 4-f 이미징 시스템을 고안할 수 있다. 4-f 영상 시스템은 렌즈 두 개로 이루어진 영상 전달 시스템으로, 물체면에서 첫 번째 렌즈까지의 거리가 첫 번째 렌즈의 초점거리와 같고 첫 번째 렌즈에서 두 번째 렌즈까지의 거리가 두 렌즈의 초점거리 합과 같으며 두 번째 렌즈에서 이미지면까지의 거리가 두 번째 렌즈의 초점거리와 같다. 이때 물체면의 이미지는 역상이 된다. 이러한 4-f 영상 시스템의 배율은 두 렌즈의 초점거리 비율로 결정된다.
현미경 시스템은 이와 유사한 원리로 동작한다. 물체에 대해 대물렌즈와 접안렌즈로 이루어진 4-f 시스템을 지나면서 배율에 따라 역상이 중간 이미지면에 생기며, 이 상은 다시 접안렌즈와 눈의 수정체가 4-f와 유사한 영상 시스템을 형성하여 망막에 상을 맺게 된다. 이때 눈은 카메라와 구조적으로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현미경 시스템을 이해함으로써 일상에서 사용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현미경 영상을 얻을 수 있다. []
1.2. 실험 목적
일상에서 사용 중인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현미경 영상을 촬영해보고 획득한 영상을 통해 샘플을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광학 소자들을 이용하여 간단한 현미경 시스템을 구성하여 현미경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 카메라의 특성과 촬영 과정에서의 오차를 분석할 수 있다.
2. 실험 방법 및 과정
2.1. 실험 장치 구성
LED를 광학레일 왼쪽 끝부분에 설치한다. LED앞에 해상도 표준물체(resolution target)을 위치한다. 20X 대물렌즈를 Translation stage위에 설치한다. Tube lens(F.C=200mm), Eye piece(F.C=100mm...
참고 자료
https://en.wikipedia.org/wiki/Fourier_optics
https://en.wikipedia.org/wiki/Camera_phone
blog [Website]. (2019, August 8). Retrieved from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3810655&memberNo=5673438&vType=VERTICAL
이준행 등 5명, 지능형 소재기술이 결합된 자가치유 고분자 신기술 연구 동향, 공업화학 전망(2017), 20, 1, pp.1-15.
안석훈 등 4명, 고분자 기반 자가치유 복합소재, 고분자 과학과 기술(2014), 25, 2, pp.2-5.
blog [Website]. (2021, May 11). Retrieved from https://blog.naver.com/nststory2014/222346137538
blog [Website]. (2020, June 24). Retrieved from https://blog.naver.com/kicox1964/222010593386
youtube [Website]. (2019, April 11). Retrieved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jRAqhFdwt20
youtube [Website]. (2016, December 2). Retrieved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GHdNtnSDp8g
blog [Website]. (2020, April 28). Retrieved from https://blog.naver.com/kjina6963/221934147769
Jung Eun Lim, Deok Hyun Moon, Kwon-Rae Kim, Yong Sik Ok, Application of X-ray Absorption Spectroscopy (XAS) in the Field of Stabilization of As and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2015), 58, 1, pp. 65-74.
pohang accelerator laboratory(PAL) [Website]. (2011). Retrieved from https://pal.postech.ac.kr/bl/2D/
youtube [Website]. (2016, June 2). Retrieved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fQJYuTpK8Fs
youtube [Website]. (2016, December 1). Retrieved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_YUaq3XvsH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