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가족이야기 가족상담 가족치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가족이야기 소개
1.2. 가족상담 및 치료의 필요성
2. 본론
2.1. 나와 나의 가족
2.1.1. 가족 구성과 특징
2.1.2. 가족 간 관계와 문제점
2.2. 가족 치료를 통해 새롭게 알게 된 점
2.2.1. 가족 의사소통의 문제
2.2.2. 가족 치료의 가능성
3. 결론
3.1. 가족 이해의 중요성
3.2. 전문적 가족 치료의 도움
3.3. 가족을 위한 노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가족이야기 소개
가족에 대한 개인적 경험과 이해는 타인을 이해하고 치유하는 데 가장 기초가 된다. 따라서 먼저 자신의 가족에 대해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로 가족에 대한 강의를 들으면서 자신의 가족을 떠올리며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어떤 가족이라도 문제를 가지고 있기 마련이므로 자신의 가족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고민해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가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
자신의 가족은 외동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65세의 아버지는 부동산 중개인으로 일하고 계시며 60세의 어머니는 전업주부로 집안일을 담당하고 있다. 자신은 현재 32세로 공부를 하며 직업을 얻고자 노력하고 있다. 강의를 통해 자신의 가족에 대해 더 자세히 알게 되었는데, 특히 건강한 가족이 되기 위해서는 가족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배웠다. 하지만 자신의 가족은 아버지의 완고한 고집과 어머니의 순종적인 태도로 인해 가족 간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편이었다. 이로 인해 가족 간 갈등을 원활히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강의를 통해 전문가의 도움으로 가족 치료를 받게 된다면 이러한 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비록 가족 구성원 모두가 문제를 인지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어야 한다는 전제가 있지만, 자신의 가족도 충분히 건강한 가족이 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자신의 경험과 이해를 바탕으로 전문가가 되어 다른 가족들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게 되었다.
1.2. 가족상담 및 치료의 필요성
어떤 가족이라도 문제를 아예 가지고 있지 않은 가족은 없다. 가족 구성원 사이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개개인의 사생활과 삶을 존중하려고 하지 않는다면 그 가족은 건강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가족 간의 의사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면 전문적인 도움이 필요하다.
전문가, 즉 치료자가 개입하여 가족치료를 진행한다면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 다만 가족 구성원들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의지만 있다면 전문적인 가족 치료를 통해 건강한 가족이 될 수 있다. 가족 내부에서 문제를 해결하려 해도 되지 않는다면 외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현명할 수 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가족치료를 ...
참고 자료
강의안.
전생애 인간발달의 이론 정옥분(교수) 저 | 학지사 | 2013.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