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미국 남북전쟁의 배경
미국 남북전쟁의 배경은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그 배경에는 노예제와 경제적 문제, 새로운 영토 획득과 관련된 갈등, 그리고 사회적·정치적 대립이 자리 잡고 있었다.
첫째, 노예제를 둘러싼 이해관계의 대립이 직접적인 도화선이 되었다. 1818년 일리노이 주가 연방에 편입되면서 노예제를 허용하는 주가 10개가 되었고, 이와 반대로 노예제를 금지하는 자유 주도 11개였다. 이후 앨라배마 주가 노예주로 연방에 편입되면서 노예주와 자유 주가 동수가 되었고, 새로 편입되는 서부 주들에서 노예제 채택 여부를 둘러싼 갈등이 첨예해졌다. 이는 곧 남부와 북부 간의 대립으로 이어졌다.
둘째,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남북 간 이해관계의 차이가 컸다. 남부는 면화, 담배, 사탕수수 등 농업 중심의 경제 구조였던 반면, 북부는 철강, 금속 등 공업이 발달한 경제 구조였다. 또한 남부는 영국과의 무역 의존도가 높았던 반면, 북부는 영국 상품의 유입을 막기 위해 보호무역정책을 요구했다. 이처럼 경제적 이해관계의 차이가 컸던 것도 남북 간 대립의 주요한 원인이 되었다.
셋째, 정치적으로도 연방 정부와 주 정부의 권한을 둘러싼 갈등이 있었다. 북부는 연방 정부의 권한을 강화하고자 했지만, 남부는 각 주의 자치권을 중요시했다. 이러한 대립은 1857년 드레드 스콧 판결 사건을 계기로 더욱 격화되었다.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흑인은 미국 시민이 아니며, 1820년 미주리 타협 역시 위헌이라고 판결했다. 이는 남부의 노예제 보호에 유리한 판결이었고, 북부의 반발을 샀다.
이처럼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남북 간 대립이 점점 심화되었고, 결국 1861년 남부의 연방 이탈을 계기로 미국 남북전쟁이 발발하게 되었다.
1.2. 노예제와 경제적 문제
남부 지방에서는 인구의 5%에 불과한 지주가 400만 명이 넘는 노예를 통해 목화, 연초, 사탕수수 등을 지배하는 대농장을 경영하였다. 그에 반해 북부의 주들은 철, 석탄 등 풍부한 지하자원을 이용하여 방직, 제지, 금속 공업을 발전시켰다. 북부는 남부와 달리 영국의 공산품 유입을 막기 위해 보호관세를 주장했다. 즉, 남부와 북부는 경제 구조와 이해관계가 달랐다.
남부는 농업 경제 체제에 기반한 면화, 연초, 사탕수수 등 농산물 생산을 위해 대규모 노예 노동력을 필요로 했다. 반면 북부는 공업 중심의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노예제에 대한 필요성이 없었다. 오히려 북부 공업 발달에 장애 요소로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