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우울 간호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노인우울 개요
1.2. 노인우울의 역학
1.3. 노인우울의 원인
1.4. 노년기의 특징적 우울증상
1.5. 우울증의 관리방법
2. 노인우울과 관련된 간호전략
2.1. 간호사정
2.2. 간호진단
2.3. 간호계획
2.4. 간호중재 및 프로그램
2.5. 간호평가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노인우울 개요
우울증은 정상적인 기분 변화로부터 병적인 상태에 있는 것으로 근심, 침울감, 무력감, 무가치감 및 실패감을 나타내는 정서장애이다. 노인에게서 우울증 발병률이 높은데, 2017년 정신건강의학과의 질병별 환자 수 중 우울에피소드가 51만 1,059명으로 이 중 70세 이상은 10만 9,347명이었으며, 전체노인 21.2%가 우울증상을 호소하였고 여성노인의 우울증상 비율이 24.0%로 남성노인 17.2%에 비해 높았다.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우울증상 비율이 증가하여 85세이상 노인의 우울증상 비율이 65~69세에 비해 두 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노인우울의 원인은 생물학적 요인과 사회심리학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생물학적 원인으로는 신경해부학적 요인, 신경생화학적 요인, 그리고 뇌졸중, 파킨슨병, 치매 등의 신체적 질환과의 연관성이 있다. 사회심리학적 요인으로는 배우자나 가까운 친척, 친구와의 사별로 인한 대인관계 상실, 퇴직과 관련된 경제적 어려움 및 사회적 단절, 만성질환, 여성, 이전의 우울에피소드, 가족력, 약물치료, 알코올 또는 물질남용 등이 있다.
노년기의 특징적 우울증상으로는 근심, 흥미상실, 식욕장애, 수면장애, 집중력 저하 등의 슬프고 불행한 감정이 주 증상이며, 슬픈 정서 표현이 적고 신체적 증상으로 표현하는 경향, 신체적 질환에 대한 지나친 호소, 최근에 발생된 신경증적 증상, 자해적 행동, 가성치매, 치매에 동반된 우울증, 행동장애, 비정상적 성격 성향의 강화, 노년기에 발생한 알코올 의존경향 등이 나타난다.
우울증은 조기에 치료하면 70~80%가 2개월 이내에 완쾌할 수 있는데, 약물치료 외에 비약물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좋다. 자신에 대한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기분이 점차 나아질 것이라고 기대하며, 다른 사람과 시간을 함께 보내거나 신뢰할 수 있는 친구를 만들고, 자신을 잘 알고 상황에 대해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사람과 상의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운동을 하면 우울한 노인에게서 보이는 해마, 대뇌 전두 피질, 전두엽 피질, 선조체, 편도체의 용적 감소와 백색질의 손상이 줄어들어 우울증 개선에 효과적이다.
1.2. 노인우울의 역학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전체 노인의 21.2%가 우울증상을 호소하였으며, 여성 노인의 우울증상 비율이 24.0%로 남성 노인의 17.2%에 비해 높다. 연령이 높을수록 우울증상 비율이 증가하여 85세 이상 노인의 우울증상 비율이 65-69세에 비해 두 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또한 2017년 정신건강의학과의 질병별 환자 수 중 우울에피소드가 51만 1,059명으로, 이 중 70세 이상은 10만 9,347명으로 노인에게서 우울증 발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노인 우울증은 단순한 슬픔 또는 기분의 저하를 넘어 생활에 큰 지장을 초래하는 심각한 문제이다. 노인 우울증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가장 흔한 정신 질환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노인 우울증 발병률이 매우 높아 주요 보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노인 우울증은 노화로 인한 신체적,...
참고 자료
한국노인간호학회. (2020). 노인간호학. 서울: 현문사, 335-341
김정숙, 임영미, 임정희. (2019). 지역사회 고위험 우울노인의 집단인지행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외로움, 우울 및 자살사고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연구학회지, 3(2): 25-35
전나미, 김명숙, 노기옥. (2017). 아로마목걸이를 병용한 수면증진 프로그램이 재가 노인여성의 수면, 우울, 불안 및 혈압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47(5): 651
이종화. (2017). 테이핑요법이 여성노인의 무릎통증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2): 619-624
배상희, 최미영, 이영희, 신정은, 장양민. (2020). 마그마힐링 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농촌간호학회지, 16-29
조정민. (2017). 웃음요법이 방문간호 대상 지역사회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활환경학회한국생활환경학회지한국생활환경학회지, 24(1) :64-72
이미순, 이해정. (2019). 걷기운동이 요통을 경험하는 노인의 통증, 기능장애, 우울 및 수면의 질에 미치는 효과. 글로벌 건강과 간호, 9(2): 70-79
장은경, 박희옥. (2018). 이압요법이 시설거주노인의 근골격계 통증, 우울 및 수면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9(2): 133-142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정신건강이야기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정보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 의학정보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대한노인정신의학회
국민건강보험공단
김수진 외, 현문사, 정신건강간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