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병동 보조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근골격계 장애 환자 간호
2.1. 골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
2.2. 근골격계 장애의 수술 전, 후 간호
2.2.1. 고관절 치환술
2.2.2. 인공슬관절 치환술
2.2.3. 척추 수술 환자 간호
2.2.4. 절단 환자 간호
2.3. 견인장치의 종류와 간호중재
2.4. 석고붕대의 종류와 간호
3. 근골격계 장애 대상자의 진단검사
4. 재활을 위한 치료적 운동요법과 활동보조기구
5. 각종 튜브 관리 및 환자간호
6. 결론
6.1. 근골격계 장애 환자 간호 요약
6.2. 향후 근골격계 간호의 발전 방향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근골격계 장애는 사회적으로 큰 부담을 초래하는 주요 건강 문제이다. 근골격계 장애를 가진 환자의 간호를 위해서는 질환의 특성과 진행 과정, 적절한 치료 및 재활 방법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근골격계 장애 환자의 간호와 관련된 주요 내용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골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의 특징, 근골격계 수술 전후 간호, 견인장치 및 석고붕대 적용 간호, 근골격계 진단검사, 재활치료와 보조기구 사용, 각종 튜브 관리 등을 다룰 것이다. 이를 통해 근골격계 장애 환자의 효과적인 간호를 위한 기초 지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2. 근골격계 장애 환자 간호
2.1. 골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은 관절의 연골이 점진적으로 파괴되어 발생하는 대표적인 퇴행성 관절 질환이다. 원인은 알 수 없으나 노화, 비만, 외상 등이 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 관절통, 경직, 운동 제한 등의 증상이 특징적이며 체중부하 관절에 잘 발생한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자가면역 기전으로 인해 관절의 활막이 지속적으로 염증을 일으키는 만성 진행성 전신 질환이다. 원인은 유전적 소인과 환경요인의 복합적 작용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손가락, 손목 관절 등 말초 관절을 침범하며 대칭적이고 다발성 관절염 양상을 보인다. 아침 경직이 1시간 이상 지속되고 관절통, 부종, 변형이 동반된다.
이처럼 골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은 각각 퇴행성 변화와 자가면역 기전에 의해 발생하는 만성 관절 질환이다. 관절의 증상 양상, 침범 양상, 발병 연령, 원인 기전 등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구분하여 진단 및 치료에 접근해야 한다.
2.2. 근골격계 장애의 수술 전, 후 간호
2.2.1. 고관절 치환술
<고관절 치환술>
고관절 치환술은 골관절염의 통증 관리와 기동성 개선을 위해 적용되는 수술이다. 수술 전 간호로는 먼저 환자의 수술에 대한 이해 수준과 수술 후 간호 계획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사정한다. 또한 수술 전 치과 치료를 받도록 교육하여 수술 부위 감염을 예방한다. 혈액 응고 문제, 비만, 흡연, 고령 등의 고위험 요인도 사정한다. 수술 전 1주일 전부터 출혈 및 혈액 응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은 중단하도록 교육한다.
수술 후 간호에서는 먼저 탈구, 감염, 정맥혈전, 저혈압, 출혈과 같은 합병증을 사정하고 예방한다. 탈구 예방을 위해 고관절을 90도 이상 굴곡하지 않도록 하고, 외전을 유지한다. 환자가 침상 밖으로 이동할 때는 낙상을 예방하기 위해 주의 깊게 도와준다. 수술 받은 다리는 침대 가장자리에 앉은 후 건강한 다리로 지렛대 삼아 일어나도록 교육한다.
2.2.2. 인공슬관절 치환술
인공슬관절 치환술(total knee arthroplasty(TKA), total knee replacement(TPR))은 보존적 치료로 통증을 관리할 수 없을 때 실시한다. 기동력이 심히 제한되어 일상생활이나 직업활동 참여를 방해할 때 이 수술이 삶의 질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
수술 전 모든 환자에게 서면이나 영상자료를 이용하여 수술 후 활동 프로토콜을 포함한 수술 전 교육을 실시한다. 수술 전날 저녁 항생비누를 이용하여 샤워하고, 샤워 후에는 깨끗한 잠옷을 입고 깨끗한 침요에서 잠을 자도록 한다. 또한 수술 당일 오전 어떤 약을 투여할 수 있는지 확인 받도록 한다. 특히 항고혈압제와 많은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들이 투약하고 있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투여에 대하여 문의한다. 이 약들은 수술 중 구토와 흡인 방지 위해 소량의 물과 함께 복용한다.
TKA 수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 후 간호와 교육은 고관절치환술 환자와 유사하지만, 유의할 자세는 다르다. TKA 수술 후 탈구는 드물게 발생하므로 외전방지 자세에 대한 특별한 주의는 필요하지 않다. 무릎을 중립위로 유지하고 내회전과 외회전을 금한다. CPM 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베개를 종아리나 발밑에 고여 무릎관절을 곧게 편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수술 받은 무릎관절을 과다신전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전반적으로 무릎관절치환술을 받은 환자의 통증관리는 고관절치환술 환자의 통증관리와 유사하나, 많은 환자들이 고관절치환술 환자에 비해 높은 수준의 통증점수를 나타내고 마약성 진통제 정맥주입 요구도가 높다. TKA 수술 후 지속적 대최신경차단술(continuous femoral nerve blockade,CFNB) 받은 환자를 간호할 때는 병원의 프로토콜에 따라 2-4시간 간격으로 신경혈관 사정을 실시한다.
결과적으로 인공슬관절 치환술은 보존적 치료로는 통증을 관리할 수 ...
참고 자료
https://m.blog.naver.com/congguksu/221253591911
https://blog.naver.com/duwjd247/222290298177
[후유장해]손목골절(원위요골 골절) 콜린스골절, 스미스 골절-보상은 어떻게?|작성자 최고보상
[출처] 정형외과(OS) 보조기 종류 [경추보조기/척추보조기/상지보조기/하지보조기]|작성자 슈퍼맘신간
: https://www.capital-medical.com/portfolio/rebound-pcl-knee-brace/
https://www.capital-medical.com/portfolio/rebound-pcl-knee-brace/
양선희 외 공저(2019). 제3판 기본간호학Ⅰ. 서울: 현문사
양선희 외 공저(2019). 제3판 기본간호학Ⅱ. 서울: 현문사
황옥남 외 공저(2019). 제7판 성인간호학(상). 서울: 현문사
황옥남 외 공저(2019). 제7판 성인간호학(하). 서울: 현문사
서울아산병원 공식 홈페이지, 『근골격질환』, https://han.gl/8c8D7
세브란스병원 공식 홈페이지, 『뼈/근육』, https://han.gl/p43KM
김종임, 『기본간호학 1』, 수문사, 2018
고미숙, “수술 전 환자 간호 강의안”, 2022
고미숙, “위장관계 사정 강의안, 2022
박정숙 외, 『성인간호학 1』, 현문사, 2018
박정숙 외, 『성인간호학 2』, 현문사, 2018
병원간호사회,“담낭염 및 담석증”, http://www.khna.or.kr/homecare_new/06_diges/liver04.php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경피경간담도배액술”,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825&cid=51007&categoryId=51007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간동맥 화학 색전술”,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220
안현미, “근골격계 질환 강의안”, 2021
퍼시픽 학술편찬국, 기본간호학 퍼시픽 간호학 개념서, 2022
최은희, “흉부외상 및 손상 강의안”,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