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로미오와 줄리엣 유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로미오와 줄리엣』의 배경과 주요 줄거리
1.2. 줄리엣 인물에 대한 다양한 관점
1.3. 줄리엣의 주체성에 대한 연구 목적
2. 본론
2.1. 가부장적 권위에의 도전: 아버지와 줄리엣
2.2. 모성부재의 극복: 어머니와 줄리엣
2.3. 막을 수 없는 결단: 유모와의 관계
2.4. 남성을 변화시키는 여성: 로미오와의 관계
3. 결론
3.1. 줄리엣의 주체성 재평가
3.2. 작품 내 시간 배경의 의미 고찰
3.3. 줄리엣의 주체성이 갖는 함의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로미오와 줄리엣』의 배경과 주요 줄거리
셰익스피어의 대표작 중 하나인 『로미오와 줄리엣』은 원수 집안 간의 반목으로 인해 비극적인 결말을 맞는 두 연인의 사랑을 그린 작품이다. 이 작품은 당시 엘리자베스 여왕의 치세 아래에서 극작가로 명성을 떨치던 셰익스피어가 발표한 것으로, 극적인 구성과 아름다운 표현으로 인해 청년 극작가 셰익스피어의 명성을 일시에 높였다. 극의 핵심 내용은 원수 집안의 소년과 소녀가 운명처럼 사랑에 빠지게 되고, 이들의 순수하고 고결한 사랑을 지키기 위해 목숨까지 바친다는 것이다. 이 작품의 기반이 된 이야기는 마테오 반델로가 쓴 이탈리아 소설로, 이를 프랑스어와 영어로 번역하는 과정을 거쳐 셰익스피어에 의해 극작품으로 재탄생되었다. 흥미로운 점은 원작의 전체 시간이 9개월인데 반해 셰익스피어의 작품에서는 4~5일 정도로 압축되어 있어 작품의 전체적인 진행 속도가 빠르고 긴장감 넘치게 묘사되고 있다는 것이다. 『로미오와 줄리엣』은 이후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어 큰 영향력을 미쳤으며, 줄리엣의 인물에 대해서는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1.2. 줄리엣 인물에 대한 다양한 관점
줄리엣은 작품 속에서 다양한 관점으로 해석되고 있다. 아이린 대쉬는 줄리엣이 "운명을 개척하려는 강한 의지와 용기를 지닌 페미니스트"라고 평가한다. 김선미는 줄리엣이 "당시 르네상스 시대로서는 드물게 현대적인 의미에서의 여성의 자유를 성취하는 인물"로 보고 있다. 이민은 줄리엣이 "대화나 행동을 통해서 변화하는 입체적 인물"이라고 하였으며, 박부영은 줄리엣의 "영웅성은 죽음을 두려워않는 담대함"이라고 평가하였다. 이처럼 줄리엣은 자주적이고 적극적인 인물로 해석되고 있으며, 작품 속에서 보여준 행동과 대사를 통해 이러한 주체성이 잘 드러나고 있다. 특히 가부장적 권위에 저항하면서도 어려움을 겪지만, 끝까지 자신의 선택을 지켜나가는 줄리엣의 모습은 그녀가 단순히 피해자가 아닌,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인물임을 보여준다.
1.3. 줄리엣의 주체성에 대한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로미오와 줄리엣』에 나타난 줄리엣의 주체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줄리엣은 당시의 가부장적 사회 제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사랑과 결혼을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하며, 이를 통해 여성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여준다. 줄리엣의 이러한 태도는 단순한 순진한 소녀의 모습을 넘어 능동적이고 의지적인 성격을 지닌 인물로 평가될 수 있다.
과거 연구에서는 줄리엣을 수동적이고 의존적인 여성상으로 해석하거나, 혹은 페미니즘의 선구자로 이해하는 등 다양한 관점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줄리엣의 행동과 대사를 보다 면밀히 분석하여 그녀의 주체성이 어떻게 표현되고 발전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특히 가정, 가족 관계 속에서 줄리엣이 보여주는 자율성과 결단력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아버지의 권위, 어머니의 부재, 유모의 배신 등 줄리엣을 둘러싼 다양한 상황 속에서 그녀가 보인 주체적인 행동과 태도를 분석함으로써 줄리엣의 주체성이 가지는 의미와 가치를 규명하고자 한다.
나아가 로미오와의 관계에서 줄리엣이 보여주는 적극성과 변화의 모습 또한 고찰할 것이다. 이를 통해 줄리엣이 단순히 강요된 운명에 순응하는 여성이 아니라, 오히려 자신의 삶을 스스로 개척해 나가는 주체적 인물이라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결국 본 연구는 『로미오와 줄리엣』 속 줄리엣의 행동과 발화를 면밀히 분석하여, 가부장적 사회 속에서도 여성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여주는 인물로서의 줄리엣의 면모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작품 속 줄리엣의 주체성이 갖는 의미와 가치를 새롭게 밝혀낼 것이다.
2. 본론
2.1. 가부장적 권위에의 도전: 아버지와 줄리엣
셰익스피어가 살았던 시대는 아버지가 가정의 중심이 되는 가부장제 사회였다. 가정에서 아버지의 위상은 철저한 종속 관계를 이루었고, 여성은 남성을 전제로 한 비주체적, 종속적 인물로 여겨졌다. 이러한 배경 아래 『로미오와 줄리엣』에 등장하는 캐퓰렛은 딸 줄리엣을 위해 패리스 백작과의 결혼을 추진한다. 그러나 이는 딸을 위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명예와 가문의 발전을 위한 것임이 드러난다.
캐퓰렛은 줄리엣의...
참고 자료
권중휘, 『셰익스피어 입문』, 범문사, 1985.
김경옥, 「세익스피어 비극의 여성상」, 한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김경옥, 「셰익스피어 비극에 나타난 여성과 남성 : 『로미오와 줄리엣』 을 중심으로」, 진리논단 제5호(317-336), 2000.
김선미, 「성역할과 여성 – 셰익스피어 『멕베스』•『로미오와 줄리엣』 –,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김태형, 『로미오는 정말 줄리엣을 사랑했을까?』, 교보문고, 2012.
박부영, 「『로미오와 줄리엣』에 나타난 줄리엣의 영웅성과 희생양 이미 지」,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신웅재, 「『로미오와 줄리엣』: 희극과 비극의 대비와 조화」, 셰익스피어 리뷰 제39권 제1호(201-219), 2003.
신웅재 주석, Romeo and Juliet,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5.
신경옥 옮김, 『로미오와 줄리엣』, 용인 : 전예원, 2009.
안나제임슨, 『셰익스피어의 여인들 1, 2』 , 아모르문디, 2007.
오다사마 유시, 『셰익스피어 사랑학』 , 말글빛냄, 2011.
이경호․신동선, 「셰익스피어 작품에 나타난 비극적 사랑 연구 : 『로미 오와 줄리엣』과 『오셀로』를 중심으로」, 협성논총 제13집 (43-67), 2001.
이동춘, 「대조의 미학 : 『로미오와 줄리엣』에 나타난 언어를 통하여」, 셰익스피어 리뷰 제38권 제2호(463-489), 2002.
이대석, 『셰익스피어 극의 이해: 비극』,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2.
이 민, 「『Romeo and Juliet』 인물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이영순, 「극적 아이러니로 구성된 『로미오와 줄리엣』의 비극성」, 현대 영어영문학 제56권 제1호(181-200), 2012.
이혜경, 『셰익스피어 극의 해석 넓히기』, 동인, 2007.
장선영, 「『로미오와 줄리엣』: ‘진리-사건’으로서의 사랑」, 셰익스피어 리뷰 제46권 제4호(889-916), 2010.
정아름 옮김, 『셰익스피어 사랑의 대화』, 영림카디널, 2011.
진용우 옮김, 『로미오와 줄리엣』, 청목, 2009.
최영애, 「『Romeo and Juliet』의 비극적 사랑연구」, 상명여자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찰스 램, 『쉽게 읽는 셰익스피어 이야기』, 글나눔, 2013.
황효식, 「르네상스 시대의 내적 자아와 셰익스피어의 비극적 인물들」, 셰 익스피어 리뷰 제47권 제2호(405-422). 2011.
Champion, Larry S, Shakespeare’s Tragic Perspective: Romeo and Juliet, Athens: U of Georgia P, 1976.
Charlton, H. B, Shakespearean Tragedy, Cambridge UP, 1948.
Dash Irene, Wooing, Wedding, and Power: Women in Shakespeare's Plays, New York : Columbia UP, 1981.
Evans, Bernard, Shakespeare’s Tragedy Practice, Oxford: Clarendon, 1979.
Marianne Novy, Love’s Argument: Gender Relations in Shakespeare, U of North Carolina P, 1984.
Wallace, Nathaniel, “Culture Tropology in Romeo and Juliet.” Studies in Philology 88. No.18, Summer 1991.
Grazia, Margreta de. and Stanley Wells, eds. The Cambridge Companion to Shakespeare. Cambridge: Cambridge UP, 2001. Print.
Romeo and Juliet. Dir. Franco Zeffirelli. Perf. Leonard Whiting and Olivia Hussey. Paramount, 1968. PlayStation World, 2002. DVD.
Romeo + Juliet. Dir. Baz Luhrmann. Perf. Leonardo DiCaprio and Claire Danes. 1996. 20th Century Fox, 2000. DVD.
Shakespeare, William. Romeo and Juliet. Ed. René Weis. London: Bloomsbury Arden Shakespeare, 2012. Print.
로미오와 줄리엣. Dir. 오태석. Perf. 목화. 호암아트홀, 서울. 5 October 1995. Performance.
이인순. “<로미오와 줄리엣>의 드라마투르기적 분석 및 공연분석: 셰익스피어의 드라마와 오태석의 공연.” 한국연극학 40 (2010): 163-206.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