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플라보노이드 알루미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플라보노이드의 화학적 특성
1.2. 플라보노이드 측정 원리
1.3. 실험 목적
2. 실험 재료 및 기구
2.1. 시약 및 재료
2.2. 실험 기구
3. 실험 방법
3.1. 표준용액 제조
3.2. 시료 전처리
3.3. 흡광도 측정
4. 실험 결과
4.1. 표준용액 흡광도 및 검량선
4.2. 시료의 흡광도
4.3.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계산
5. 고찰
5.1. 실험 결과 해석
5.2. 플라보노이드 분석법의 신뢰도
5.3. 플라보노이드 정량 응용 분야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플라보노이드의 화학적 특성
플라보노이드의 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폴리페놀계열 화합물의 하위 그룹으로, 식물이 외부 스트레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생성한 이차대사산물이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2-phenylchromen-4-one 구조를 기본 골격으로 하고 있으며, 이 C-ring의 형태에 따라 flavone, flavonol, flavanone, flavan-3-ol, isoflavone, anthocyanin 등으로 분류된다. 또한 유사한 구조인 flavonolignan과 chalcone 형태도 존재한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항산화, 항염증, 항암 등 다양한 기능성을 보유하고 있다. 플라보노이드의 catechol 구조는 금속이온과 상호작용하여 복합체를 형성하며, 특히 아질산나트륨 존재 하에서 알루미늄과 복합체를 형성하면 붉은색을 나타내는 특성이 있다. 이를 이용하여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정량 분석이 가능하다. [1]
1.2. 플라보노이드 측정 원리
플라보노이드 측정 원리는 다음과 같다. 플라보노이드의 구조 중 catechol 구조와 알루미늄(Al) 분자간의 복합체 형성을 기반으로 한다. Flavonoid 구조에서 나타나는 catechol 구조는 금속이온과 상호작용하여 복합체를 형성하게 되며, 특히 아질산나트륨 존재 하에서 알루미늄과 복합체를 형성하면 붉은색을 나타내는 복합체를 형성하고 415 nm에서 흡광도를 나타내게 된다. 플라보노이드화합물의 농도를 대략적으로 판단하기 위하여 자연계에 많이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인 quercetin을 표준물질을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 비교하여 계산한다.
1.3. 실험 목적
분광광도법을 사용하여 폴리페놀성분 중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함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폴리페놀계열 화합물의 하위 그룹으로서, 식물 또는 과채류가 외부 스트레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생성한 이차대사산물이다. 플라보노이드의 구조 중 catechol 구조와 알루미늄(Al)분자간의 복합체 형성을 기반으로 분광광도법으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할 수 있다.
2. 실험 재료 및 기구
2.1. 시약 및 재료
Folin-Ciocalteau's phenol reagent 시약명은 순도가 99.5%인 대정화금 제품이다. 아질산나트륨(NaNO2)은 순도 99.5%의 대정화금 제품이며, 염화알루미늄(AlCl3)은 순도 97%의 대정화금 제품이다. 수산화나트륨(NaOH)은 순도 98%의 대정화금 제품이다. Quercetin은 순도 95%의 Sigma-Aldrich 제품이다. 실험에 사용되는 용량플라스크, 마이크로피펫, 마이프로피펫, 시험관, 유리셀 등의 실험 기구들이 준비되어 있다.
2.2. 실험 기구
100 mL 비커, 50 mL 비커, 온열판 & 교반기, 집게, 스패튤라, 에르렌마이어 플라스크, 깔때기, 여과지, 100 mL 눈금 실린더, 라벨 테이프, 여과지로 겹쳐서 닦는 천, 라텍스 장갑, 스퀴즈 병, 저울용 종이, 화학 저울, 파스퇴르 피펫, 피펫 벌브이다. 이러한 실험기구들은 시약 제조, 시료 전처리, 흡광도 측정 등의 실험 절차에 활용된다. 실험에서 정확한 양의 시약을 취하고, 용액을 반응시키며, 생성물을 여과하고 분리하는 데 필요한 필수적인 기구들...
참고 자료
Busch C., Burkard M., Leischner C., Lauer U.M., Frank, J., Venturelli, S. 2015. Epigenetic activities of flavonoids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 Clinical Epigenetics, 7(1).
Pękal A., Pyrzynska K. 2014. Evaluation of aluminium complexation reaction for flavonoid content assay. Food Analytical Methods, 7(9), 1776–1782.
Rong Tsao. 2010. Chemistry and Biochemistry of Dietary Polyphenols. Nutrients 2, 1231-1246.
이용근, 박윤창, 박정학, 이동수, 팽기정, 황훈 공역, 분석화학 Ι, 사이텍미디어.
대표역자 이익모, 일반화학 Ι. 북스힐
wikipedia - Delphinidin
https://en.wikipedia.org/wiki/Delphinidin
wikipedia - Anthocyanidin
https://en.wikipedia.org/wiki/Anthocyanidin
wikipedia - Anthocyanin
https://en.wikipedia.org/wiki/Anthocyanin
Øyvind M. Andersen and Monica Jordheim, Chemistry of Flavonoid-Based Colors in Plants. 2010. Comprehensive natural products II chemistry and biology Vol.3 Development & Modification of Bioactivity (editor : Mander L. Liu H. W.b). Elsevier. p. 547-614
wikipedia – Conjugated system
https://en.wikipedia.org/wiki/Conjugated_system
13.19: The Effect of Conjugation on λmax. Chemistry LibreTexts
http://chem.libretexts.org/Textbook_Maps/Organic_Chemistry_Textbook_Maps/Map%3A_Organic_Chemistry_(Bruice)/13%3A_Mass_Spectrometry,_Infrared_Spectroscopy,_and_Ultraviolet%2F%2FVisible_Spectroscopy/13.19%3A_The_Effect_of_Conjugation_on_%CE%BBmax
https://260h.pbworks.com/w/page/32368294/Beta%20Carotene%20and%20Lycopene
Halbwirth, H. (2010). The creation and physiological relevance of divergent hydroxylation patterns in the flavonoid pathway.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11(2), 595-621.
노동윤 외 10명. 무기화학실험. 2014. 자유아카데미. 253-257
안승규, 신기식, & 윤경훈. (2011). [고분자 특성분석 지상강좌] 태양전지 성능평가 기술 (측정과 보정).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22(6), 570-576.
Calogero, G., et al. (2012). Anthocyanins and betalains as light-harvesting pigment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Solar energy, 86(5), 1563-1575.
Hug, H., et al. (2014). Biophotovoltaics: natural pigments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Applied Energy, 115, 216-225.
Abdou, E. M., et al (2013). Photostability of low cost dye-sensitized solar cells based on natural and synthetic dyes. Spectrochimica Acta Part A: Molecular and Biomolecular Spectroscopy, 115, 202-207.
San Esteban, A. C. M., & Enriquez, E. P. (2013). Graphene–anthocyanin mixture as photosensitizer for dye-sensitized solar cell. Solar Energy, 98, 392-399.
Cherepy, N. J., et al (1997). Ultrafast electron injection: implications for a photoelectrochemical cell utilizing an anthocyanin dye-sensitized TiO2 nanocrystalline electrode. The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B, 101(45), 9342-9351.
Hattori, T., et al. (1992). The Viviparous-1 gene and abscisic acid activate the C1 regulatory gene for anthocyanin biosynthesis during seed maturation in maize. Genes & Development, 6(4), 609-618.
Russo, G. L. et al. (2014). The pleiotropic flavonoid quercetin: from its metabolism to the inhibition of protein kinases in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Food & function, 5(10), 2393-2401.
이홍인. (2019). 일반화학실험 (제1판 5쇄) 발행지: 자유아카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