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문형 선정 및 교재
1.1. 교재 정보
교재명 세종한국어 3은 국립국어원 세종학당재단에서 출간한 것이다. 이 교재의 저자는 김정숙, 이해영, 박선희, 이준호, 장미라, 최은지이며, 출판년도는 2021년 3월 8일이다.
문형정보로는 '-아도/-어도 되다'가 제시되어 있다. 이 문형은 동사 뒤에 붙어서 그 행위의 허락이나 허용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교재와 문형을 선택한 이유는 세종학당재단이 공신력 있는 기관이며, 초급 수준의 학생이 한국어로 개인적인 허락을 구하거나 사회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것에 대해 질문하고 답할 때 사용하는 필수적인 표현이기 때문이다. 또한 예절을 중요시하는 한국 문화 특성상 공공장소에서 주의할 일, 공공예절에 대해 말할 때도 반드시 알아야 하는 표현이기도 하다.
1.2. 문형 정보
'-아도/-어도 되다' 문형의 용법은 동사 뒤에 붙어서 그 행위의 허락이나 허용을 나타낸다이다. 이 문형은 초급 수준의 학생이 한국어로 개인적인 허락을 구하거나 사회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것에 대해 질문하고 답할 때 사용하는 필수적인 표현이다. 또한 예절을 중요시하는 한국 문화 특성 상 공공장소에서 주의할 일, 공공예절에 대해 말할 때도 반드시 알아야 하는 표현이기도 하다.
'-려다가' 문형의 용법은 첫째, 어떤 행동을 할 의도를 가지고 있다가 그 행동을 멈추거나 다른 행동을 하게 됨을 표현한다. 둘째, 어떤 상황이나 상태가 이루어지거나 변화하는 과정에서 그 상황이 중단되거나 바뀌었음을 나타낸다. 이 문형은 중급 수준의 학습자가 두 문장을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한 문장을 구사할 수 있게 해주며, 일상생활에서 빈번히 사용되어 활용도가 높다.
'-는/(으)ㄴ/(으)ㄹ 것 같다' 문형은 말하는 사람이 어떤 일에 대해 추측 및 예측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으)ㄴ 것 같다'는 이미 일어난 일에 대한 추측을, '(으)ㄹ 것 같다'는 앞으로 일어날 가능성에 대한 예측을 표현한다. 이 문형은 한국어 초급과정을 배운 학습자가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추측과 예측을 나타내는 대화를 할 때 자주 사용되므로 매우 중요하다.
이상의 문형들은 한국어 학습에 있어 매우 유용하고 필수적인 표현들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한국어로 다양한 상황에서 적절한 허락과 추측, 예측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수업에서는 문형의 용법과 활용법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