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욕창 사례연구 알츠하이머병 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2.1. 정의
2.2. 원인
2.3. 병태생리
2.4. 증상
2.5. 진단
2.6. 치료 및 간호
3. 본론
3.1. 간호력
3.2. 간호사정
3.3. 진단검사
3.4. 투약
3.5. 평가
3.6. 간호과정 적용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치매는 사랑하는 가족은 물론 거울에 비친 자신조차 알아보지 못하는 증세를 보이는데, 이러한 망각은 대뇌피질이 파괴되면서 야기된다. 치매는 크게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로 나뉘는데, 발병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알츠하이머병에 대해 정확한 정의와 원인, 발병기전, 치료 등을 연구해보고 실제 사례를 통해 치료 및 간호에 대한 과정을 연구하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정의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이다. 65세에서 85세 범위 내에서는 나이가 5세 증가할 때마다 알츠하이머병의 발병률이 2배씩 높아진다. 알츠하이머병은 일단 발병하면 계속 진행되고 근본적인 치료법이 없으며 연령대별 정상군에 비해 평균 기대수명이 단축된다. 알츠하이머병은 아밀로이드와 같은 신경 독성물질의 축적으로 인한 양측 측두엽의 기능 저하로 시작되고, 점차 비정상적으로 뭉쳐있는 특징적인 단백질 덩어리 즉, 노인판과 신경섬유농축제 등이 전반적인 뇌의 피질부로 확산되면서 병이 진행된다.
2.2. 원인
연령의 증가가 가장 큰 원인이다. 정상보다 더 빨리 일어나는 노화 과정에 의해 알츠하이머병이 발생한다. 치매의 가장 흔한 유형으로 거의 60~80%를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연구에서 65세 이상에서 10~15%, 75세 이상에서 47%가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따라서 노령화 사회에서 알츠하이머병은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외인성 독소도 알츠하이머병 발병과 관련이 있다. 뇌에 독성 작용이 있는 환경적 독소에 노출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뇌의 반점과 섬유농축에서 알루미늄이 발견된다. 신장 투석을 하는 경우 많은 알루미늄이 환자에게 투입되므로 투석 받는 환자들에게 점진적인 지적 장애, 언어 이상, 간대성근경련, 비정상적인 뇌파의 특징이 나타난다.
유전적 요인도 알츠하이머병 발병의 주요 원인이다. 아밀로이드의 전구물질 분자가 염색체 14, 19, 21에 있으며, 알츠하이머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가족에서 염색체 21의 이상이 있다. 다운증후군인 사람에게서 알츠하이머병이 발생할 위험이 매우 높으며, 보통 20세 전후나 40세 정도에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아밀로이드 단백질도 알츠하이머병 발병과 관련된다. 아밀로이드는 혈관에서 관찰되는 울퉁불퉁한 단백질로서 혈관과 신경원을 폐쇄시키거나 환자의 뇌에 반점을 형성한다. 최근 연구에서는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환자의 뇌에서 뿐만 아니라 말초조직에서도 발견되어 알츠하이머병의 전신질환 가능성과 혈관성 병변과의 관련성 등이 논의되고 있다.
2.3. 병태생리
알츠하이머병이 있는 뇌의 병리학적 특징은 신경원섬유 덩어리와 아밀로이드반의 과잉으로, 주로 뇌에서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와 관련된 뇌의 부위에서 발견된다. 정상적인 노화 과정에서도 이러한 덩어리와 반은 만들어지지만, 알츠하이머병에서는 훨씬 빠른 속도로 많은 양이 만들어진...
참고 자료
송경애 외(2013), 최신기본간호학(하), 수문사
원종순 외(2011), 기본간호학(하), 현문사
김금순 외(2012), 성인간호학2, 수문사
전시자 외(2011),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김금자 외(2012), 제2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송미순 외(2012), 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알츠하이머병”,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690&cid=51007&categoryId=51007
유양숙 외, 「성인간호학(하) 제8판」, 현문사, 2022, p500~507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