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 근력강화위한 저항운동 프로그램설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노인 운동프로그램 설계 및 관리
1.1. 대상자 건강상태 확인
1.2. 노인체력측정 결과
1.3. 사전 검사 결과
1.4. 운동프로그램 구성
1.5. 식단 계획
1.6. 피드백 제공과 목표 점검
2. 노인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설계
2.1. 밸런스 보드 사용전 주의사항
2.2. 밸런스 보드 운동
2.3. 밸런스 보드 4주 프로그램
3. 노인 운동프로그램의 중요성
3.1. 근력 운동의 효과
3.2. 유산소 운동의 중요성
3.3. 운동 시작의 중요성
3.4. 운동의 장애요인 극복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노인 운동프로그램 설계 및 관리
1.1. 대상자 건강상태 확인
대상자의 건강상태 확인 결과, 복부비만으로 인한 고도비만(BMI 31.2)과 고혈압이 확인되었다. 계측검사 결과 키 175cm, 몸무게 95kg으로 체질량 지수가 31.2로 비만 기준에 해당하며, 허리둘레 102cm로 복부비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혈압이 143/92mmHg로 고혈압 의심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노인신체기능검사 및 노인기능평가 결과에서도 정상으로 평가되었으나,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가 중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건강상태가 비만과 고혈압 등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2. 노인체력측정 결과
노인체력측정 결과, 대상자의 상ㆍ하체 근력과 동적 균형은 정상 범위 내에 있었지만, 상ㆍ하체 유연성과 지구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력측정 결과에 따르면 대상자의 30초간 의자에서 일어서기는 평균 수준이었고, 아래팔 구부리기도 정상 범위에 속했다. 하지만 2분간 제자리 걷기에서 목표 범위보다 16 회 적게 기록하여 지구력이 다소 부족했다. 또한 의자에 앉아서 손 앞으로 뻗기와 등 긁기 항목에서도 정상 범위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연성이 부족한 상황이었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복부비만으로 인해 유연성과 지구력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3. 사전 검사 결과
노인체력측정 결과, 대상자의 복부비만으로 인해 상·하체 유연성과 지구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목표를 1순위로 체중 감량을 위한 유산소성 지구력 훈련, 2순위로 유연성 훈련, 3순위로 저항 운동 순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고려하여 고혈압에 맞춤화된 운동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운동 시간은 20~30분 정도로 주 2~3회 정도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고, 힘들거나 벅차다고 생각이 들 경우 한 단계 낮춰서 실시할 예정이다. 가벼운 유산소운동(걷기 운동)을 점차적으로 속도와 거리를 증가하여 실시할 계획이다. 이처럼 대상자의 건강상태와 체력 수준을 사전 검사 결과를 통해 확인하고, 그에 맞는 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1.4. 운동프로그램 구성
운동프로그램 구성은 준비운동, 유산소운동, 근력운동, 정리운동의 순서로 1시간 동안 주 3회 진행한다. 매 주차마다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을 2가지씩 병행하여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1주차에는 유산소운동으로 스텝박스를, 근력운동으로 탄성밴드 운동을 10회씩 3세트 실시한다. 2주차에는 유산소운동으로 계단오르기를, 근력운동으로 체중이용 운동을 10회씩 3세트 실시한다.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은 10-15분, 유산소운동은 15-25분, 근력운동은 10-15분으로 구성된다. 유산소운동은 운동과 휴식을 5분씩 3회 반복하고, 세트 간 5분 휴식을 가진다. 근력운동은 대근육군을 대상으로 2-3가지 동작을 실시하며, 최대한 가벼운 저항으로 충분한 횟수를 수행하도록 한다.
운동 중 호흡곤란, 어지러움, 협심증 등의 증상이 발생하면...
참고 자료
C.Jessie JonesㆍDebra J.Rose, 노인체육, 대한미디어, 2006
Fit with RESISTANCE BANDS, Thera-Band, Thera-Band
[출처] 노인들의 근력 운동(어르신들의 근력 운동, 나이든 사람들의 근력 운동)|작성자 창고지기
필라테스, 마누엘 페드라갈, 2021
코어프로그램, 페기 브릴, 2016
스포츠윤리, 한국체육철학회,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