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급성 백혈병은 골수와 혈액에 암세포가 자라는 악성 혈액 질환이다. 이는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과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의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뉜다. 특히 소아에게서 AML이 발병하는 경우, 골수와 골수 외 장기에 백혈병 세포(아세포)와 기타 미성숙 골수계 세포가 증식되고 축적되는 것이 특징이다. 치료받지 않으면 감염 또는 출혈로 인해 수개월 이내에 사망할 수 있는 급성 질환이다. AML은 소아 백혈병의 15-20%를 차지하며, 15세 이하 소아에서 연간 발생률이 백만 명당 5-6명 수준이다. 따라서 소아 AML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AML의 임상적 특징을 살펴보고, 간호과정을 통해 대상자에게 맞춤형 간호를 제공하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AML의 정의
골수성 백혈병의 일종인 급성 전골수성 백혈병(Acute promyelocytic leukemia, APL)은 미성숙 백혈구인 전골수구가 골수에 과다 증식하는 질환이다. APL은 정상적인 골수 기능을 저해하여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의 생성이 감소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심한 출혈 경향과 감염에 취약한 상태가 나타나게 된다.
2.2. AML의 원인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의 원인
AML은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발병하는데, 그 중에서도 유전성 요인, 방사선 노출, 화학물질 노출, 항암화학요법 등이 주요한 원인이 된다.
먼저, 유전성 요인으로는 다운증후군, 클라인펠터증후군, 파타우증후군, 판코니증후군, 블룸증후군 등이 있다. 이러한 유전적 질환을 가진 개인이나 가족들에서 AML이 더 빈번하게 발병한다.
둘째, 방사선 조사도 AML 발병의 주요 요인이다. 원자폭탄 투여 지역,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 라듐 노출 노동자 등에서 AML 발병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셋째, 벤젠, 석유 제품, 페인트, 방부제, 제초제, 살충제, 전자기기 등 다양한 화학물질에 직업상 노출된 경우에도 AML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
마지막으로, 항암화학요법제, 특히 알킬화제와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 등을 투여받은 경우에도 AML이 발병할 수 있다.
종합해보면, AML은 유전적 소인, 방사선 노출, 화학물질 노출, 항암제 투여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발병할 수 있는 복합적인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2.3. AML의 증상 및 병태생리학적 특징
AML 환자는 백혈구의 급속한 증식으로 인해 적혈구와 혈소판 생성이 저하되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백혈구의 과도한 증식으로 인해 정상적인 적혈구와 혈소판 생성이 억제되어, AML 환자들은 심한 감염, 빈혈, 출혈 경향을 보인다.
구체적으로, 빈혈로 인해 피로, 창백,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혈소판 감소로 인해 쉽게 멍이 들고 출혈이 지속되며, 비정상적인 백혈구가 증식하여 감염에 취약해진다.
또한 비대된 기관이 주변 장기를 압박하여 간비대, 비장종대, 림프선종대 등의 증상이 관찰된다.
고요산혈증으로 인한 산통증, 신결석증, 신부전 등의 대사성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다.
정상세포가 성장하지 못하고 비정상적인 백혈병 세포가 지속적으로 증식하여 축적되는 병태생리학적 특징으로 인해 이와 같은 다양한 임상증상이 나타난다.
2.4. AML의 분류
AML은 골수 세포의 기형적인 증식과 분화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세포 분화 단계에 따라 다양한 아형으로 구분된다. 이는 해당 아형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 반응에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M1 미분화 골수성(unifferntiated melocytic) 아형은 골수 아세포(myelobiasts)가 주된 특징이다. M2 골수성(myelocytic) 아형은 골수아세포(myelobiasts), 전골수세포(promyelocytes), 골수세포(myelocytes)가 증가한다. M3 전골수성(promyelocytic) 아형은 과다 과립성 전골수세포(hyperganular promyelocy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