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범죄와 범죄심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범죄와 범죄심리
2.1. 트라우마의 정의
2.2. 범죄영화 속 피해자 트라우마의 사례 및 삶에 미친 영향
2.3. 피해자 트라우마의 유형 및 비교 분석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범죄와 관련된 사건들을 묘사하는 영화들은 잔인함, 공포 및 폭력적 요소 등의 강한 자극 요인으로 몰입감과 심리적 긴장감을 극대화하며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장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미국의 수잔 헤이워드는 범죄 스릴러 영화를 일종의 심리극이며 "강박", "공포" 등의 심리를 유발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고, 영화를 포함한 매체의 폭력에 노출되는 경우 공격성 증가, 폭력에 대한 둔감성, 불안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이처럼 범죄와 관련된 영화는 범죄의 흉악함과 공포 분위기로 감각을 자극하게 되므로 관객의 정신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생생한 범죄 현장의 묘사는 유사한 사건을 경험한 개인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되어 PTSD 증상, 우울증, 불안, 약물 남용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반면에, 또 다른 관객들에게는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할 수 있으며, 그들이 스크린에 등장하는 등장인물들의 경험을 통해 현실 속 자신의 트라우마를 치유할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교훈을 주기도 한다. 본 보고서에서는 범죄 관련 영화 "양들의 침묵"과 "미스틱 리버"에서 피해자들이 경험한 트라우마를 비교 분석하고, 개인의 삶에 트라우마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피해자들이 경험한 트라우마의 유형과 트라우마에 대처하고 극복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트라우마에 대처하는 방법에 따라 피해자의 삶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고찰하고 이러한 영화가 피해자의 정신건강과 심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2. 범죄와 범죄심리
2.1. 트라우마의 정의
트라우마는 개인의 대처 능력을 압도하는 괴로운 사건에 대한 심리적 반응이다. 범죄 관련 트라우마는 개인이 폭력을 경험하거나 범죄의 피해자일 때 발생할 수 있다. 이 트라우마는 플래시백, 악몽, 그리고 개인에게 트라우마 사건을 상기시키는 상황 회피를 포함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나타날 수 있다. 범죄...
참고 자료
Susan Hayward Key Concepts in Cinema Studies, 한나래출판사, 2012
Huesmann, L. R., Moise-Titus, J., Podolski, C. L., & Eron, L. D. Longitudinal relations between children's exposure to TV violence and their aggressive and violent behavior in young adulthood: 1977-1992. Developmental Psychology, 39, 201, 2003
Tedeschi, R. G., & Calhoun, L. G.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y Inquiry, 15(1), 1-18, 2004
청와대게시판 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587352
법률저널(http://www.lec.co.kr)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90926/97598100/2
통계지표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750
아동․청소년 성범죄 예방정책에 관한 연구 -아동청소년의 성폭력범죄 인식을 중심으로
한정일(Jung-Il, Han), 김승언(Seung-Un, Kim), 정주호(Ju-Ho, Jung). 2018.
청소년범죄의 흉악화와 성범죄 원인에 관한 고찰 전광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91 한국청소년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