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실무의 윤리적 책임
1.1. 간호단위에서 발생한 윤리적 문제 상황
간호단위에서 발생한 윤리적 문제 상황은 간호사들이 실제 겪는 윤리적 딜레마를 잘 보여준다. 간호사는 환자의 안녕과 권리를 보호해야 하는 전문직 윤리적 책임이 있지만, 때로는 보호자 혹은 가족의 요구로 인해 갈등을 겪게 된다.
예를 들어 A씨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암 진단을 받은 환자의 남편이 아내에게 병명을 숨기고자 한 것은 아내의 알 권리와 자기결정권을 침해하는 행위였다. 그러나 보호자인 남편은 아내의 건강 악화를 막기 위해 이를 숨기고자 했다. 이런 상황에서 간호사는 환자의 인격적 권리와 보호자의 입장 사이에서 갈등을 겪을 수밖에 없다.
즉, 간호사는 환자의 알 권리와 보호자의 의견 존중이라는 상충되는 가치 사이에서 윤리적 딜레마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이는 말기 환자 간호 상황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는데, 환자의 고통 경감과 존엄한 죽음을 준비시켜야 하는 간호사의 윤리적 책임이 간과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환자가 자신의 예후를 알지 못한 상태에서 병세가 악화되는 경우, 간호사는 환자의 알 권리와 보호자의 요구 사이에서 윤리적 갈등을 겪게 된다. 보호자나 가족이 환자에게 병명을 알리지 말아달라고 요구하기 때문이다. 이때 간호사는 환자가 마땅히 알 권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호자의 입장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이처럼 간호 현장에서는 다양한 윤리적 문제 상황이 발생하며, 간호사는 환자의 권리와 안녕, 그리고 보호자의 요구 사이에서 갈등을 겪게 된다. 이는 간호 윤리의 핵심이자 간호사 개인의 도덕성과 판단력이 요구되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1.2. 말기 환자 간호에서의 윤리적 딜레마
말기 환자 간호에서의 윤리적 딜레마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는 말기환자가 고통에 직면하였을 때 간호사는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켜야 하는 윤리적 책임이 있다는 것과 인간으로서 존엄을 갖고 죽을 수 있도록 임종을 준비시켜야 되는 도덕적 의무 간에서 윤리적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는 것이다. 둘째는 환자가 본인의 병명이나 예후에 대하여 모르고 있는 동안 병세가 악화되는 경우로 이 경우 보호자나 가족이 환자에게는 병명을 비밀로 해 줄 것을 부탁한다면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갈등은 더욱 심각해진다. 그 이유는 환자의 입장에서는 마땅히 자신이 말기환자임을 알 권리가 있고 본인의 임종과 관련하여 주위환경이나 신변을 정리할 시간이 필요한데 보호자나 가족의 입장에서는 환자에게 자신이 회복될 수 없는 말기환자임을 통보하는 것이 환자의 예후에 나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고 두려워하며 간호사에게 환자의 병명을 가르쳐주지 않을 것을 요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1.3. 윤리적 갈등상황에 대한 해결방안
윤리적 갈등상황에 대한 바람직한 해결방안은 다음과 같다.
의료계, 종교계, 윤리계 등을 아우르는 광범위한 사회적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