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 제1형당뇨 케이스 분석

  • 1
  • 2
  • 3
  • 4
  • 5
  • 6
  • 7
>

상세정보

소개글

"아동간호 제1형당뇨 케이스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질병에 대한 기술
2.1. 원인 및 병인론
2.2. 임상증상
2.3. 임상검사
2.4. 치료 및 간호

3. 대상자 사정
3.1. 대상자 간호력
3.2. 간호사정
3.3. 대상자 기록지 고찰

4. 간호과정

5. 결론 및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당뇨병이라 함은 그저 다 큰 성인만 걸리는 질환인 줄로만 알았는데 간호학과에 진학하여 전공을 공부하면서 소아청소년에게도 흔히 발생하는 것임을 알게 되었다. 또한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지난 2006년부터 2015년까지의 10년 치 건강보험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약물치료 중인 '1형 당뇨병' 환자가 2006년 4,075명에서 2015년 5,338명으로 10년 새 31% (1,262명)이나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는 우리나라에서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는 문제이며 이번 실습을 통해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에 대해 더욱 더 자세히 알고 싶어 케이스로 선택하게 되었다.


2. 질병에 대한 기술
2.1. 원인 및 병인론

아동에게 발생하는 당뇨병은 대부분 인슐린 의존형인 1형으로, 췌장의 랑게르한스섬 β세포의 장애로 인한 인슐린의 절대적 결핍으로 인해 발생한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전적 소인을 가진 아동이 볼거리, 풍진, 감기 등 바이러스 감염에 노출되면 췌장이 손상되어 발생하기도 한다. 하지만 2형 당뇨병에 비해 유전적 요인은 매우 낮으며, 6번 염색체에 HLA type이 있는 경우에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된다. 인슐린이 부족하게 되면 간에 저장되어 있던 당원(glycogen)이 포도당(glucose)으로 전환(glycogenolysis)되면서 고혈당(hyperglycemia)이 발생한다. 혈중 포도당이 신장의 역치(160~180mg/dL)를 초과하면 소변에서 포도당이 나오게 된다. 고혈당으로 인해 혈액의 삼투압이 높아지면 조직에서 혈관으로 수분이 이동하여 소변량이 많아진다. 또한 다량의 수분이 소변으로 소실되기 때문에 갈증이 심해져 물을 많이 마시게 된다. 다량의 에너지원이 사용되지 않은 채 소변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조직은 포도당 이용부족으로 공복 중추가 자극되어 공복감이 심해지고 식욕이 항진된다. 이외에 인슐린이 부족하면 아미노산으로부터 포도당을 생성하려는 포도당신합성(gluconeogenesis) 작용으로 단백질 합성이 저하되고 세포내 칼륨이 세포외로 이동하여 고칼륨혈증이 될 수 있다. 또한 지방을 분해하여 지방분해로 인한 중간 대사산물인 케톤체를 증가시켜 케톤혈증(ketonemia)을 유발할 수 있다.


2.2. 임상증상

당뇨병 환자는 고혈당과 3대 증상(다뇨, 다갈, 다식)을 나타내며, 이와 더불어 탈수, 전해질 불균형, 체중감소 등의 증상을 보인다. 그 외에도 피로감, 피부 건조, 시력 장애, 상처 치유 지연, 잦은 감염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케톤산증이 심해지면 오심, 구토, 복부동통이 발생할 수 있다. 당뇨병의 주요 증상인 3대 증상(다뇨, 다갈, 다식)은 포도당과 케톤이 소변으로 배출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고혈당으로 인해 혈액의 삼투압이 높아지면 조직에서 혈관으로 수분이 이동하여 소변량이 많아지고(다뇨), 다량의 수분 소실로 인해 갈증이 심해진다(다갈). 또한 다량의 에너지원이 사용되지 않은 채 소변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조직은 포도당 이용 부족으로 공복 중추가 자극되어 식욕이 항진된다(다식). 이러한 3대 증상과 더불어 탈수, 전해질 불균형, 체중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피로감, 피부 건조, 시력 장애, 상처 치유 지연, 잦은 감염 등의 증상도 함께 관찰된다. 당뇨병성 케톤산증이 발생하면 오심, 구토, 복부동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는 다양한 증상을 보이므로 전반적인 건강상태 관찰이 중요하다.


2.3. 임상검사

당뇨병의 진단은 전형적인 당뇨병 증상(다뇨, 다갈, 다식)이 있으면서 임의로 측정한 혈당이 200mg/dL 이상이거나 8시간 공복 후 측정한...


참고 자료

간호과정 관련 문헌의 예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5-2017 국제간호진단협회 (정담미디어) ISBN 9788960695702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Meg Gulanick, Judith L. Myers (현문사) ISBN 9788966309108
박호란 외 공저(2019).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하권. 현문사.
https://www.diabetes.or.kr/general/class/type.php - 대한 당뇨병학회 > 제1형 당뇨병
http://child.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466 -저혈당증 서울대학교 어린이 병원
https://www.pediatrics.or.kr/bbs/index.html?code=disease_info&category=B&gubun=&page=1&number=8943&mode=view&keyfield=&key=-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18c03&CONT_SRC=CMS&CONT_ID=2736&CONT_CLS_CD=001020002 - 삼성서울병원 > 질환과 영양 > 소아당뇨
https://www.diabetes.or.kr/general/class/complications.php?code=complication&number=337&mode=view&idx=1 - 대한 당뇨병학회> 당뇨병교실 > 합병증
http://www.kspendo.or.kr/society/sub01.html - 대한소아내분비학회 > 질환안내 > 당뇨병이란?
http://www.yonseipedi.com/clinic_b.html?code=3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 소아당뇨 클리닉 > 당뇨병의 합병증
https://www.youtube.com/watch?v=19HG-_vNEAU - 삼성 서울병원 > 저혈당의 예방과 치료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DM&MENU_ID=008037 삼성 서울병원 > 당뇨병 관리방법 > 저혈당 대처법
김재현. "제 1 형 당뇨병 환자의 진단 및 혈당조절 목표." J Korean Diabetes 16 (2015): 101-107.
김영순. "청소년기 제 1 형 당뇨병 환자의 관리." Journal of Korean Diabetes 19.3 (2018): 175-180.
김지영. "당뇨병 교육을 위한 정보광장: 소아 청소년기에 발병한 제 1 형 당뇨병환자의 영양관리." 임상당뇨병 11.1 (2010): 52-58.
유성훈. "당뇨병 합병증 어떻게 검사하나?."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018.2 (2018): 166-168.
문준성. "인슐린 치료를 받는 당뇨병 환자에서 Flash Glucose Monitoring 의 활용." Journal of Korean Diabetes 21.4 (2020).
박성민. “인슐린의 종류와 효과 및 부작용.” 당뇨병관리의 인슐린과 경구혈당강하제. 월간당뇨 3월호 부산 구포성신병원 내과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4081.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황옥남 외(2018),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송경애 외(2016).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김조자 외(2014),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방경숙 외(2018), 아동간호학, 학지사메디컬
장선이, 「[취재파일] "화장실에 숨어서 주사"…방치된 소아당뇨 아이들 ①」, 접속일자 2017.8.30,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265468&plink=ORI&cooper=NAVER
김미예 외 15명 공저, 『아동건강간호학』, 수문사, 2017.8.30, p.579~582, 586, 590
김금순 외 공저(2015), 성인간호학Ⅰ, 경기:수문사, p362
이정화 외 4명, 환자의 신뢰만족도 향상을 위한 간호사의 의사소통 전략, 2017, p11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