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필요성
골절환자는 정형외과에서 주로 많이 볼 수 있는 외상성 장애이다. 골절은 외부적 힘에 의하여 골 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이며, 그 손상의 범위는 경미한 좌상에서부터 심한 골절로 인해 불구를 야기하는 것까지 다양하다. 골절의 원인은 자동차 사고, 낙상, 구타, 뒤틀림, 기계에 눌리는 압축손상 이거나 자연골절 등으로 주위에서 쉽게 일어날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발생 빈도가 아주 높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지식을 함양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며 환자의 빠른 회복을 도모하려고 한다.
1.2. 연구기간 및 방법
2019년 9월 30일부터 광주 조선대학교병원 3icu에 골절로 입원했던 이OO님을 대상으로 직접 환자를 관찰, 면담하고 EMR, kardex, 환자정보, 임상검사 결과 등을 통해 대상자의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하였다.
골절환자는 정형외과에서 주로 많이 볼 수 있는 외상성 장애이므로, 발생 빈도가 아주 높다. 골절로 인한 손상의 범위는 경미한 좌상에서부터 심한 골절로 인해 불구를 야기하는 것까지 다양하다. 따라서 늑골 골절에 대해 연구하여 지식을 함양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빠른 회복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2. 문헌고찰
2.1. 질병의 정의
늑골 골절(Rib Fracture)은 강한 구타나 좌상, 심한 기침, 재채기 등에 의한 늑골의 손상을 의미한다. 늑골 골절은 흉부 외상 중 가장 흔한 경우로, 낙상, 타박상, 교통사고와 같은 비천공 외상에 의해 발생한다. 대개 늑골 손상은 늑골 4~8번째에서 많이 일어나는데, 이는 제 1, 2번째 늑골이 보호가 잘되기 때문이며 제 4~8번째 늑골은 흉곽 근육으로 잘 보호되지 않기 때문이다. 늑골이 갈라지거나 골절로 제 위치에서 벗어나면 날카로운 조각이 늑막이나 폐를 천공함으로써 혈흉이나 기흉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얕은 호흡을 하고 심호흡, 기침, 활동 등을 피하게 되면 분비물이 축적되고 환기가 감소되어 폐포의 산화작용이 일어나지 않게 됨으로써 폐 허탈, 무기폐, 폐렴, 저산소증, 고탄소증이 발생할 수 있다. 폐질환이 있었던 환자라면 늑골골절과 관련하여 폐렴과 무기폐의 가능성이 증가한다.
2.2. 원인 및 위험소인
늑골 골절의 원인 및 위험소인은 다음과 같다. 제 1, 2번째 늑골은 보호가 잘되기 때문에 심한 압박 손상 외에는 일어나지 않으나 제 4~8번 늑골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