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치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최초 생성일 2025.03.25
8,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지역사회 치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지역사회 현황 및 특성
2.1. 일반적 특성
2.2. 인구현황
2.3. 건강수준
2.4. 지역사회자원

3. 지역사회 간호진단
3.1. 노인 인구 증가와 지식부족과 관련된 높은 치매 유병율
3.2. 의료자원부족과 관련된 낮은 조기검진율

4. 간호목표 및 계획
4.1. 간호목표
4.2. 간호계획
4.2.1. 찾아가는 치매검진프로그램
4.2.2. 치매예방교육
4.2.3. 치매예방 및 관리 홍보 부스 운영

5. 간호중재 및 평가
5.1. 간호중재
5.2. 간호평가

6. 결론
6.1. 요약
6.2. 기대효과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수명 연장과 고령화는 세계적인 현상이며, 특히 선진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도 평균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인구 고령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다. 전체 국민의 평균 기대수명은 2010년 80.2세에서 2021년 83.4세로 약 10년 이상의 기간 동안 3.2세 증가하였다. 2021년 기준 총 인구의 65세 이상 인구는 16.5%에서 2060년에는 43.9%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65세 이상 추정치매환자 수는 2021년 88만 6,173명이지만, 2060년에는 332만 5,602명으로 약 4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많은 일반인들이 치매를 두려워하고 있으며, 2014년 국내 치매 인식도 조사에서는 우리나라 노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질병은 치매(43%)로 나타났다. 이처럼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 질환인 치매환자의 수도 늘어나고 있으며 치매에 대한 사람들의 두려움도 커져가고 있다.


2. 지역사회 현황 및 특성
2.1. 일반적 특성

산청군은 경상남도의 서북부에 위치하고 있다. 동서가 38.8km, 남북이 40.3km로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주위가 대부분 준엄한 산령으로 둘러싸여 있다. 산청군의 총 면적은 795㎢로 도시지역이 8.7%, 비도시지역이 91.3%를 차지한다. 경지면적은 논 3,531ha, 밭 3,302ha로 총 6,833ha이다.


2.2. 인구현황

산청군의 총 인구는 2021년 기준 34,871명이다. 이 중 남성이 17,173명, 여성이 17,698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읍면별로는 산청읍이 6,804명으로 가장 많고, 오부면이 1,079명으로 가장 적다.

산청군의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1년 기준 13,175명으로 전체 인구의 38.3%를 차지하고 있어 초고령사회에 해당한다. 연령대별로는 65-69세가 3,584명, 70-74세가 2,736명, 75-79세가 2,426명, 80세 이상이 4,429명이다. 단성면이 2,244명으로 65세 이상 인구가 가장 많고, 오부면이 544명으로 가장 적다.

최근 5년간 산청군의 노인인구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9년 35.1%에서 2020년 35.9%, 2021년 38.3%로 높아졌다. 이는 전국 및 경상남도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다.

산청군의 합계 출산율은 2021년 0.992명으로 전국(0.808명) 및 경남(0.903명) 평균보다 높은 편이다. 그러나 전체적인 인구 감소 추세로 인해 향후 고령화 현상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2.3. 건강수준

산청군의 치매 유병률은 전국 평균인 10.33%에 비해 13.10%로 매우 높은 편이다. 특히 경남 지역 내에서도 5번째로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산청군의 추정 치매환자 수는 2021년 기준 1,693명으로 전체 인구의 5%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치매 환자의 등록 및 서비스 이용률도 전국 평균 67.4%에 비해 낮은 편이다.

산청군의 입원 다빈도 상병 통계에서 치매는 4위를 차지하고 있어, 치매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와 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연령별 치매 유병률을 살펴보면, 85세 이상에서 36.66%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어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에 따른 치매 관리의 어려움을 알 수 있다.

한편 산청군의 치매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보건교육 실적이 2019년 6,890명에서 2020년 3,912명으로 감소하는 등 의료자원 부족에 따른 문제도 확인된다. 또한 인구 천 명당 의사 수가 전국 3.1명, 경남 2.5...


참고 자료

노인간호학 / 저자 유선영 권정화 김지혜 외 공저 / 고문사
기본간호학 4판 / 저자 양선희 원종순 외 공저 / 현문사
간호과정 실무지침 - 서울대학교 병원 간호본부
약학정보원 – https://www.health.kr/main.asp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2022), 최신지역사회보건간호학 1, 2, 수문사
산청군 치매안심센터
제 8기 지역보건의료계획서[2023~2026](2023.2.13 경남 산청군 보건의료원)
산청군통계 연보 제 61회(2022)
산청군 보건의료원 홈페이지(http://www.sancheong.go.kr/health/index.do)
산청군 통계서비스 홈페이지(http://www.sancheong.go.kr/stat/index.do)
KOSIS국가통계포털(http://kosis.kr/index/index.jsp)
중앙치매센터 https://www.nid.or.kr/info/diction_list2.aspx?gubun=0201
보건복지부 https://www.mohw.go.kr/react/index.jsp
산청군청 https://www.sancheong.go.kr/www/index.do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