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식도암의 정의
식도암은 식도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을 말한다. 식도암은 편평상피 세포암이나 식도점막의 선암의 형태로 발생한다.
식도암의 원인은 아직 확실하지 않으나 식도염, 부식성 식도협착증, 식도경련, 바렛식도 등 기존의 식도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서 많이 발생한다. 또한 뜨거운 음료, 영양소 결핍, 마테차, 곰팡이 독소, 알테나리아, 니트로사민 등의 환경적인 요인도 식도암을 일으키는 위험요인으로 생각된다.
식도암은 주로 편평상피암과 선암 형태로 나타나며, 편평상피암은 식도상부 1/3 또는 중간 이상 부위에서 발견되고 선암은 대부분 식도의 원위부 1/3에서 생긴다. 식도암은 장막에 싸여있지 않아 급속히 림프관을 타고 주위로 퍼져나가며, 장기적인 음주와 흡연은 편평상피암의 발생위험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또한 만성적 위식도 역류에 의한 바렛식도의 합병증으로 선암이 나타난다.
1.2. 식도암의 발생 원인
식도암의 발생 원인은 다음과 같다.
식도염, 부식성 식도협착증, 식도경련, 바렛식도 등 기존의 식도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서 식도암이 많이 발생한다. 또한 환경적 요인도 식도암을 일으키는 위험요인으로 생각된다. 뜨거운 음료, 영양소 결핍, 마테차, 곰팡이 독소, 알테나리아, 니트로사민 등의 식이요소가 식도암 발생과 관련이 있다. 만성적인 식도 자극인 하부식도 연하곤란증, 양잿물 등도 위험요인이 된다. 물리적 요인인 뜨거운 음료, 부식 식도염, 방사선 조사 등도 점막 손상을 유발하여 식도암 발생에 영향을 준다. 흡연과 음주는 상승작용을 하여 식도암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특히 흡연은 비타민 C 결핍과 발암물질 생성을 촉진한다. 위식도 역류로 인한 바렛식도 역시 식도암 발생과 관련이 있다. 유전적 요인, 전염성 병변, 식도이완불능증, 두경부 편평상피암, 식도게실, 부분 위절제술 등도 식도암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 [1,2,3]
1.3. 식도암의 병태생리
식도암은 주로 편평상피세포암의 형태로 발생하며, 주로 식도의 중간 1/3 지점에서 많이 발생한다. 식도는 종양 확산을 제한하는 장막층이 없고 점막에 공급되는 풍부한 림프액으로 인해 빠르게 전이된다. 종양은 내부에 있는 궤양성 병변으로 식도 벽 주위를 돌며 상부와 하부로 확산된다.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기관식도누관이 형성되어 음식물이 기도로 흡인되며 호흡기계의 합병증을 일으킨다. 이 상태를 치료하지 않는다면, 완전 식도폐색이 나타나며 혈관침윤으로 출혈이 생기기도 한다. 식도암은 진행성이며 대부분 치명적이다.
2. 식도암의 증상 및 진단
2.1. 식도암의 증상
식도암의 경우, 삼킴곤란은 종양이 커지지 않으면 나타나지 않는 증상이다. 삼킴곤란은 진행암에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조기 증상으로는 삼킴 때에 위화감이 주로 나타나며, 따가운 느낌, 음식물이 가슴 속을 쓸어내리는 느낌, 경미한 가슴의 통증 등을 호소한다. 대부분 종양이 식도 전체에 확신될 때까지 전형적인 증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환자가 병원을 방문할 때에는 흔히 종양이 식도의 가장 깊은 층을 침범하고 때로는 기관지 같은 인접기관까지 침법한 상태이다.
만기 증상으로는 종양이 커져 내강을 막게 되면 삼킴곤란이 나타난다. 식도이완 불능증과 달리 고형물에 대한 삼킴곤란이 뚜렷하다. 종양세포의 증식과 삼킴곤란이 겹쳐서 체중감소 현상이 뚜렷해진다. 식도암이 기관ㄲㆍ지 번지면 기침과 객혈 등의 증상을 보이며 후두에 미치면 쉰 목소리를 내게 된다. 또한 식도암이 기관에 침윤하여 구멍이 생기고 누공이 형성되면, 누공을 통해서 음식물이 기관 내로 들어가기 때문에 폐렴을 일으키기 쉬운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기관식도샛길을 형성하는 암의 부위는 기관분기부보다 근위부쪽에 있다. 식도암이 되돌이 후두신경으로 침윤하면 되돌이후두신경마비가 일어나 쉰목소리가 된다. 이외에도 암은 식도에 가까운 곳, 즉 대동맥, 허파동맥, 홀정맥, 가슴림프관, 심장막과 같은곳에 침윤할 수 있다.
2.2. 식도암의 진단검사
2.2.1. 내시경
내시경은 식도암이 의심될 때 반드시 시행해야 할 검사이다. 내시경은 직접 식도 점막을 관찰하는 것이므로...