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과정 전주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상세정보

소개글

"지역사회간호과정 전주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 개요
1.1. 지리적 특성
1.2. 인구학적 특성
1.2.1. 인구 분포
1.2.2. 연령별 인구 구조
1.2.3. 고령화 현황
1.3. 경제·사회적 특성
1.3.1. 경제활동 현황
1.3.2. 교육 수준
1.4. 지역 환경
1.4.1. 상하수도 및 대기 오염
1.4.2. 기후 및 열섬현상
1.5. 지역 문화
1.5.1. 역사와 문화유산
1.5.2. 지역 축제와 행사

2. 지역사회 건강 현황
2.1. 건강수준
2.1.1. 출생·사망률
2.1.2. 주요 질병 현황
2.1.3. 건강행태
2.2. 보건의료자원
2.2.1. 의료기관 및 시설
2.2.2. 의료인력
2.3. 지역사회 보건사업 현황
2.3.1. 예방 및 관리 사업
2.3.2. 건강증진 사업

3. 지역사회 간호 문제 및 간호진단
3.1. 노인 우울감 경험률 증가
3.2. 폭염 취약성 증가
3.3. 호흡기계 질환 위험성 증가

4. 지역사회 간호 중재 계획
4.1. 노인 우울증 관리 사업
4.1.1. 노인 사회활동 참여 프로젝트
4.1.2. B대면 마을회관 운영
4.1.3. 후마네트 운동사업
4.2. 폭염 취약성 감소 방안
4.3. 호흡기계 질환 예방 사업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 개요
1.1. 지리적 특성

전주시는 전라북도 중앙부를 북동으로부터 남서로 뻗어있는 노령산맥의 지류인 기린봉, 고덕산, 남고산, 모악산 및 완산칠봉 등의 시가지의 동,남,서방에 둘러싸여 분지를 이루고 있다. 시가지의 대부분은 전주천 충적토상(沖積土上)에 건설되어 대체로 평탄하며 남동방 전주천변에서 북서방을 향하여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전주천은 시의 남동방 26km의 관촌평야와 경계한 분수령에서 기원하여 시가지의 중심을 남동방에서 북서방으로 관통하고 삼천은 노령산맥 복부(腹部)를 흐르고 있는 섬진강의 북평 분수령인 임실군 운암면과 완주군 구이면계에서 시작되어 전주시 서부 농경지를 남방으로 북방으로 흐르다 추천에서 전주천과 합류하여 만경강으로 흐른다. 또한 소양천은 곰치에서 기원하여 시의 북동 경계를 흘러 전주천과 합류되며 3개의 하천이 시의 남북으로 흐르고 있어 풍광(風光)이 명미(明媚)하고 산자수명한 녹도(綠都)를 이루고 있다. 면적은 206.22㎢, 연평균 기온 13.3℃, 연강수량 1313.1㎜이다.


1.2. 인구학적 특성
1.2.1. 인구 분포

전주시의 인구 분포를 살펴보면, 전체 인구수는 2015년 기준 653,202명이다. 이 중 남성은 322,382명, 여성은 331,820명으로 여성 인구가 약 9,000명 더 많다. 연령대별로는 40대(105,378명), 50대(104,824명), 20대(83,658명)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0~49세, 50~59세 연령층이 인구의 약 32.8%를 차지하고 있어 전주시의 주요 생산연령대라고 볼 수 있다. 그에 반해 0~19세 청소년 인구는 123,171명으로 전체 인구의 18.8%에 불과하다. 이를 통해 전주시의 인구 분포가 전국 평균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노령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2.2. 연령별 인구 구조

전주시의 연령별 인구 구조를 살펴보면, 0~19세 인구가 123,171명, 20~29세 인구가 83,658명, 30~39세 인구가 81,300명, 40~49세 인구가 105,378명, 50~59세 인구가 104,824명, 60~69세 인구가 71,064명, 70~79세 인구가 40,653명, 80~84세 인구가 11,460명, 85세 이상 인구가 6,504명으로 나타났다. 전주시의 연령별 인구 구조에 대해서는 39세까지는 남자 인구수가 더 많으나, 40세부터 여자 인구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흡연 및 음주 관련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여자보다 남자가 더 높고 여자의 평균연령이 더 높기 때문으로 보인다"이다.


1.2.3. 고령화 현황

전주시의 고령화 현황은 다음과 같다.

전주시의 고령인구 비율은 2020년 15.0%로 나타났다. UN에서 정한 기준에 의하면 고령화사회는 총인구 중 고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일 때, 고령사회는 14% 이상일 때, 초고령사회는 20% 이상일 때를 뜻한다. 이에 따르면 전주시는 고령화사회를 넘어선 고령사회에 해당한다.

전주시 완산구의 고령인구 비율은 9.8%, 덕진구의 고령인구 비율은 9.7%로 전국 평균에 비해 낮은 편이나, 전라북도 전체 평균인 16.4%와 비교하면 낮은 수준이다.

전주시 덕진구의 노령화 지수는 59.1%, 완산구의 노령화 지수는 60.6%로 전국 평균인 76.2%에 비해 매우 낮은 편이며, 전라북도 평균인 110.2%와 비교해서도 낮은 수준이다.

전주시 덕진구와 완산구의 8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 노인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6.1%와 7.5%로 전국 평균인 6.8%와 전라북도 평균인 7.4%와 비슷한 수준이다.전주시의 독거노인 가구 비율은 2019년 7.1%로 전국 평균 7.5%보다 낮은 편이다. 하지만 전주시의 독거노인 가구 수는 2015년 8,352명에서 2018년 10,172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전라북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수준이다.


1.3. 경제·사회적 특성
1.3.1. 경제활동 현황

전주시의 경제활동 현황은 다음과 같다.

전주시의 산업구조를 살펴보면, 도매 및 소매업 종사자가 38,053명으로 가장 많다. 그 다음으로는 보건 및 사회복지 사업, 교육 서비스업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주시에서는 제조업 종사자가 6.8%로, 농업 종사자가 0.1%로 나타나는 등 제조업과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은 편이다.

전주시의 총부양비는 25.9%로 나타났다. 이는 생산가능인구(15~64세) 100명당 부양해야 할 유년인구(0~14세)와 노년인구(65세 이상)의 수가 25.9명에 해당된다는 의미이다.

전주시의 경제활동인구는 290,300명이며, 비경제활동인구는 237,500명으로 집계되었다. 전주시의 고용률은 2014년 전반기 53.6%에서 후반기 54.4%로 소폭 증가하였다. 실업률도 전반기 8.7%에서 후반기 6.2%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경제활동과 취업률은 남자(166,000명)보다 여자(127,000명)가 높았으며, 남녀 모두 30~49세층(남:49%, 여:50%)이 주로 경제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경제활동인구는 여자, 50세 이상 인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1.3.2. 교육 수준

전주시의 교육 수준은 가구당 월 평균 사교육비와 사교육 분야별 참여율 및 지출액, 사교육 지출 가구의 사교육비 희망수준을 통해 알 수 있다.

2019년 전주시 가구당 월평균 총 공교육비는 243,000원, 총 사교육비는 158,000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7년에 비해 공교육비는 97,000원, 사교육비는 35,000원이 각각 감소한 수치이다. 사교육 분야별 참여율은 학원 수강이 76.8%로 가장 높고, 유아원이 20.1%로 두 번째로 높다. 반면 분야별 월평균 사교육비는 과외가 57.5%로 가장 높고, 학원 수강이 55.4%로 두 번째로 높다. 전주시민들의 53.7%가 사교육비가 적정하지 않다고 생각하며, 가장 희망하는 사교육비 적정 수준은 50만원 이상이다.

이를 통해 전주시의 교육 수준은 사교육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사교육비 부담이 큰 편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유아원과 학원에 대한 수요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주시민들은 현재의 사교육비 수준이 적정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더 많은 사교육비를 지출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1.4. 지역 환경
1.4.1. 상하수도 및 대기 오염

전주시의 상하수도 및 대기 오염 현황은 다음과 같다.

전주시의 상수도 보급률은 99.62%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하수도 보급률 또한 2013년 기준 98.5%로 상하수도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다. 2014년 전주시 수질 만족도 조사에서 80%이상의 시민들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수도와 하수도 서비스가 전반적으로 원활히 제공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전주시의 환경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은 2012년 575곳에서 2013년 586곳으로 소폭 증가했다. 그러나 환경오염배출사업장 위반업소의 수는 2011년 21곳에서 2013년 14곳으로 감소하여, 전주시의 환경오염 관리가 점차 개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기오염의 경우, 전주시의 대기오염 수준은 우리나라 평균치에 비해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이다. 전국 평균 SO2 농도가 0.006ppm, NO2 농도가 0.026ppm, CO 농도가 0.6ppm인데 반해, 전주시의 해당 수치는 각각 0.005...


참고 자료

정문희 외 공저, 개정 5판 21C 지역사회보건간호학, 신광출판사, p.143~203
국가통계포탈 http://kosis.kr
통계청 http://kostat.go.kr
통계지리정보서비스http://sgis.kostat.go.kr
보건복지부 http://www.mw.go.kr
지역사회건강조사 https://chs.cdc.go.kr
전주시 보건소 http://health.jeonju.go.kr
전주시청 www.jeonju.go.kr
전주시 문화관광 홈페이지http://tour.jeonju.go.kr
전북일보 http://www.jjan.kr
전라북도 도정현황통계시스템 http://stat.jeonbuk.go.kr
전북도청 http://www.jeonbuk.go.kr
한국건강증진개발원 http://www.khealth.or.kr/
대검찰청 www.spo.go.kr
여성가족부 www.mogef.go.kr
국가통계포털
후마네트 홈페이지
기상청 홈페이지
전주시 보건소 홈페이지
환경부 홈페이지
전주시청 홈페이지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