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옛수필의세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옛수필의 세계
1.1. 설(說)의 갈래성격과 의의
1.2. 밀봉설(蜜蜂說)과 왜송설(漆松諒)을 통한 설의 갈래 성격과 의의
1.3. 자신의 일출 체험을 반영한 유람기 작성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옛수필의 세계
1.1. 설(說)의 갈래성격과 의의
설(說)은 개인이 겪은 일상적인 경험이나 남에게서 전해들은 사실, 이야기 등에 대한 소개 및 그에 따른 작가의 견해가 주를 이루는 문학의 한 갈래이다. 작가 본인이 직접 이야기 속에 등장하기도 하고, 자신의 견해를 직접적으로 드러내기도 하지만, 때로는 그렇지 않고 '누군가 어찌어찌했더라'라는 단순한 사건 전달의 형식으로 쓰이기도 한다. 설 갈래는 형식보다는 내용이 분류상 핵심이므로 주제나 형식에 제한을 두기는 어려우며, 개인적이고 사적인 경험에서 시작하여 그 경험을 다른 분야나 더 넓은 범위에 적용하여 어떠한 깨달음을 전달하는 내용이어야 한다. 이러한 깨달음은 작가 개인에게만 의미 있는 것이 아니라, 도리나 이치 등 인류가 보편적으로 갖춰야 할 것을 다루고 있기에 독자에게도 교훈으로 다가오며, 당대의 가치관을 엿볼 수 있는 도구가 된다. 밀봉설(蜜蜂說)에는 작가가 전해 들은 양봉업자의 사연을 바탕으로 군신 관계에 대한 교훈을 전달하고 있으며, 왜송설(漆松諒)은 왜송을 통해 본성을 버리고 세속적인 이익만을 추구하는 신하들의 모습을 풍자하여 인간의 내면적 가치와 도덕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처럼 설은 교훈적이거나 철학적인 성격을 지니며 독자에게 중요한 사회적, 도덕적 메시지를 제공하는 문학 갈래라 할 수 있다.
1.2. 밀봉설(蜜蜂說)과 왜송설(漆松諒)을 통한 설의 갈래 성격과 의의
밀봉설(蜜蜂說)은 교훈적 성격을 ...
참고 자료
옛 수필의 세계, 박종성, 박영민,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5
박종성, 박영민,『옛수필의 세계』,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5
공용, 직접작성
고전문학, 「동명일기」의 표현 이미지 분석
이연성,1973,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