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현장실습현장에서 사회복지사 역할과 자세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사회복지현장실습과 예비 사회복지사의 자세
1.2. 실습지도자, 실습지도교수와 학교의 역할 및 책임
2. 본론
2.1. 사회복지현장실습에 있어서 실습지도자, 실습지도교수와 학교의 역할 및 책임
2.2. 본인이 실습을 통해 얻고자하는 예비사회복지사로서의 자세
3. 결론
3.1. 요약 및 시사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사회복지현장실습과 예비 사회복지사의 자세
예비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실습을 통해 그동안 강의와 전공서적으로 배워왔던 여러 사회복지실천기술을 실제로 활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사로서 자신의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사회복지사로서 자신의 적성과 장단점 등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갖게 된다.
사회복지실습을 통해 예비 사회복지사는 유능한 사회복지사로 발전할 수 있다. 예비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를 진심으로 위하는 사람이 되고자 하며, 일 자체를 즐기는 사회복지사가 되고자 한다. 실습을 통해 클라이언트를 위하고 그들을 진심으로 섬길 수 있는지, 그리고 사회복지사라는 직업에 대한 흥미와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지를 확인해 볼 수 있다.
1.2. 실습지도자, 실습지도교수와 학교의 역할 및 책임
실습지도자와 실습지도교수는 실습생의 사회복지실습 계획과 활동을 조언하고, 실습생이 사회복지실습에 제대로 참여하고 있는지를 관리감독함으로써 사회복지실습이 온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실습지도자와 실습지도교수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사회복지실습과 관련된 노하우와 전문지식을 실습생에게 전수해야 함은 물론 훌륭한 롤 모델을 실습생에게 보여줌으로써 실습생이 유능한 사회복지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 또한 실습지도자와 실습지도교수는 실습생과 상호 협력적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실습생이 온전히 실습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관련 ...
참고 자료
사회복지실습, 저자 김선희 외, 출판 양서원, 2000.08.25.
이민홍ㆍ정병오(2017: 15-17, 25-26, ),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양서원.
최미영ㆍ정무성ㆍ김종명(2019: 3-33),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최미영(2019: 6-14),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워크북,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제2강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과 개발, 한동대학교, 전명희, 2017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제2강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과 개발(2), 한동대학교, 전명희, 2017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제13장/14장 프로그램 평가의 준비과정 및 유형, 한동대학교, 전명희, 2017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제16장 성과평가 전략, 한동대학교, 전명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