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코지마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코지마 보고서
2.2. 커피 광고에 대한 분석
2.2.1. 동서식품 '카누' 광고
2.2.2. 일동후디스 '노블' 커피 광고
2.2.3. 두 상표 간 광고 비교분석
2.3. 안마의자 광고에 대한 분석
2.3.1. 바디프랜드 광고
2.3.2. 코지마 광고
2.3.3. 두 광고 비교 분석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과거에는 평균수명이 60세 전후였지만, 현재는 80세를 넘었고 100세를 넘은 노인들도 상당히 많아졌다. 이처럼 장수는 인류의 오랜 소망이었지만, 한편으로는 건강하지 않은 상태로 침대에 누워 타인의 돌봄을 받으며 연명하는 삶이 고통스러운 것이 될 수 있다. 수명이 길어질수록 청년기가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노년기만 연장되는 것도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노년기의 빈곤, 질병, 돌봄문제 등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건강하지 않은 상태로 병실에 누워 몇 십 년을 살아야 한다는 것은 죽음보다 고통스러운 일일 수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일본의 NHK 방송사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그녀는 안락사를 선택했다(彼女は安樂死を遂げた)"를 보고 해당 내용을 요약하고, 존엄사에 대한 생명윤리 딜레마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2. 본론
2.1. 코지마 보고서
코지마는 국내 안마의자 시장을 선도하는 브랜드이다. 코지마는 가성비 안마의자로 시장점유율을 빠르게 늘려왔으며, 과거에는 중장년층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높았다. 그러나 안마의자가 중장년층뿐만 아니라 젊은 층에서도 대중화되면서 코지마의 광고 전략도 변화하였다.
과거 코지마의 광고는 '효'에 방점을 두고 가족과 효를 강조하는 정공법을 구사하였다. 홍보 모델로 장윤정 씨를 발탁하여 '코지마 안마의자'로 알려질 정도로 홍보 효과를 거두었다. 이를 통해 코지마는 중장년층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며, 2016년 172억 원에 불과했던 매출이 2019년 1,000억 원을 넘어서는 등 빠른 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안마의자 시장에서 30대 소비자들의 비중이 늘어나면서, 코지마의 광고 전략도 변화하였다. 최근 코지마의 광고는 제품의 기능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특히 코지마만의 차별화된 기술인 'GSR 기술'을 중점으로 소개하며, 컴팩트한 디자인과 인테리어적 요소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신혼부부나 1인가구 등 젊은 층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광고 콘텐츠를 제작하여 새로운 소비자층을 공략하고 있다.
이처럼 코지마는 주요 소비자층의 변화에 따라 광고 전략을 탄력적으로 조정하며, 안마의자 시장에서 지속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코지마의 사례는 제품 특성과 소비자 특성을 고려한 마케팅 전략의 중요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2.2. 커피 광고에 대한 분석
2.2.1. 동서식품 '카누' 광고
동서식품의 카누는 출시 후 10년간 80%가 넘는 높은 시장점유율을 유지해왔으며, 상표의 인지도 또한 매우 높다. 특히, 배우 공유는 카누의 브랜드 론칭 때부터 모델로 계약하면서 브랜드와의 협업을 10년 넘게 지속해온 장수 모델로, 카누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정의하는데 많은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을 넘어서 거의 카누의 브랜드 정체성과 동일시되기까지 하고 있...
참고 자료
김영국, 박현규 and 남장현. (2015). 커피전문점 브랜드의 연예인 광고모델 적합도, 기업 · 고객관계품질, 브랜드 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고찰. 품질경영학회지, 43(3), 383-396.
김은영, 김종덕 (2013). 맥심 커피믹스 광고에 나타난 한국 사무직 여성의 이미지. 한국디자인학회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12-415
정자영, 김광진 (2013). 라이프스타일과 커피소비동기에 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8(3), 53-65
공병혜, 『생명윤리』, 현문사, 2019.
그녀는 안락사를 선택했다(彼女は安樂死を遂げた), NHK, 2019. 06. 02 (https://www.youtube.com/watch?v=E_X_XWLNQ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