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기흉 간호진단
1.1. 기흉의 정의와 원인
기흉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늑막강 내에 공기가 차는 것이다. 흉부외상이 있는 환자에게 기흉은 폐실질조직이나 기관기관지 또는 식도열상의 결과로 종종 발생한다. 기흉은 외상없이 저절로 발생한 자연 기흉과 외상에 의해 발생한 기흉으로 구분된다. 자연 기흉은 외상없이 침범된 폐의 공기가 빠지고 늑막강에 공기의 유입이 갑자기 일어난 상태이다. 개방성 기흉은 흉부의 흡입 상처로 인해 호흡을 시도할 때마다 흉강 안과 밖으로 공기가 자유롭게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상태이다. 긴장성 기흉은 공기량이 축적되어 늑막강내압이 상승되기 때문에 심장과 폐의 충만이 방해되는 것이다.
자연기흉의 경우에는 대개 폐의 윗부분에 위치한 기포가 터지면서 공기가 흉막강 내로 들어오는 것이 원인이 된다. 기포가 발생하는 이유는 선천성 기형, 세기관지의 염증, 흡연경력으로 추측된다. 또한 키가 크고 마른 남성에서 잘 발생하는데, 이는 키가 큰 만큼 폐 윗부분에서 폐포압이 커지기 때문이다. COPD환자 역시 기포가 많이 생기므로 기흉도 그만큼 많이 발생하게 된다. 그 외에 폐생검술, 경피적 폐침 생검술, 기계적 호흡 및 쇄골하정맥 카테터 삽입술 등 의료행위 과정에서 합병증으로 기흉이 생길 수 있다.
1.2. 기흉의 병태생리
기흉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늑막강 내에 공기가 차는 것으로, 폐실질조직이나 기관기관지 또는 식도열상의 결과로 흔히 발생한다. 자연기흉의 경우, 대개 폐의 윗부분에 위치한 기포가 터지면서 공기가 흉막강 내로 들어오는 것이 원인이 된다. 기포가 발생하는 이유는 잘 알 수 없으나, 선천성 기형, 세기관지의 염증, 흡연경력 등으로 추측된다. 또한 키가 크고 마른 남성에서 잘 발생하는데, 이는 폐 윗부분에서 폐포압이 커지기 때문에 기포가 많이 생기게 되어 기흉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 역시 기포가 많이 생기므로 기흉도 그만큼 많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폐생검술, 경피적 폐침 생검술, 기계적 호흡 및 쇄골하정맥 카테터 삽입술 등과 같은 의료 시술 도중 합병증으로 생기기도 한다.
1.3. 기흉의 증상
기흉 환자는 갑작스러운 흉통과 호흡곤란을 호소한다. 갑자기 발생하는 날카로운 흉통은 침범된 쪽의 가슴 부위에서 느껴지며, 통증의 강도와 지속 시간은 기흉의 범위와 관련이 있다. 호흡곤란은 심하거나 중등도 수준으로 관찰되며, 얕고 빠른 호흡을 보인다. 기흉이 악화되면 청색증이 동반되고 저산소증이 발생할 수 있다. 긴장성 기흉의 경우 호흡곤란, 저혈압, 빠른 맥박 등 순환계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갑작스럽게 눕거나 일어날 때 가슴 부위에서 덜컹거리는 움직임을 느낄 수 있다.
1.4. 기흉의 진단
단순 흉부 방사선(X-ray) 사진을 찍으면 기흉을 확진할 수 있다. 방사선 사진에서는 폐의 윤곽이 뚜렷하지 않고 흉강 내에 공기가 차 있는 것이 관찰된다. 간혹 폐기종이 심한 환자에서는 기흉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거나 큰 폐 기포와 감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때에는 전산화 단층촬영(CT)이 도움이 된다. CT 검사에서는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