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갑상선암의 정의 및 해부생리
1.1. 갑상선암의 정의
갑상선암이란 갑상선에 생긴 암을 총칭하는 말이다. 갑상선은 목 앞 중앙에 위치한 나비 모양의 내분비기관으로, 갑상선 호르몬과 칼시토닌을 분비하여 인체의 대사과정에 관여한다. 갑상선암은 크게 "잘 분화된 갑상선 암"과 "기타 갑상선암"으로 나뉘며, 조직학적 모양과 암 기원 세포에 따라 유두암, 여포암, 수질암, 역형성암(미분화암) 등으로 분류된다. 갑상선암은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주변 장기로의 전이가 진행되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갑상선에 혹(결절)이 만져지면 그 중 약 5%가 암으로 진단된다.
1.2. 갑상선의 해부생리
갑상선은 우리 몸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내분비선이다. 갑상선은 목 앞쪽 중앙에 위치하며, 나비모양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갑상선은 크게 왼쪽 엽, 오른쪽 엽, 그리고 이 두 엽을 연결하는 협부(isthmus)로 구성되어 있다. 정상적인 성인의 갑상선 무게는 12~20g 정도이다.
갑상선의 해부학적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갑상선은 목 앞쪽 중앙에 위치하며, 후두와 기관 앞쪽에 붙어 있다. 갑상선의 양측 부위에는 각각 한 개씩의 엽(lobe)이 있으며, 이 두 엽은 협부(isthmus)로 연결되어 있다. 갑상선의 뒤쪽에는 부갑상선 4개가 붙어 있다. 현미경으로 갑상선을 관찰하면 크기와 모양이 다양한 여포(follicle)들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갑상선의 주요 기능은 갑상선 호르몬과 칼시토닌을 분비하는 것이다. 갑상선 호르몬인 T3와 T4는 태아와 성장기 발달에 필수적이며, 체온 조절, 근육 긴장도와 활동성 조절, 정서 상태 조절 등 신체 대사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칼시토닌은 뼈와 신장에 작용하여 혈중 칼슘 수치를 낮추는 기능을 한다.
정상적인 경우 갑상선은 크기가 작아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지만, 갑상선에 병변이 생기면 만져지거나 보이게 될 수 있다. 또한 목이 길고 마른 젊은 여성의 경우에도 갑상선이 약간 돌출되어 보이는 경우가 있다.
요약하면, 갑상선은 목의 중앙에 위치한 나비 모양의 내분비선으로, 호르몬 분비를 통해 신체 대사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상적으로는 크기가 작아 잘 보이지 않지만, 병변이 생기거나 해부학적 특징에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이처럼 갑상선은 인체에서 중요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는 핵심적인 내분비 기관이다.
2. 갑상선암의 임상증상
2.1. 초기 증상
갑상선암은 초기에 대부분 별다른 증상을 보이지 않아 환자 스스로도 눈치 채기 어렵고 아프지도 않아 늦게 발견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갑상선연골이 있는 부위에서 약간 아래쪽과 양쪽 부위에서 단단하지만 아프지 않은 혹 같은 것이 만져짐으로써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처럼 초기 갑상선암은 무증상으로 경과하다가 결절의 크기가 점점 커짐에 따라 증상들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즉, 갑상선 결절의 크기가 최근 수주 또는 수개월에 걸쳐 갑자기 커진 경우, 쉰 목소리 또는 성대마비가 동반된 경우, 결절이 주위조직에 고정된 경우, 결절이 매우 딱딱한 경우, 결절과 같은 쪽의 경부 림프절이 만져지는 경우 등에서 갑상선암을 의심할 수 있다. 이외에도 과거에 두경부에 방사선을 조사한 병력이 있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 그리고 결절의 크기가 매우 클 때도 갑상선암을 의심할 수 있다.
2.2. 진행된 증상
진행된 증상으로는 성대마비나 음식물을 삼키기 어렵거나 호흡이 힘들어지는 경우, 목의 통증을 나타내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드물게 성대를 조절하는 신경을 침범해서 쉰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종종 다른 이유로 CT, 초음파검사 등을 받다가 우연히 갑상선에 결절이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갑상선암은 초기에는 증상이 뚜렷하지 않다가 진행되면서 주변 장기로의 침범으로 인한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3. 갑상선암의 진단적 검사
3.1. 혈액검사
혈액검사는 갑상선암을 진단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혈액검사에는 갑상선 기능 검사와 갑상선 자가 항체 검사가 있다.""
먼저 갑상선 기능 검사는 체내에 분비되는 갑상선 호르몬(T3, T4 또는 free T4)과 뇌하수체에서 분비되어 갑상선에서 호르몬을 분비하게 하는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을 검사하여 갑상선 호르몬이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대부분의 갑상선암 환자들은 갑상선 기능이 정상 범위에 있지만, 일부 환자에서 TSH 농도가 감소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는 암 조직이 정상 갑상선 조직보다 T4를 많이 분비하기 때문이다.""
또한 갑상선 자가 항체 검사를 통해 갑상선 질환의 원인을 추정하고 치료 경과와 예후를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혈액 검사는 갑상선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