섭리론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최초 생성일 2025.03.28
7,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섭리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 론
1.1. 섭리론 연구의 의의 및 중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연구방법과 범위

2. 섭리에 대한 일반적 이해
2.1. 섭리의 정의
2.1.1. 성경에 나타난 섭리의 모습
2.1.2.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섭리의 이해
2.2. 섭리의 성질
2.2.1. 보편성
2.2.2. 주밀성
2.2.3. 주권성
2.2.4. 허용성
2.3. 개혁주의신학자들의 견해
2.3.1.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2.3.2. 루이스 벌코프
2.3.3. 메이첸
2.4. 하나님의 섭리 부정론
2.4.1. 초연신론적 섭리관
2.4.2. 범신론적 섭리관

3. 존 칼빈의 섭리론
3.1. 칼빈의 하나님의 섭리 이해
3.2. 칼빈의 섭리와 창조

4. 칼빈의 예정론과 섭리론과의 관계
4.1. 칼빈의 예정론의 성질
4.1.1. 은혜로운 선택
4.1.2. 공의로운 유기
4.2. 칼빈의 섭리론과의 관계에서 예정
4.2.1. 예지
4.2.2. 견인

5. 결론 및 제안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 론
1.1. 섭리론 연구의 의의 및 중요성

섭리론 연구의 의의 및 중요성이다.

"섭리"라는 용어는 성경 자체에서 비롯된 것은 아니지만 매우 성경적인 교리를 나타내며, 기독교 신학에 있어서 근간이 되는 내용이다. 특히 섭리는 "신자의 삶에 대한 하나님의 인도하심"이란 직접적인 신앙적 내용 때문에, 단순히 신학적 중요성을 띨 뿐 아니라, 모든 신자에게 관련되는 신앙적 중요성도 막중하다. 하나님의 섭리는 모든 세세한 일들과 관련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떤 특별한 '섭리적' 사건들과 주로 관련되어 있다는 일반적인 오해가 있다. 그러나 성경에서는 하나님께서 가장 작은 것에서부터 큰 것에 이르기까지 당신의 지혜와 손길로 만드셨고 관리하신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섭리는 신자 자신과 그의 삶 그리고 그의 주위에 있는 모든 관계에 대해 하나님의 뜻의 펼쳐짐과 운영이 지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섭리론에 대한 연구는 신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주제이며, 현대 사회 속에서 점점 공허한 개념이 되어가는 섭리에 대한 바른 이해를 위해 필요한 작업이다. 특히 성경에 기반한 개혁주의 신학자들의 견해를 살펴봄으로써 성경이 제시하는 섭리에 가장 근접한 이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1.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하나님이 주권적으로 이 세상을 통치하며, 그 주권은 선하시며, 인간 세상에 일어나고 있는 각종 악들은 인간의 타락한 성품에서 나온다는 것을 논증하는 데 있다. 성도들이 하나님의 섭리를 정확히 이해하고 우리에게 일어난 많은 사건들 속에 숨어있는 하나님의 선하신 뜻을 발견하면, 일이 실패하거나 힘든 일이 생길 때도 하나님의 선하신 뜻을 믿으며 기대하는 마음이 생길 것이다.


1.3. 연구방법과 범위

본 논문에서는 섭리에 관한 성경적 이해를 시도한 개혁신학의 섭리론을 살펴보는 것이다. 서론에서는 섭리 연구의 의의와 중요성의 문제제기와 목적을 서술하는 것이다. 본론에서는 섭리를 성경적 개념에서 파악하고 섭리의 요소들을 조사한다. 또한 존 칼빈의 「기독교 강요」에 서술되어 있는 섭리론을 연구하고, 개혁신학을 시작한 칼빈을 통해 섭리론을 살펴봄으로써 전반적인 흐름을 잡아 성경에서 제시하는 섭리에 가장 근접한 섭리론을 알아내고자 한다.


2. 섭리에 대한 일반적 이해
2.1. 섭리의 정의
2.1.1. 성경에 나타난 섭리의 모습

성경에 나타난 섭리의 모습이다. 구약성경에서는 하나님이 창조하신 모든 피조물을 보존하시며 그의 뜻대로 다스리고 계심을 알 수 있다. 창세기 1장에 보면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신 후 "좋았더라"고 말씀하신다. 이는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모든 것이 선하고 완전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하나님은 세상의 모든 일이 자신의 뜻대로 이루어지도록 섭리하신다. 출애굽기 4장에서는 하나님께서 바로의 마음을 강퍅하게 하셔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애굽을 떠나도록 하셨다. 이는 하나님의 구원 계획이 그의 주권적인 섭리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구약 전반에 걸쳐 하나님이 자신의 백성을 선택하고 보호하시며 그의 구원 계획을 이루어가시는 모습이 나타난다. 신약성경에서도 예수님의 생애와 사역을 통해 하나님의 섭리가 드러난다.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들로서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완성하시기 위해 이 세상에 오셨다. 요한복음 3장 16절에서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저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고 말씀하셨듯이, 이는 하나님의 섭리가 인간 구원을 향한 것임을 보여준다. 또한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을 택하시고 그들을 통해 복음을 전파하시어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를 이루어가셨다. 이처럼 성경 전반에서 하나님이 만물을 창조하시고 보존하시며 자신의 구원 계획을 실현해 가시는 섭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2.1.2.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섭리의 이해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 제2스위스 신앙고백은 하나님의 섭리에 대해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하나님의 영원하신 작정과 섭리의 주권적 성격을 강조한다. 하나님은 가장 지혜롭고 거룩하신 자신의 뜻에 따라 모든 사물과 행위를 결정하고 다스리신다. 이는 하나님의 전지전능하심에 근거한 것으로, 하나님은 죄악과 악마의 행위까지도 자신의 거룩한 목적을 위해 허용하시며 다스리신다.

제2스위스 신앙고백 역시 하늘과 땅의 모든 것이 하나님의 지혜롭고 영원하며 전능하신 섭리에 의해 유지되고 다스려진다고 고백한다. 다만 섭리에 대한 방편들을 불필요한 것으로 여기지 않고, 하나님의 말씀에 언급된 한에서 이를 활용해야 함을 강조한다. 이는 하나님의 섭리가 인간의 노력이나 수고와 무관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즉, 개혁주의 신앙고백들은 하나님의 주권적이고 전지전능한 섭리를 고백하면서도, 이것이 인간의 역할과 책임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하나님의 섭리가 인간의 노력과 수고를 통해 실현되며, 인간은 이 섭리 안에서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며 살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2.2. 섭리의 성질
2.2.1. 보편성

하나님의 섭리의 손길은 우주 만물 전체에 미친다. 성경 전체를 통하여 자연의 법칙들, 역사의 진정(進程), 개인들의 여러 가지 복이 항상 하나님의 섭리적 관할에 돌려졌다. 하늘과 땅의 만물이 천사들로부터 작은 원자에 이르기까지 그의 끊임없는 섭리에 의해 정돈된다. 하나님과 만유전체의 관계를 자칫 범신론적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개인적 인격들과 제 이 원인들 역시 하나님의 섭리에 의한 것이다. 이것은 하나님의 내재성의 교리를 말하지만 성경은 또한 하나님이 만유 전체 위에 분리되어 계시는 초월성의 교리를 말한다. 하나님의 섭리의 손길은 우주 만물에 미칠 뿐 아니라, 아주 작은 사물에 까지 미친다. 하나님의 섭리의 손길은 공중의 새도, 들짐승과 들풀도, 우리들의 머리털까지 세세히 관찰하시고, 눈에 보이지 않는 것 까지도 섭리하신다.


2.2.2. 주밀성

하나님의 섭리는 세세한 사물에까지 미치고 있다. 하나님은 공중의 새와 들의 풀에도 주의를 기울이시며, 우리의 머리털까지 세셔서 보살펴주신다.

하나님은 가장 작은 것에서부터 가장 큰 것에 이르기까지 모든 피조물들과 행위들, 사건들을 보호하시고 지도하시며, 처리하시어 그의 지혜와 능력과 선하심과 긍휼의 영광을 찬양하게 하신다. 이는 하나님의 무오하신 예지와 자유롭고 불변하신 자신의 뜻에 따라 이루어진다.

하나님께서는 세상의 세세한 일들을 비롯하여 우리 개개인의 삶까지도 세세히 살펴보시고 관여하신다. 하나님의 섭리가 미치지 않는 사물이나 사건은 없으며, 우리의 작은 일상에서조차 하나님의 손길이 어루러...


참고 자료

김성환.「평신도를 위한 칼빈주의 해설」. 서울: 정음출판사, 1982.
김의환.「웨스터민스터 신앙고백서」. 서울: 생명의말씀사 2003.
박해경.「칼빈의 신론」. 서울: 이컴비즈넷, 2005.
박형룡.「박형룡博士著作全集」. 서울: 한국기독교교육연구소, 1983.
이양호.「칼빈의 생애와 사상」.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2005.
이종성.「신론」.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78.
하문호.「교의신학」. 서울: 그리심, 2010.
그루뎀웨인.「성경 핵심 교리」. 김광열․곽철근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원 2004.
메이첸그리샴.「기독교인간관」. 채겸회 역 서울:나침반, 1992.
벌코프루이스.「조직신학(상)」. 권수경․이상원 공역.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2.
정의재 역 「신학대전Ⅰ」. summa Theologiae. 서울: 성바오로출판사 1985.
Boettner Lorain, 「칼빈의 예정론」. 홍의표 편역, 서울: 보문출판사, 1982.
Calvin. J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Edited by John T. McNeill, Translated by Ford Lewis Battles,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60) 양낙홍역.「기독교강요 초판」. 서울: 크리스찬다이제스트사, 1988.
「기독교대백과사전」. 박근용 외 5명. 서울: 기독교문사, 1983.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