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문화바로알기

  • 1
  • 2
  • 3
  • 4
  • 5
  • 6
  • 7
>

상세정보

소개글

"일본문화바로알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일본 문화 바로 알기
1.1. 국기와 국가
1.2. 일본의 꽃
1.3. 일본의 옷
1.4. 일본의 산
1.5. 일본의 음식
1.6. 일본의 스포츠

2. 근대 일본의 박람회와 제국주의, 식민주의

3. '태양족문화'의 특징과 당시의 문화적 현상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일본 문화 바로 알기
1.1. 국기와 국가

히노마루와 키미가요

히노마루(日の丸)는 에도시대 이전부터 사용되었고, 에도시대에 외국과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막부정권이 외국의 선박과 식별하기 위해 만들었다. 이후 1860년의 "미일우호통상조약" 비준시에 사용하면서 일본의 국기로서 알려지게 되었다. 1949년에는 GHQ각서에서 국기계양을 정식으로 허가받았고, 1999년 8월 일본 국회에서 히노마루를 국기로 법제화하였다.

키미가요(君が代)는 905년에 편찬된 "고금와가집"에 수록되어 있던 것을 헤이안시대 말기부터 "키미가요는" 이라는 형식으로 민중에 유포되었다. 그후, 1893년에 문부성에서 "소학교 의식창가용 가사악보"로서 인정하여 경축일등의 의식에서 부르게 되었고, 1999년 8월에 국가로서 법제화되었다. 그러나 키미가요의 내용 중 "키미(군주)"가 천황을 의미한다며 시민단체 등의 반발이 있었고, 일본 정부에서는 "키미"는 "일반 국민전체"를 의미한다고 설명하여 국회에서 통과시켰다.


1.2. 일본의 꽃

우리나라에서 4월 하면 제일먼저 떠오르는 꽃이 개나리일 것이다. 이웃나라 일본에서는 매년 3월 중순 부터 4월초에 걸쳐 '벚꽃전선'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바로 전국에서 벚꽃이 만개하는 기간이다. 사쿠라가 필 무렵이 되면 기상청에서 항상 "지금 어느 어느 지방에 벚꽃전선이 도달했다"라는 기사가 보도된다. 일본의 국화로서 잘 알려진 사쿠라는 일상생활에서 경사스런 일, 특히 입학식이나 입사식 등, 주로 벚꽃이 만개하는 4월에 거행되므로 그런 때면 어김없이 등장한다. 또한 다른 나라에 피는 벚꽃과 달리 향기가 있어 일본인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있다. 그 때문인지 사람들은 일본의 국화를 사쿠라로 오해하고 있다. 하지만 일본의 국화로 따로 정해진 것은 없다. 단지 옛 일본 왕실의 상징적 꽃이었고, 한꺼번에 활짝 피었다가 어느 순간 미련 없이 사라져버리는 사쿠라가 자신의 목숨을 나라를 위해 버렸던 옛 무사들의 기질과 많이 닮았기 때문이다. 사쿠라의 어원은 신화집인 '고지키(712년)'에 여성의 이름으로 등장 하는 '고노하나노 사쿠야비메'의 '사쿠야'라는 것이 통설로 전해지고 있다. 일본의 야생 사쿠라는 '야마 사쿠라','오오야마 사쿠라', '오오시마 사쿠라', '카스미 사쿠라'등 셀 수 없을 정도의 많은 품종이 있고 그 중에서 몇 몇 나무들은 특별히 보호되고 있다. 사쿠라의 명소로서 유명한 곳은 도쿄, 신주쿠 교엔과 1천 그루의 우에노 공원이 있다. 일본인들의 '사쿠라에 취하고 술에 취한다'라는 요자쿠라의 벚꽃놀이도 일품이다.


1.3. 일본의 옷

한국에 한복이 있듯이 일본에도 전통적 의상인 기모노가 있다. 일본인은 긴 역사를 기모노와 함께 살아왔다. 서양 사람들에게 기모노를 설명할 때, 일본인들은 '감춤의 미학', '걸어다니는 미술관'이라고 자화자찬한다. 이는 맨살을 드러내지 않고 옷감의 다채로운 문양을 뽐내기 때문이다.

결혼식이나 공식적인 큰 행사 때 결혼한 남녀는 가문을 나타내는 검은색 기모노를 입는다. 질 좋은 비단으로 만든 기모노는 매우 비싸며 수천만 원에 이른다. 기모노를 입을 때는 양말과 신발을 신지 않고, 대신 나무로 만든 높은 굽의 나막식(게타)이나 목면 또는 가죽으로 만든 낮은 굽의 샌들(조리)을 신는다. 그리고 샌들 끈에 맞도록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 사이가 갈라진 면 버선(다비)을 신는다.

기모노의 가장 큰 특징은 허리에 칭칭 감는 오비에 있다. 일본 학자들은 오비야말로 세계 의복사에 유래가 없는 독창의 표징이라 자랑한다. 오비는 모든 외래 문화를 종합하여 일본인의 체형과 풍토, 습속에 맞게 환골탈태, 확대 재생산한 지혜의 산물이다. 허리띠를 몇 겹씩 감아 뒤쪽으로 매듭을 지은 복식은 일본이 유일하다. 오비를 뒤쪽에 감아 배면미를 연출한 것은 인간이 인간을 감상할 때 앞쪽보다는 옆이나 뒤를 바라보는 경향이 강하다는 깊은 계산에서 나온 아이디어다. 오비의 위치를 허리 위로...


참고 자료

19세기 서구적 세계체제와 동북아질서, 전쟁과 동북아의 국제질서, 조병한, 서울: 일조각, p292-293, 200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박람회,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0660
일영박람회에서 전시된 일본 역사와 예능-대외문화홍보로서의 역사의 가시화-, 한경자, 日本學硏究, 54, p105-126, 2018.1
문학비평용어사전, 한국문학평론가협회, 2006/01/30
일본제국의 국제·식민박람회 사용법 –1910년 일본-영국박람회와 1929년 조선박람회 사례를 중심으로-, 육영수, 서양사론, 146, p122-153, 2020
반항의 ‘태양족’에서 달관의 ‘사토리 세대’로, 박형준, 동아일보, 2015/06/13,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150613/71840089/1
폭력과 무절제 일본판 태양족, 박흥진, 국민뉴스, 2011/09/13,
http://www.kookminnews.com/2309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