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국 정부 전염병 정보 차단 글로벌기업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중국 정부의 전염병 정보 차단 문제
1.2. 중국 진출 글로벌 기업에 미치는 영향
2. 중국 정부의 전염병 정보 차단이 글로벌 기업에 미치는 영향
2.1. 소비 위축으로 인한 수요 감소
2.2. 불확실성 증가
2.3. 공급망 차질
2.4. 유통물류 문제
2.5. 인사노무 문제
3. 결론
3.1. 정보 차단에 따른 글로벌 기업의 어려움
3.2. 탈중국 전략 마련의 배경
3.3. 글로벌 기업의 대응 방안 모색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중국 정부의 전염병 정보 차단 문제
중국 정부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가 대량 발생된 2020년 우한 사태 이후에도 전염병에 관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차단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코로나19의 기원을 둘러싼 국제사회의 의혹과 요구에 대해 강력하게 부인하며 전염병 정보 공개를 거부하고 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확산되는 과정에서 글로벌 기업들에게 큰 타격을 주었다.
중국은 세계 2위 경제대국으로 세계 최대의 인구 시장을 가지고 있어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에 진출하여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 정부의 폐쇄적이고 은밀한 전염병 정보 차단 정책은 글로벌 기업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에서 볼 수 있듯이, 중국 정부의 전염병 정보 차단은 중국 내 소비 심리 위축을 초래하여 글로벌 기업의 매출 감소로 이어졌다. 또한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예측이 어려워지면서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 결정이 지연되고 위축되었다. 이와 함께 공급망 차질, 유통물류 문제, 인사노무 관리 등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다.
결국 중국 정부의 전염병 정보 차단은 글로벌 기업의 중국 시장 진출과 사업 영위에 심각한 위협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글로벌 기업들은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탈중국 전략을 모색하고 있는 추세이다.
1.2. 중국 진출 글로벌 기업에 미치는 영향
중국은 세계 G2라는 명성에 맞게 세계 1위 인구대국 시장을 타겟으로 한 많은 글로벌 기업이 진출하여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 정부의 전염병 정보 차단은 글로벌 기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첫째, 소비위축으로 인한 수요 감소이다. 중국 정부의 전염병 정보 차단은 중국 내부의 불안 심리를 가중시키고, 소비 침체에 따른 소비 위축을 가져와 글로벌기업의 매출과 지속가능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실제 코로나19 사례에서 보듯이 중국의 소비판매액이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글로벌기업의 매출이 타격을 받았다.
둘째, 불확실성 증가이다. 중국 정부의 전염병 정보 차단은 글로벌기업의 투자를 망설이게 하여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증가시킨다. 이는 기업의 미래 생존 가능성을 위협할 수 있다. 실제 애플, 아마존 등 주요 글로벌기업들이 코로나19 상황에서 불확실성으로 인한 어려움을 토로한 바 있다.
셋째, 공급망 차질이다. 중국 정부의 전염병 정보 차단으로 인해 공급업체가 피해를 입게 되면, 글로벌기업은 대체 공급업체를 물색하고 협상해야 하는 추가 비용을 지불해야 하며, 생산계획에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다. 이는 고스란히 글로벌기업에 부담이 되는 것이다.
넷째, 유통물류 차질이다. 전염병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면 물류업체의 투자와 물류망 확충이 원활하지 않을 것이다. 이에 따라 유통물류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아 글로벌기업에 큰 차질을 줄 수 있다.
다섯째, 인사노무 문제이다. 중국 정부의 전염병 정보 차단은 기업의 인력 관리에 어려움을 야기한다. 불확실한 미래로 인해 기업은 보수적으로 대처하게 되어 구조조정, 고용중단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되고...
참고 자료
중국 베이징무역관, ‘코로나19, 中 기업활동에 대한 영향’, 20200312
중국한상상회, ‘코로나19가 중국진출기업에 미친 영향과 대응방안’
약사공론, ‘설대우 교수 “중국 전염병 정보 은폐가 가장 큰 문제”, 20200124
beSUCCESS, ‘중국 진출의 장단점 : Why and Why not ?’, 20120201
서울경제신문, ‘코로나 변이로 글로벌 긴축 전략 스케줄 교란...신흥국에 위기 경보?’, 20210719
한능호, 박진우(2019). 코로나19로 인한 동아시아 지역의 공급사슬 재편에 관한 연구. 지역산업연구.
손정우(2020). Part3. 코로나19 직격탄, 휘청 거리는 물류산업. 물류신문.
권혁준(2020). "코로나19 불확실성에 글로벌 기업들 어려움 겪어". 서울경제.
한형민, 예상준, 이선형, 정재완, 윤지현, 김미림(2021).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가치사슬의 구조 변화와 정책 대응. KIEP.
이성범, 채호진(2022). '공급망 붕괴' 에 대처하는 기업들의 생존전략은. 물류신문.
김지섭(2023). “숨이 막힌다” 글로벌 기업들, 상하이·홍콩 탈출 조짐. 조선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