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입덧 전해질불균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임신오조증에 대한 문헌고찰
2.1. 임신오조증이란?
2.2. 임신오조증의 원인
2.3. 임신오조증의 증상
2.4. 임신오조증이 미치는 영향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2. 간호진단
3.3. 간호계획
3.4. 간호수행
3.5. 간호평가
4. 결론 및 느낀 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임신 중에 일어나는 생리적 변화와 정신적 불안감으로 인해 임신부의 안전과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임신오조증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임신오조증이란 임신 기간 동안 지속되는 심한 메스꺼움과 구토 증상으로,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 산모와 태아에게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임신오조증의 정의, 원인, 증상, 영향 등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임신부의 간호 요구를 적절히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 임신오조증에 대한 문헌고찰
2.1. 임신오조증이란?
임신오조증이란 임신 중 입덧 증상이 악화해 지속적이고 과도한 메스꺼움을 느끼고 구토를 하는 증상이다. 임신으로 인한 오심, 구토는 모든 임부의 70%에서 나타나며 임신 1기에 흔하다. 임신 전 체중의 5% 또는 그 이상의 감소, 탈수, 기아로 인한 산성증, 케톤뇨 상승, 위액의 염산 감소로 인한 알칼리증, 저칼륨증이 일어난다. 이런 불편감은 태아와 임부를 힘들게 할 뿐만 아니라 입원치료의 필요성과 태아에게 미칠 영향에 대한 염려로 신체적, 정신적으로 상당히 부담이 되는 질환이다.
2.2. 임신오조증의 원인
임신오조증의 원인은 크게 내분비계 요인과 비내분비계 요인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먼저 내분비계 요인으로는 에스트로겐과 융모성선 자극호르몬의 상승을 들 수 있다. 임신 중 이러한 호르몬의 농도가 증가하면 입덧 및 구토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또한 일시적인 갑상선 기능항진증도 임신오조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비내분비계 요인으로는 위 운동의 저하와 식도 역류, 그리고 사회심리적·문화적·정신적 요인 등이 있다. 위 운동이 저하되면 위산이 역류되어 구토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임신에 대한 양가감정, 신체 변화 및 생활양식의 변화에 따른 스트레스도 구토를 일으킬 수 있다.
이 외에도 20세 미만의 임부, 비만, 다태임신, 영양막 질환 등이 임신오조증의 유발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임신오조증은 복합적인 요인들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
2.3. 임신오조증의 증상
임신오조증은 일반적으로 임신 6~12주 사이에 입덧 증상이 악화되어 지속적이고 과도한 메스꺼움을 느끼고 구토를 하는 증상이다. 이러한 증상은 대부분 아침에 있거나 하루 중 어느 시기라도 일어날 수 있다.
임부가 경험하는 첫 증상은 오심이며, 장기간의 구토 시 비타민 B의 결핍으로 베르니케 뇌병변이 초래될 수 있다. 베르니케 뇌병변의 증상은 지남력 상실, 망상, 행동 변화, 안구진탕증이 나타나며 치료하지 않으면 혼수나 사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환자는 계속적인 구토로 음식을 섭취할 수 없어 탈수와...
참고 자료
여성건강간호학Ⅰ제 6판, 김혜원 외, 현문사, 2023
여성건강간호학Ⅱ제 6판, 김혜원 외, 현문사, 2023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건강정보, ‘입덧’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건강정보, ‘임신오조’
국가한의임상정보포털, 진료지침, 임신오조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서울아산병원, 증상, 의료정보, 건강정보, ‘임신 오조증’
DanmiJeong. (2017). [여성건강간호학] 임시오조증. Retrieved from https://blog.naver.com/thwjd8325/220989717697
Tan, P. C., Jacob, R. , Quek, K. F. and Omar, S. Z. (2007), Pregnancy outcome in hyperemesis gravidarum and the effect of laboratory clinical indicators of hyperemesis severity.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Research, 33: 457-464.
Telegraph Reporters. (2017). Hyperemesis gravidarum: Duchess of Cambridge's morning sickness condition explained. The Telegraph. Retrieved fromhttps://www.telegraph.co.uk/news/0/hyperemesis-gravidarum-duchess-cambridges-morning-sickness-condition/
국가건강정보포털. (n.d.). 입덧 [emesis gravidarum].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