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심리학개론 학점은행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심리학개론 학점은행제
1.2.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1.3. 도덕성 발달의 중요성
2. 본론
2.1. Kohlberg 도덕성 발달단계와 단계별 특징
2.2. 주변 사람들의 도덕성단계 측정
2.3.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적용 결과
2.4. 연구자의 견해
3. 결론
3.1. 도덕성 발달 단계별 교육 방향
3.2. 실험 결과와 Kohlberg 이론의 일치성
3.3. 도덕성 발달 교육의 실천적 적용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심리학개론 학점은행제
심리학은 인간의 행동, 사고, 감정을 이해하고 설명하려는 학문이다. 심리학개론 학점은행제는 이러한 심리학의 기초 개념과 이론을 체계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제도이다. 이는 심리학의 다양한 세부 분야를 폭넓게 다루며, 인간 행동과 정신 과정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돕는다.
심리학개론 학점은행제에서는 주요 심리학 이론과 연구 방법을 학습한다. 행동주의, 인지주의, 정신분석학 등의 관점에서 인간의 심리적 특징을 탐구하며, 발달, 성격, 학습, 지각, 기억, 동기 등의 주제를 다룬다. 또한 실험 설계,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을 익힘으로써 체계적인 연구 능력을 기르게 된다.
이러한 심리학개론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은 인간 행동과 정신 과정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 심리학 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다. 이는 향후 교육, 상담, 임상, 산업 등 다양한 영역에서 심리학적 접근과 실천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2.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은 도덕성이 단계적으로 발달한다고 주장한다. 콜버그는 도덕성 발달을 전인습적, 인습적, 후인습적 단계로 구분하였고, 각 단계를 다시 2부분으로 세분화하여 총 6단계로 설명하였다. 첫 번째 수준인 전인습적 도덕기에는 복종과 처벌지향 단계와 상대적 쾌락주의 단계가 포함된다. 이 시기에는 아직 진정한 의미의 도덕성이 없으며, 처벌을 피하거나 자신의 욕구 충족을 위해 행동하게 된다. 두 번째 수준인 인습적 도덕기에는 착한 아이 지향 단계와 사회질서와 권위지향 단계가 포함된다. 이 시기에는 전통적인 법과 질서에 동조하는 도덕성이 발달하고, 사회적 기대나 기준에 맞추어 행동하려 한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수준인 후인습적 도덕기에는 민주적 법률 단계와 보편적 원리 단계가 포함된다. 이 시기에는 자신의 가치관과 도덕적 원리원칙이 자신이 속한 집단과 별개이며, 개인의 양심에 근거하여 행위를 하게 된다. 이처럼 콜버그는 인간의 도덕적 추론 능력이 인지발달 단계에 따라 점진적으로 발달한다고 주장하였다.
1.3. 도덕성 발달의 중요성
아동기는 학교생활과 더불어 아동이 습득하게 되는 도덕적인 규칙들이 많아지는 시기이다. 아동은 성장하면서 자아중심성에서 벗어나 사회를 인식하게 되며 그 안에서 요구되는 많은 규칙을 알게 된다. 예를 들어 아동들의 눈에는 엄마를 도와주려다 여러 개의 컵을 깬 아동이 몰래 과자를 훔치려다 세 개의 컵을 깬 아동보다 벌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는 어떤 행동의 과정보다도 나쁜 결과에 더 많은 잘못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신의 잘못을 감추거나 이야기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간혹 남의 것을 탐내어 가져오기도 하고 의도적으로 감추기도 한다. 이러한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아동기는 다양한 도덕성을 형성하고 규칙을 배우며 이를 체득하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따라서 아동의 특성을 인지하고 그에 따른 올바른 도덕교육을 실시해야만 성인이 되었을 때 올바른 사고와 바른 가치관을 지닌 도덕성을 함양할 수 있기 때문에 아동기의 도덕성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2. 본론
2.1. Kohlberg 도덕성 발달단계와 단계별 특징
콜버그는 도덕성 발달이 인지발달 수준에 따라 그 단계가 결정된다고 보았다. 콜버그에 의하면 도덕성이 발달한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도덕적 판단 능력이 발달한다는 것이다. 콜버그는 도덕성의 핵심을 도덕적 판단 능력이라고 본다. 오랜 경험적 연구를 통하여 콜버그는 도덕성...
참고 자료
서강식, 피아제와 콜버그의 도덕교육이론, 인간사랑, 2007 콜버그, 김봉소 김민남 진미숙 공역,
도덕발달의 철학, 교육과학사, 2000 남궁달화
콜버그의 도덕교육론, 철학과 현실, 1995 김광웅 외(2004) 아동발달, 형설 김태련 (1999) 발달심리학, 박영사
<심리학개론>교안, 휴넷사회복지평생교육원, 2024
Davey, Graham C., ed. Applied psychology. John Wiley & Sons, 2023.
Lockman, Robert F. "An empirical description of the subfields of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st 19.8 (1964): 645.
Neal, Tess. "Forensic psychology and correctional psychology: Distinct but related subfields of psychological science and practice." American Psychologist 73.5 (2018): 651.
Eisman, Elena J., and Caroline Vaile Wright. "Related subfields in psychology." (2016).
Grof, Stanislav. Psychology of the future: Lessons from modern consciousness research.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19.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victoryyah&logNo=30153006931
https://babrything.tistory.com/2
https://m.cafe.daum.net/wnrfladjflsdlwlq/MlO7/165?listURI=%2Fwnrfladjflsdlwlq%2FMlO7
http://www.sangdam.kr/encyclopedia/cd/cdtheory/cdtheory3.html
http://www.playwellcc.com/official.php/home/info/2236
https://ko.wikipedia.org/wiki/%EC%97%90%EB%A6%AD%EC%8A%A8%EC%9D%98_%EC%8B%AC%EB%A6%AC%EC%82%AC%ED%9A%8C_%EB%B0%9C%EB%8B%AC%EC%9D%98_%EB%8B%A8%EA%B3%84
https://m.blog.naver.com/ihometree/221588066469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70165&cid=41991&categoryId=4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